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TV 자막방송35)

우리나라의 경우 , 1999년 2월에 MBC 본 방송 실시를 필두로 하 여 SBS가 2월 21일, KBS가 3월 3일부터 실시를 함으로써 비로소

35) 한국의 자막방송. http://www.kjcas.com/jamak.html. (2001.1.19)

본격적인 자막방송의 시대에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

미국의 경우 2002년까지 거의 100%를 자막방송 키로 결정, 추진 중이며, 일본의 경우에는 현재 50%가량을 자막방송으로 내보내고 있으며, 2005년까지는 전 방송을 자막방송으로 내보내기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나라는 KBS의 경우 2001년에는 50%, 2002년에 80%를 자막방 송으로 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타방송사도 비슷하게 실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막방송시스템은 국책사업으로 선정되어 정부자금으로 개발된 시 스템이다. 자막방송의 시스템은 4명이 한조가 되어 2명이 속기를 하 고 나머지 2명은 앞의 2명이 속기한 내용을 수정 검색하면서 이상이 없으면 전용선을 통하여 방송사로 전송하고, 방송사는 이를 전파에 실어 캡션장치가 부착된 TV에서 수신을 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 다.(전국어디에서나 공중파 방송인 KBS, MBC, SBS, EBS에 폐쇄자 막으로 방송되므로 디코더라는 수신기가 있어야 시청할 수 있다.)

현재 실시중인 자막 방송 프로그램은 TV유치원 하나 둘 셋, 사랑 의 리퀘스트,, KBS일요스페셜, KBS9뉴스, 스포츠뉴스, 대하드라마 왕건, 명화극장, 뽀뽀뽀, MBC뉴스, 출발! 비디오 여행, 21세기위원회, 칭찬합시다, MBC뉴스데스크, SBS 8시뉴스 등이 있다.

KBS는 19시간 30분, MBC는 20시간 10분, SBS는 4시간 55분을 방송하고 신문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란에는 한글자막방송을 실시하 는 프로그램이 표시 되어있다.

한국농아인협회에서 2001년 3월 한달 동안 청각장애인 138명을 대 상으로 실시한 TV 자막 방송 시청 실태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36)

선 자막 수신기를 갖고 있지 않는 사람이 조사 대상자의 33.3%인 48명에 달해 여전히 많은 청각 장애인들이 자막 방송을 보지 못하고 있다. 자막 수신기(13만5천원)가 없는 이유에 대해 구입할 돈이 없어 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구입할 방법을 몰라서 29.3%, 가격이 내려가면 사려고 8.3% 순으로 나타나 경제적 인 이유로 자막기를 살수 없는 장애인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자막방송을 시청한 후 변화를 체험했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87.8%

였으며 개인 적인 변화로는 정보를 얻음(42.5%)이 가장 많았고 다음 은 정보를 다른 곳에 사용함(25.5%), 자막을 능숙하게 읽을 수 있게 됨(21.7%), 문장력에 자신감이 생김(10.4%) 순이었다.

대인관계에서 나타난 변화로는 가족들과 방송에 대한 이야기 공유 (37%), 친구들과 TV 이야기를 자주함(30.3%), 이야기 거리가 많이 생김(21.8%), 유식해졌다고 생각함(10.9%)을 들었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63.3%가 매일 자막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2에서3일 정도 시청한 장애인이 11.1%, 1일에서 2일 정도는 10%, 4일 정도는 8.7% 였다.

2) 장애인 전용 라디오방송(사랑의 소리방송)

1993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을 중심으로 서강대 교수들이 정보 의 부족에 의해 장애인들이 소외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장애인을 위 한 전문 정보 채널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선진국의 장

36) 시각 장애인을 위한 서울시 인터넷 홈페이지 Seoul Eye http://friend.metro.seoul.kr/. (2001.9.14)

애인 전용 방송37)을 검토하여 아시아권에서는 일본 다음으로 두 번 째로 장애인 방송을 개국하고자 결의하였다. 이에 공보처 및 관련 부서는 서강대학교와 KBS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형태로 장애인 전용 FM라디오 채널인 사랑의 소리방송을 허가하였다.(1995년 12월 개국) 서강대학교는 사랑의 소리방송의 프로그램 제작과 실제 방송 운영을 담당하고, KBS는 기존의 방송망 시설을 통해 방송 송출 및 운영에 관해 책임을 지고 방송을 실시하다 2001년 1월 1일부터는 KBS에서 직접 방송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KBS가 제작을 시작하면서부터 별도의 수신기가 있어야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던 방식이 일반 주파수 방송(KBS 제3Radio AM639Khz) 으로 전환되어 장애인들이 별도의 수신기가 필요없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37) 미국의 ‘IN TOUCH’, 호주의 ‘RPH’, 일본의 ‘JBS’

<표 - 15> 사랑의 소리 방송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내용

내일을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행사 안내 및 생활 정보

책마을 나들이 음악, 문화, 신화, 전설 관련 국내외 단행본 낭독

소설극장 역사 대하소설 낭독

뉴스 중개실 1·2부 국내 일간지 및 시사 주간지 낭독

사랑의 교차로 화제의 인물 초대 및 정보 제공 DJ 프로그램 연속낭독 국내외 베스트셀러 소설 입체 낭독

시가있는 풍경 시와 수필 낭독

역사 문화 이야기 인물전기 ,풍물, 세시 풍속 관련 국내외 단행본 낭독 사랑의 소리매거진 국내 월간지 낭독

사랑의 응접실 맹인 전문 정보제공

내일은 푸른하늘 장애인 재활 정보 종합 프로그램

사랑의 소리 상담실 장애인을 위한 교육, 건강, 의학, 직업 등 상담 언제나 청춘 노인대상 전문 프로그램

김광한의 음악세계 POP DJ가 엮는 미니 공개 오락 프로그램

※ 출처 : 사랑의 소리 방송 홈페이지.

