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적용 학습 현대시 11

문서에서 이 책의 구성 (페이지 104-108)

너무도 여러 겹의 마음을 가진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나는 왠지 가까이 가고 싶지 않았습니다

흰 꽃과 분홍 꽃을 나란히 피우고 서 있는 그 나무는 아마 사람이 앉지 못할 그늘을 가졌을 거라고

멀리로 멀리로만 지나쳤을 뿐입니다

흰 꽃과 분홍 꽃 사이에 수천의 빛깔이 있다는 것을 나는 그 나무를 보고 멀리서 알았습니다

눈부셔 눈부셔 알았습니다

피우고 싶은 꽃빛이 너무 많은 그 나무는

그래서 외로웠을 것이지만 외로운 줄도 몰랐을 것입니다 그 여러 겹의 마음을 읽는 데 참 오래 걸렸습니다

흩어진 꽃잎들 어디 먼 데 닿았을 무렵

조금은 심심한 얼굴을 하고 있는 그 복숭아나무 그늘에서 가만히 들었습니다 ㉠저녁이 오는 소리를

- 나희덕,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한껏 구름의 나들이가 보기 좋은 날 등나무 아래 기대어 서서 보면 가닥가닥 꼬여 넝쿨져 뻗는 것이 참 예사스러운 일이 아니다

철없이 주걱주걱 흐르던 눈물도 이제는 잘게 부서져서 ㉡구슬 같은 소리를 내고 슬픔에다 기쁨을 반반씩 버무린 색깔로 연등 날 지등(紙燈)의 불빛이 흔들리듯 내 가슴에 기쁨 같은 슬픔 같은 것의 물결이 반반씩 한꺼번에 녹아 흐르기 시작한 것은 평발 밑으로 처져 내린 등꽃 송이를 보고 난 그 후부터다

밑뿌리야 절제 없이 뻗어 있겠지만 아랫도리의 두어 가닥 튼튼한 줄기가 꼬여

[01~03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큰 둥치를 이루는 것을 보면

그렇다 너와 내가 자꾸 꼬여 가는 그 속에서 좋은 꽃들은 피어나지 않겠느냐?

또 구름이 내 머리 위 평발을 밟고 가나 보다 그러면 어느 문갑 속에서 파란 옥빛 구슬 꺼내 드는 ㉢은은한 소리가 들린다.

- 송수권, 「등꽃 아래서」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와 (나)는 모두 설의법과 단정적 어조를 활용하여 화자의 자기반성적 태도를 암시하고 있다.

② (가)와 (나)는 모두 대상의 외양적 특징이 화자의 인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③ (가)와 (나)는 모두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활용하여 부정적인 현실 상황을 극복하려는 화자의 의지를 부각하고 있다.

④ (가)는 대상의 변화 과정을 통해, (나)는 과거 회상의 매개체를 활용하여 시간 흐름에 따른 세태 변화를 드러내고 있다.

⑤ (가)는 원경에서 근경으로의 시선 이동을 통해, (나)는 근경에서 원경으로의 시선 이동을 통 해 화자가 주목하는 대상의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01

20001-0094

적용 학습 현대시 11

<보기>를 참고하여 ㉠~㉢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심심한 얼굴을 하고 있는 그 복숭아나무 그늘’을 시각적 이미지로 전이시킨 것으로, 시인의 주관적 감정이 구체화된다고 볼 수 있겠지.

② ㉡은 ‘주걱주걱 흐르던 눈물’을 청각적 이미지로 전이시킨 것으로, 화자의 비애감을 강조하 여 주제를 형상화한다고 볼 수 있겠지.

③ ㉡이 ‘슬픔에다 기쁨을 반반씩 버무린 색깔’의 시각적 이미지로 전이되는 것은, 화자의 불안 함을 부각하는 효과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겠지.

④ ㉢은 ‘좋은 꽃’의 ‘파란 옥빛’이 나타내는 시각적 이미지를 청각적 이미지로 전이시킨 것으 로, 대상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 인식이 독자에게 감동과 여운을 주는 시적 정서로 환기된다 고 할 수 있겠지.

⑤ ㉢은 ‘평발을 밟고 가’는 ‘구름’의 시각적 움직임을 청각적 이미지로 전이시킨 것으로, 대상 을 변화시키려는 화자의 주관적 의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된다고 할 수 있겠지.

시에서는 두 종류의 감각이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인의 주관적 감정이 구체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중에서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전이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와 같은 표현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반대로 시각적 이미지를 청각적 이미지로 전이시키 는 경우도 있다. 소리 없는 모양을 청각적 이미지로 바꾸는 과정은, 울림과 여운이 있는 시적 정서 로 환기되어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

02

20001-0095

<보기>를 참고하여 (가)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너무도 여러 겹의 마음을 가진’ 나무에게 ‘왠지 가까이 가고 싶지 않았’다는 화자의 회상은, 화자가 대상에게 오해에서 비롯된 감정을 지녔음을 보여 주는군.

② ‘아마 / 사람이 앉지 못할 그늘을 가졌을’ 것이라고 대상을 파악한 화자의 거리감은, 둘 사이 의 본격적인 만남을 유예한 원인이 되었겠군.

③ ‘외로웠을 것이지만 외로운 줄도 몰랐을 것’이라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짐작은, 스스로를 성 찰하는 태도가 부족했던 상대방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겠군.

④ ‘여러 겹의 마음을 읽는 데 참 오래 걸렸’다는 화자의 고백은, 화자가 자신의 편견으로 인해 상대의 마음을 읽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음에 대한 반성을 내포하는 것이겠군.

⑤ ‘복숭아나무 그늘에서’ ‘저녁이 오는 소리’를 듣는 화자의 행위는, 대상을 진정으로 이해하 고 그 대상과 교감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겠군.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는 화자가 대상을 이해해 가는 변화의 과정이 드러난 작품이다. 처음에 화자는 대상의 특징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갖고 대상에 거리감을 느끼며 그와의 본격적인 만남을 유 예하게 된다. 하지만 멀리서 대상을 바라본 화자는 그의 진실한 모습을 발견하여 대상에 다가가게 되고, 대상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다. 화자는 자신의 편견으로 인해 상대의 마음을 읽는 데 오랜 시간 이 지나게 되었음을 고백하고 성찰하며, 비로소 대상과의 성숙한 만남을 이룬 후 교감하게 된다.

03

20001-0096

문서에서 이 책의 구성 (페이지 104-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