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설문지는 자료의 코딩과정을 통해 응답내용이 부실하거 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켰다.분석 가능한 자료는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0.1과 AMOS 5.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환경요인(가정환경,학교환 경,사회환경,문화환경)과 사회적 건강요인(성취동기,사회성,도덕성,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t-검증과 일원변량(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환경요인(가정환경,학교환경,사회환경,문화환경)과 사회적 건강요인(성취동 기,사회성,도덕성,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환경요인(가정환경,학교환경,사회환경,문화환경)과 개인적 경험(유해업소 출 입,약물복용,절도 및 폭력,성적경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I V.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운동선수 환경요인이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 해 설정한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첫째,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 요인과의 관계 둘째,고등학교 운동선수의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과의 상관관계 셋 째,고등학교 운동선수의 환경요인과 개인적 경험과의 관계 넷째,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 요인 그리고 개인의 경험요인간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1.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 비교

하위요인 구 분 빈도수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가정환경 남 자 1,061 2.28 .643

-2.793 .005**

여 자 421 2.39 .661 문화환경 남 자 1,061 2.88 .808

-1.249 .212 여 자 421 2.93 .674

사회환경 남 자 1,061 2.67 .830

2.473 .014* 여 자 421 2.55 .824

학교환경 남 자 1,061 3.56 .903

-.422 .673 여 자 421 3.58 .839

성취동기 남 자 1,061 2.48 .612

-4.644 .000**

여 자 421 2.64 .573 사회성 남 자 1,061 2.75 .838

-1.367 .172 여 자 421 2.82 .869

도덕성 남 자 1,061 2.94 .813

-1.929 .054 여 자 421 3.03 .815

자아존중감 남 자 1,061 2.56 .781

-.825 .409 여 자 421 2.60 .888

표 7.성별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비교결과

*p< .05,**:p< .01

하위요인 구분 빈도수 평균 표준편차 F 값 p 값

가정환경

1학년 592 2.27 .656

1.458 .233 2학년 487 2.33 .622

3학년 403 2.33 .672 평균 합계 1,482 2.31 .650

문화환경

1학년 592 2.90 .775

1.047 .351 2학년 487 2.85 .760

3학년 403 2.92 .782 평균 합계 1,482 2.89 .772

사회환경

1학년 592 2.60 .874

.350 .705 2학년 487 2.64 .857

3학년 403 2.64 .720 평균 합계 1,482 2.63 .829

학교환경

1학년 592 3.59 .903

.669 .512 2학년 487 3.54 .905

3학년 403 3.53 .830 평균 합계 1,482 3.56 .885

성취동기

1학년 592 2.55 .616

2.260 .105 2학년 487 2.53 .569

3학년 403 2.47 .628 평균 합계 1,482 2.52 .605

사회성

1학년 592 2.76 .838

.450 .638 2학년 487 2.80 .842

3학년 403 2.76 .864 평균 합계 1,482 2.77 .846

도덕성

1학년 592 2.95 .791

.382 .682 2학년 487 2.99 .866

3학년 403 2.96 .787 평균 합계 1,482 2.97 .815

자아존중감

1학년 592 2.56 .840

.101 .904 2학년 487 2.56 .826

3학년 403 2.58 .760 평균 합계 1,482 2.57 .814 표 8.학년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비교결과

<표 7>은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성별에 따라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에 유의 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이다.성별비교에 의하면 환 경요인의 4개의 하위요인 중에서 가정환경(p<.001)과 사회환경(p<.05)요인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문화환경과 학교환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사회적 건강요인에서는 성취동기에서(p<.001)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사회성, 도덕성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환경요인에서는 사회환경의 경우 남자(M =2.67)가 여자(M =2.55)보다 p< .05수준에서 높게 나타났고,가정환경에서는 여자(M =2.39)가 남자(M =2.28)보 다 p< .01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사회적 건강요인에서는 성취동기의 경우 여자(M

=2.64)가 남자(M =2.48)보다 p< .01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환경요인과 사회적 건 강요인에서 전반적으로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어 성별에 따라 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에 비해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남자 선수들은 사회 환경에서,여자 선수들은 가정환경에서 영향을 더 받고,성취의욕 면에 서는 여자선수들이 남자 선수들보다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표 8>은 학년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과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 증한 일원 분산분석 결과이다.결과에 의하면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이는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은 학년에 따라서는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하위요인 구 분 빈도수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가정환경 종교 있음 877 2.25 .644

