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구조모형 적합도 분석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관찰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측정 하기에 적절한 적합도와 타당도,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하며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구성 된 연구모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구조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Mplus 7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모수 추정에는 최대우도법(ML: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사용하였다. 최대우도법이란 추정을 위해 확률밀도함수를 최대화할 함수 를 우도함수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EM)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추 정방법이다. 일반적 특성에서 외부고용가능성 변인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의 연 령, 학력, 고용형태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구조모형을 추정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표 Ⅳ -10>과 [그림 Ⅳ-2]와 같다.

가설 1. 일능력, 비공식 네트워크, 기업가정신, 경력적응력 및 외부고용가능성에 관해 이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은 변인 간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이 연구의 구조모형은 일능력, 비공식 네트워크, 기업가정신이 외부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 치고 일능력, 비공식 네트워크, 기업가정신이 경력적응력을 매개로 외부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적 구조방정식 모형이다. 이 연구의 가설인 인과적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는 [그림 Ⅳ-2]와 같다. 구조모형에서의 적합도 지수 값은 369.776(df=84, p <

.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른 적합도 지수 값으로는 SRMR값이 0.074, TLI값이 0.902, CFI값이 0.924, RMSEA값이 0.055로 모델 적합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이에 따라 구 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통계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가설 1을 채택 하였다.

구분 진단기준 값

절대적합지수  검증 유의확률 369.776

(df=84, p < .001)

SRMR ≤.08 0.074

증분적합지수 TLI(Tucker & Lewis Index) ≥.90 0.902 CFI(Comparative Fit Index) ≥.90 0.924

기타지수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oroximation)

≤.05: 매우 좋음

≤.08: 좋은 편임

≤.10: 적합

0.055

자료: Kline(2016)과 배병렬(2016)이 제시한 판단 지수를 연구자 재정리

<표 Ⅳ-10>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

나. 직접효과 분석 결과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설정한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여 그 지수가 적합함을 판단하 였으며 구조모형 내 경로의 경로계수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로 설정한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 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설정한 가설2를 확인하고자 직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직접효 과는 구조모형의 각 경로계수를 통해 분석이 가능하며 결과는 다음 [그림 Ⅳ-1]와 <표 Ⅳ -11>과 같다.

1) 직접효과 분석

가설2를 검증하고자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일능력, 비공식 네트워크, 기업가정신, 경력적응 력과 외부고용가능성의 직접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가설 2-1. 은행권 중년 근로자의 일능력은 외부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능력은 직업전문성, 고용자신감, 노동시장인식을 통해 특정된 은행권 중년 남성 근로자의 외부고용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효과(β=.098, p <.05)가 있었고 가설 2-1 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은행권 중년 남성 근로자가 인식하는 일능력은 경력적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