•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전거제어의 이론적 배경

1.4 전거제어 방식

전거제어의 방식은 전거형 이름 표목을 사용하는 방식 3가지와 이를 사용하지 않 는 3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검색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 가운데, 전거 형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에 대한 주장은 모든 이름과 형식은 동등하고, 접근의 측 면에서는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인식에 근거한 것으로써 지난 몇 십 년 동안 도서관계에서 논의해 왔던 접근점 제어방식이다.

한 명의 저자가 2개의 이름 A, B를 가지고 있으며, 각 이름을 A1, A2, B1, B2로 기술할 수 있고, 도서관에서 이 저자가 쓴 4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는 경우를 사례 로 하여, 전거제어의 방식과 검색의 측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4.1 전거형을 사용하는 방식

1) 제1접근방식

첫 번째 전거제어의 방식은 목록자가 전거형 이름으로 한 가지 형식(실제 이름 혹은 우세한 이름)을 선택하고 다른 모든 이름과 형식을 이형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전거형 이름 A1은 4개의 서지레코드에서 표목(접근점)으로 기술된다. 전거레코드에 는 전거형과 이형을 포함한 모든 4개 이름을 모두 기술한다. 이는 1967년 이전까지 도서관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해 온 방식이다.

8

-<그림 3> 제1접근방식

*출처: Niu 2013

이러한 전거제어 환경에서 이용자가 하나의 이름으로 온라인목록을 검색하면, 시 스템에서는 전거파일을 우선 검색한다. 전거파일에서 전거형 이름 A1을 찾고 A1으 로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4개의 서지레코드에는 전거형 이름 A1이 기술되 어 있기 때문에 이를 모두 찾을 수 있다. 전거파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형 을 이용해 검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이형으로 기술된 서지레코드만 검색될 수 도 있다(<그림 1> 참조).

집중의 측면에서 이 방식은 개체의 모든 이름을 수집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실제 이름(real name) 또는 우세한 이름을 결정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그러나 모든 사 람이 저자 혹은 창작자가 되는 정보폭발의 시대에 이러한 접근방식은 모든 도서관 과 모든 자원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한계가 있다(Niu 2013).

2) 제2접근방식

두 번째 전거제어의 방식은 하나의 에이전트에 대해 다수의 전거레코드를 생산하 는 것이다. 각 전거레코드는 하나의 이름에 대한 전거형과 이형을 그룹화하고 에이 전트에 해당하는 모든 전거파일을 연계한다. 이는 AACR2에서 사용하는 접근방식 에 해당한다. 전거레코드1의 전거형 표목은 A1이고 이형은 A2이다. 전거레코드2의 전거형 표목은 B1이고 이형은 B2이다. 전거형 이름 A1은 2개의 서지레코드에서 표 목으로 기술되고 각각의 서지레코드에는 A1, A2 자원에 전사된 이름 그대로 기술 된다. 전거형 이름 B1도 2개의 서지레코드에 표목으로 기술되고 각각의 서지레코드 는 B1, B2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동일인에 대한 서로 다른 이름인 전거레코드1, 2 는 서로 링크된다.

9

-<그림 4> 제2접근방식

*출처: Niu 2013

이용자가 하나의 이름으로 검색할 때, 전거레코드 간의 연결은 개체의 다른 이름 을 이용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A2로 검색하면 우선 전거파일을 검 색하고 전거형 이름 A1과 전거레코드2와의 연결고리를 찾는다. 온라인목록시스템은 A1을 이용해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 서지레코드 1, 2를 찾는다. 이후 온라인목 록은 자동으로 B1을 이용해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거나 이용자가 B1을 이용해 검색하도록 안내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서지레코드 3, 4를 찾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이용자는 이 저자의 모든 저작을 찾을 수 있게 된다(<그림 2> 참조).

첫 번째 방식과 비교할 때 두 번째 방식은 더욱 융통성을 가지며, 표목의 유지도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전거레코드를 구축하는 사서가 A, B 이름이 동일한 개체라 는 것을 모르고 각각에 대해 독립된 전거레코드를 생성하였다. 서지레코드 1, 2에 대해 전거형 이름 표목 A1을 기술하고, 서지레코드 3, 4에 대해 전거형 이름 표목 B1을 기술한 것이다. 목록자가 이 두 이름 간의 관계를 후에 알게 되었을 때, 첫 번 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전거레코드 1, 2를 병합하고 두 가지 전거형 이름 중 하 나를 이형으로 변환해야 하며, 관련된 서지레코드에 있는 전거형 표목을 변경시켜 야만 한다. 이에 반해, 두 번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목록자는 기존 전거레코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연결만 추가하면 된다. 이 때, 링크에 관한 세부사항을 두 번째 접근에서는 명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거레코드는 이전 이름과 후행 이름 혹은 실제 이름과 필명으로 연결하는 것이다(Niu 2013).