-4.240 .000**

종교 없음 605 2.39 .650 문화환경 종교 있음 877 2.87 .757

-1.274 .203 종교 없음 605 2.92 .796

사회환경 종교 있음 877 2.57 .828

-2.995 .003**

종교 없음 605 2.70 .826 학교환경 종교 있음 877 3.57 .893

.594 .553 종교 없음 605 3.54 .873

성취동기 종교 있음 877 2.51 .605

-.478 .632 종교 없음 605 2.53 .606

사회성 종교 있음 877 2.72 .880

-2.796 .005**

종교 없음 605 2.84 .792 도덕성 종교 있음 877 2.94 .809

-1.535 .125 종교 없음 605 3.01 .826

자아존중감 종교 있음 877 2.55 .840

-.804 .422 종교 없음 605 2.59 .774

표 9.종교 유무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비교결과

**:p< .01

<표 9>는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종교유무에 따라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이다.종교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 환경요인에서 가정환경(p<.01)과 사회환경(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고,건강요인에서는 사회성(p<.01)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가정환경과 사회환 경은 종교에 따라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종교가 없는 경우에서 더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다.이는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은 종교유무에 따라서 사회적 건 강요인은 차이가 많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위요인 구 분 빈도수 평균 표준편차 F 값 p값

가정환경

상 170 1.98 .603

34.855 .000**

중 802 2.29 .615 하 510 2.44 .673 평균 합계 1,482 2.31 .649

문화환경

상 170 2.97 .936

1.169 .311 중 802 2.89 .735

하 510 2.86 .770 평균 합계 1,482 2.89 .773

사회환경

상 170 2.48 .940

4.855 .008**

중 802 2.62 .792 하 510 2.70 .841 평균 합계 1,482 2.63 .830

학교환경

상 170 3.47 .896

10.593 .000**

중 802 3.66 .866 하 510 3.44 .890 평균 합계 1,482 3.56 .884

성취동기

상 170 2.45 .679

1.785 .168 중 802 2.53 .582

하 510 2.54 .613 평균 합계 1,482 2.52 .605

사회성

상 170 2.49 .929

11.644 .000**

중 802 2.80 .803 하 510 2.84 .870 평균 합계 1,482 2.78 .848

도덕성

상 170 2.92 .848

.481 .619 중 802 2.98 .805

하 510 2.98 .819 평균 합계 1,482 2.97 .815

자아존중감

상 170 2.53 .921

4.559 .011* 중 802 2.52 .785

하 510 2.66 .813 평균 합계 1,482 2.57 .814 표 10.가정형편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비교결과

*p< .05,**:p< .01

하위요인 구 분 빈도수 평균 표준편차 F 값 p값

가정환경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26 .622

1.561 .132

계모 또는 계부 97 2.61 .732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50 .726 평균 합계 1,482 2.31 .650

문화환경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91 .782

1.670 .101

계모 또는 계부 97 2.76 .674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83 .755 평균 합계 1,482 2.89 .774

사회환경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62 .809

.941 .481

계모 또는 계부 97 2.76 .952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61 .903 평균 합계 1,482 2.63 .829

학교환경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3.69 .880

2.186 .026*

계모 또는 계부 97 3.57 .801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3.39 .950 평균 합계 1,482 3.56 .884

성취동기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52 .602

.369 .937

계모 또는 계부 97 2.58 .658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52 .592 평균 합계 1,482 2.53 .605

사회성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77 .846

.623 .759

계모 또는 계부 97 2.78 .803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81 .888 평균 합계 1,482 2.78 .847

도덕성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98 .814

1.100 .360

계모 또는 계부 97 2.99 .788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95 .854 평균 합계 1,482 2.97 .816

자아존중감

친아버지와 친어머니 1,229 2.57 .807

1.103 .358

계모 또는 계부 97 2.60 .921

편부 또는 편모(고아 포함) 144 2.52 .798 평균 합계 1,482 2.57 .814 표 11.부모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비교결과