http://www.sogang.ac.kr/. (2001.2.9)

3.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관련 특수장비 및 소프트웨어

장애인복지의 정보화를 이루기 위한 조건 중 하나는 장애인이 컴 퓨터 사용방법을 터득하여 필요한 자료를 얻거나 특정 서비스를 신 청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에 대 한 장애유형별의 다양한 정보화 교육과 정보화 교육 후 원활한 컴퓨

터 사용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데 장애인의 경우 일반인과 달리 신체 의 활용이 떨어지므로 장애인이 일반인과 같은 수준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해 주는 특수장비 및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야 만이 장애인에 대한 정보화를 이룰 수 있는 기본 조건이 갖추어 지는 것이다. 곽치영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의 조사결과에 따르 면 장애인이 컴퓨터 이용에 가장 어려운 점은 신체장애 58.3%, 사용 법의 어려움을 25%로 응답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 이용에 최우선 적으로 지원할 사항에 특수장비 및 소프트웨어 개발이 32.8%로 높 게 나타났다.

다음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었거나 유통되는 정보통신 관련 특수장비 및 소프트웨어이다.38)

1) 입력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1)키가드(key guard)와 키보딩 조절판 파일

상지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 기존의 키보드를 사용할 수는 있으 나 원하는 키를 정확하게 누르는 데에 어려움이 있거나, 키를 눌렀 다가 빨리 손가락을 떼지 못하여 키 입력이 반복되는 현상과 명령키 나 쉬프트키를 누르면서 또 하나의 키를 누르는 작업이 불가능한 경

38) 김학영(1997), 정보화와 청각장애인, 한국청각장애자복지회. 백남중(1997), 정보 화와 시각장애인, 한국시각장애인복지회. 서인환(1997), 정보화와 시각장애인 (Ⅱ), 한국맹인복지연합회. 안일남(1997), 정보화와 청각장애인(Ⅱ), 영롱청각장 애인선교회. 유명화(1998), 정보화 사회와 장애인 복지,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의 내용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울시 인터넷 홈페이지 ‘SEOUL EYE', 장애 인용품 전문 인터넷쇼핑몰 ‘ABLE MALL'의 내용을 종합·보완

우, 특히 손으로 키보드를 누르지 않고 막대기 등을 입에 물고 키를 눌러야 하는 경우, 키가드(420,000원)를 사용하면 키보딩의 실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키가드는 키보드 배열에 맞추어 구멍을 뚫은 투명한 아크릴을 말하며 키보드 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자 판사용의 불편함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랩탑용과 PC 용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 노트북 같은 작은 크기도 지원한다.

이러한 직접적인 장비 외에도 Windows에는 이를 막아주는 '내게 필요한 옵션'이 있어 장애인들의 키 입력 실수를 막아준다. 또한 장 애인들이 마우스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키보드 우측에 있는 숫자패드 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용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 Windows 에서 '제어판'을 선택한 후 장애인 보호마크 아이콘이 그려진 '내게 필요한 옵션' 이라는 항목에서 본인에게 필요한 환경으로 설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면 된다.

(2) 대체 키보드와 대체입력장비

장애정도가 심하여 기존의 키보드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의 경우 특수키보드 또는 대체입력장치가 필요하다.

대체키보드 : 팔의 움직임의 제약이 있는 장애인을 위한 기존의 키보드보다 크거나(1,940,000원) 작은 키보드, 양손 사용이 어려운 장 애인을 위한 한손자판 키보드(750,000원) 등이 있다.

무선키보드 : PC 본체에 연결되는 수신장치와 송신부가 키보드에 내장되어 있어 PC 본체와의 연결선이 따로 필요없이 10m 거리 이

내의 어떤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이다.(삼성전 기개발. 88,000원)

스위치와 스위치인터페이스 : 대체 키보드의 사용마저 용이하지 않은 중증지체장인을 위한 장비로 키보드 대신 스위치로 소프트웨어 를 사용한다. 손이나 발로 누르는 스위치, 머리로 누르는 스위치, 호 흡을 사용하는 스위치(3,900,000원), 근육의 움직임을 사용하는 스위 치 등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들이 현재 개발되어 있다.(우경복지재단 개발)

HeadMaster와 HeadMouse : 손의 사용은 용이하지 않으나 머리의 움직임이 안정적인 지체장애인을 위한 대체입력장비이다.

HeadMaster는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폰처럼 생긴 장비를 씌워주어 머리의 움직임으로 화면 커서를 이동하고 HeadMaster(1,900,000원) 의 빨대를 입으로 불어서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는 방법으로 사용하 며 HeadMouse는 근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

HeadMaster는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폰처럼 생긴 장비를 씌워주어 머리의 움직임으로 화면 커서를 이동하고 HeadMaster(1,900,000원) 의 빨대를 입으로 불어서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는 방법으로 사용하 며 HeadMouse는 근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