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인식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 비교

3장의 인식 조사 결과는 일반 국민 및 전문가가 보건복지정책과 신기 술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결과들이고 4장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현재 보도되고 논의되고 있는 주제들이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부정 여론이 높은 긍·부정 분석 결과를 해석하는 데도 보건복지정책 관 련 인식 조사 항목과 관련지을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인식 조사 항목 중 아 래 질문은 현재 국민들이 느끼는 보건복지정책의 신기술 활용 수준에 대 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보건복지정책의 신기술 활용 수준 (‘귀하께서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보건복지정책에 신기술 연계(융합)

수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위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성별, 연령, 최종 학력, 거주 지역, 직업 및 월 평균 가구 소득과 관계없이 대체로 활용 수준이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낮다 75.5% vs 높다 24.6%). 이와 일관되게 본 연구의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성 분석에서도 신기술의 종류와 관계없이 부정적인 감성 표현이 높았다.

전문가 집단이 생각하는 정책별 과제 추진을 위해 필요한 신기술 주요 순위와 소셜 빅데이터의 정책별 신기술 관련 키워드를 통합한 결과를 노 란색 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빅데이터는 모든 정책에서 우

선순위에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고 관심 있게 봐야 할 필

위 표는 인식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결과를 통합한 것으로 보건복지정 책과 신기술의 접점을 찾는 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고, 2차 연도 연구는 노란색 셀을 중심으로 향후 연구 방향 및 구체적인 분석 사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인식 조사 결과 현재 느끼는 걱정거리(불안 요인) 1순위로 ‘일자리’

(28.6%)가 꼽혔고, 중점 과제 중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1 순위 또한 ‘일자리 안전망 확충’(37.9%)이었다.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가 제시하는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융합연 구의 재고점을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은 세 지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로

‘일자리 안전망 확충’의 정책 재고 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의 네트워크 분석 시에도 ‘고용’, ‘취업’, ‘청년’ 등 일자리 관린 키워드가 다수 나타났 고, 설문조사에서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의 ‘일자리 안전망 확충’

분야 적용 기대가 컸다(52.6%). 인식 조사 결과 우선순위에 있는 경제적 인 문제에 대한 걱정거리는 신기술의 활용 서비스에 대한 측면보다는 신 기술 제공이 가능한 전문 인력 양성과 연관 지을 수 있다. 둘째로 ‘예방적 건강 관리 체계 구축’ 정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도입이다. 네트워 크 분석 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의 연관어 네트워크에서는 ‘건강 관리’, ‘수면’, ‘혈당’, ‘습관’ 등의 키워드를 찾아볼 수 있었고, 이 기술을 활용한 건강 관리 센서 등은 건강 관리 체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셋째로 ‘생애주기별, 대상별 사회 서비스 확충’ 정책에서 의 ‘디지털 콘텐츠’ 기술 도입이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장애인’, ‘환자’,

‘훈련’ 등의 키워드가 연관어 네트워크상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장애인 재활 등의 분야에서 디지털 콘텐츠 기술(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적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그 결과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3가지 정책 관련 신기술 키워드 기사 원문은 다음과 같다.

아래 신문 기사는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간 연관성을 보여 주는 사례로, 향후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간 융합 전략을 모색할 때 구체적인 분석 사 례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인공지능․빅데이터-정책2(일자리 안전망 확충) 관련 원문: 매일경제, (2019.

1. 17.), 정무경 조달청장 “공공조달에 빅데이터 접목”

조달청이 개청 70주년을 맞아 혁신·일자리를 비롯한 5대 가치를 조달 행정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 밝혔다.

정무경 조달청장은 17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개청 70주년 기념식에 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거대한 물결이 각 산업에 접목되면서 시장이 융합·재창조되고 있다”며 “70년 바른 조달을 기반으로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연장선에서 혁신·일자리·사회적 가치·공정·찾아가는 조달 등 5대 역할을 제시했다. 조달청은 1949년 1월 17일 국무총리 소속 임시외자총국을 모태로 한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정책6(예방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 관련 원문: 아시아 타임즈, (2019. 2. 28.), 웨어러블 의료기기 도입… “아직 안정성 우려” vs

“고령환자에 필수”

웨어러블 의료 기기 산업은 미래 먹거리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정작 의료계에서는 찬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정부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웨어러블 의료 기기 제품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정작 현장 일선에 서는 기기의 안정성과 정확성에 아직 의문이 남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의료 기기 규제 완화는 의료 비 상승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

이와 반대로 웨어러블 의료 기기 도입이 더 이상 늦춰져서는 안 된다는

자로: 문재용. (2019. 1. 17.). 정무경 조달청장 “공공조달에 빅데이터 접목”.

결 론

제1절 신기술을 활용한 보건복지정책의 함의와 과제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방향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