*p< .05

<표 10>은 가정형편에 따라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를 검증한 일원 분산분석 결과이다.가정형편에 따른 비교에서 3개의 집단 즉,“상”(매 우 잘 산다 또는 잘 산다로 응답한 경우),“중”,“하”(매우 못 산다 또는 못 산다로 응 답한 경우)를 비교하였다.환경요인에서는 문화환경을 제외한 가정환경,학교환경,사 회환경 요인에서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건강요인에서는 사회 성(p<.001)과 자아존중감(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하위요인중에서 가정환경,학교환경,사회환경,사회성,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 가정형편이 “하”일 때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 고 있다.이는 환경요인에서는 가정,학교,사회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은 대부분 자신의 가정형편을 중산층 정도로 인식하고 있고,가정형편이 어 려운 경우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사회적 건강요인에서 사회성과 자 아존중감이 영향을 주고 있고 가정형편이 어려운 경우에 자신에 대한 가치를 높게 부 여하고 대인관계에서도 비교적 원만하게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11>은 부모에 따라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 증한 일원 분산분석 결과이다.부모에 따른 비교에서는 환경요인에서 학교환경(p<.05)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친부모”일 때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 고 있어,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은 친부모일 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고 생활하며, 부모는 운동선수들의 후원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학교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사회적 건강요인에서는 4개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평균에서는 “친아버지와 친어머니”일 때 대체적으 로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어 부모는 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위요인 구 분 빈도수 평균 표준편차 F 값 p 값

가정환경

친구 또는 동료 1,135 2.37 .640

22.365 .000**

선배, 선생님, 감독 64 2.38 .721 부모님 283 2.08 .594 평균 합계 1,482 2.32 .648

문화환경

친구 또는 동료 1,135 2.88 .742

1.792 .167 선배, 선생님, 감독 64 2.83 .983

부모님 283 2.96 .754 평균 합계 1,482 2.89 .770

사회환경

친구 또는 동료 1,135 2.57 .819

9.908 .000**

선배, 선생님, 감독 64 2.85 .962 부모님 283 2.73 .768 평균 합계 1,482 2.63 .829

학교환경

친구 또는 동료 1,135 3.54 .888

5.358 .005**

선배, 선생님, 감독 64 3.41 .924 부모님 283 3.69 .838 평균 합계 1,482 3.56 .885

성취동기

친구 또는 동료 1,135 2.54 .608

1.161 .314 선배, 선생님, 감독 64 2.48 .596

부모님 283 2.49 .593 평균 합계 1,482 2.53 .604

사회성

친구 또는 동료 1,135 2.76 .860

2.822 .060 선배, 선생님, 감독 64 2.70 .816

부모님 283 2.88 .808 평균 합계 1,482 2.78 .848

도덕성

친구 또는 동료 1,135 2.96 .798

2.756 .064 선배, 선생님, 감독 64 2.90 .971

부모님 283 3.07 .777 평균 합계 1,482 2.97 .813

자아존중감

친구 또는 동료 1,135 2.53 .796

5.175 .006**

선배, 선생님, 감독 64 2.72 .892 부모님 283 2.65 .829 평균 합계 1,482 2.57 .814 표 12.고민 상담자에 따른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의 비교결과

**:p< .01

<표 12>는 고민 상담자에 따라 환경요인과 사회적 건강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가를 검증한 일원 분산분석 결과이다.고민상담자 유형에 따른 비교에서는 환경요인에 서 문화환경을 제외한 3개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고 사회적 건강에서는 자아존중감(p<.01)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정환 경과 사회환경 그리고 사회적 건강의 하위요인인 자아존중감에서는 고민상담자가 “선 배ㆍ선생님ㆍ감독”일 때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교환경에서는 고민상담 자가 “부모님”일 때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일상적인 의 사소통은 대부분 또래관계에서 이루어지며,자신과 같은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또래친 구들이 가장 많은 고민의 상담자이자 대상자임은 자연스런 현상으로 보여진다.빈도수 에서도 나타나듯이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일상적인 고민에 있어서는 “친구 또는 동 료”들과 의논하지만 사회적 행동과 운동수행에 있어서는 “선배ㆍ선생님ㆍ감독”에게 학 교에서의 생활에 대한 고민대상자는 “부모님”임을 알 수 있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고 민상담자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