3) 제3접근방식

세 번째 전거제어의 방식은 하나의 개체에 대해 다수의 전거형 이름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다수의 전거형 이름과 이들의 이형을 포함하여 개체의 모든 이 름을 하나의 전거레코드에 그룹화한다. 도서관에서는 서지레코드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전거형 이름 표목을 각자 결정할 수 있다. 세 번째 방식은 동일 에이전트/개 체에 대해 여러 도서관에서 만든 다수의 전거레코드를 하나의 전거레코드로 병합하 는 에그리게이터형 전거파일(aggregated authority file)에 특히 유용하다. 도서관마

10

-다 각기 -다른 전거형 표목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수의 전거형 이름은 에이전트/개체 에 대한 에그리게이터 전거레코드에 모두 포함된다(<그림 3> 참조).

<그림 5> 제3접근방식

*출처: Niu 2013

이용자가 온라인목록에서 이름을 검색할 때 전거파일을 먼저 검색하고, 전거레코 드에 기재된 해당 저자의 모든 전거형 이름을 서지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사용하여 서지레코드를 검색하게 된다(Niu 2013).

1.4.2 전거형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

1) 제4접근방식

한 저자의 모든 이름과 형식은 하나의 접근점레코드에 수집된다. 목록자는 자료 에 기재된 이름을 서지레코드에 기술하고, 접근점레코드에 그 이름이 없는 경우 접 근점레코드에 해당 이름을 추가한다. 전거레코드를 사용하는 대신 접근점레코드는 에이전트의 모든 이름과 이름 형식을 클러스터한다.

이용자가 이름을 검색할 때 접근점레코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우선검색하 고, 에이전트에 대한 접근점레코드에 기록된 모든 이름과 형식을 서지데이터베이스 검색에 사용하며, 저자의 모든 저작이 검색된다(<그림 4> 참조).

첫 번째 방식과 비교할 때 이 접근은 온라인목록시스템이 다중 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짐을 줄 수 있다. 물론 이 방식 또한 개체의 모든 이름과 형식을 수집해야 하 지만 서지레코드에 특정 전거형 표목을 선택하고 표목의 형식을 표준화할 필요가 없어 목록자의 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Niu 2013).

11

-<그림 6> 제4접근방식

*출처: Niu 2013

2) 제5접근방식

이 방식은 네 번째 방식과 유사하지만, 하나의 개체에 대해 다수의 접근점레코드 를 생성하고 저자의 개별 이름에 대해 각각을 링크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용자가 A1이라는 이름을 이용해 검색하는 경우, 접근점레코드를 포함하는 데이 터베이스를 우선 검색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서 A1과 관련된 A2 혹은 B에 대 한 접근점레코드의 링크를 찾는다. 도서관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는 A1과 A2을 이 용해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서지레코드 1, 2를 추출한다. 또한, 이 접근점레 코드와 연결된 B1, B2를 이용해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거나 B1, B2를 이용해 이용자가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도록 안내한다(<그림 5> 참조). 어느 경우에도 4개의 서지레코드는 모두 검색할 수 있다(Niu 2013).

<그림 7> 제5접근방식

*출처: Niu 2013

12 -3) 제6접근방식

마지막 여섯 번째 접근방식은 전거레코드나 접근점레코드가 존재하지 않고, 동일 저자가 쓴 저작의 서지레코드를 서로 연계하는 방식이다. 목록자는 자료의 이름 그 대로 기술하고, 동일 저자의 다른 저작에 대한 서지레코드를 상호 연계를 한다. 전 거형 이름 표목을 선정하거나 형식을 표준화할 필요가 없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 는 이용자는 이름을 검색하면 서지데이터베이스를 직접 검색한다. 검색된 이름이 포함된 서지레코드가 검색되고, 링크를 따라가면서 동일 저자가 쓴 다른 저작의 서 지레코드를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림 8> 제6접근방식

*출처: Niu 2013

이용자가 서지레코드에서 A1로 검색하면 서지레코드1이 검색된다. 이 레코드에 다른 3개의 서지레코드가 연계되어 있어 나머지 3개의 서지레코드를 찾을 수 있다 (<그림 6> 참조).

이러한 접근방식은 전거레코드나 접근점레코드가 별도로 존재하는 대신, 서지레 코드 간의 링크를 통해 그 기능을 대체한다는 것이다. 목록자는 몇몇 이름이 하나 의 개체를 참조하는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지만 전거레코드나 접근점레코드를 위한 별도의 레코드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은 다수의 목록자나 이용자가 비 교적 오랜 기간 서지레코드 간에 다양한 링크가 만들어야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RDF와 같은 링크체계가 존재하는 링크드데이터(Linked Open Data) 환경에 서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Niu 2013).

2. 국제목록원칙의 전거제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