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지표와 근감소증

65세 이상 남성노인에 근감소증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지 표는 Table11 과 같다.‘정상’군의 만 나이는 70.6(±4.7)세,‘근감소증’군은 73.0(±5.5)세로 근감소증에서 높은 연령을 보였고(p<0.001),직업유무에서는 ‘정 상’군의 ‘경제활동상태’높은 비율을 ‘근감소증’군에서 ‘비경제활동상태’가 높 은 비율을 보였다(p=0.034).운동여부에서는 ‘정상’군에서 ‘권장운동’이 ‘근감소 증’군에서 ‘운동안함’의 비율이 높음을 보였다(p=0.014).또한 ‘근감소증’군에서 1일 에너지 섭취량이 낮았다(p=0.001).복부비만여부에서는 근감소증의 ‘정상’

군에서 ‘복부비만’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근감소증’군에서 복부비만의 ‘정 상’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1).

건강관련 대사지표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근감소증’군에서 1일 단백질 섭취량,1일 칼슘 섭취량,HOMA-IR이 낮음을 보였다.반면 HDL-콜레 스테롤은 높았다(p<0.001).

Tabl e11.Gener alchar act er i st i csofsubj ect sby sar copeni ai n ol dermen ( n=806)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관련지표는 Table12와 같다.만 나이는 ‘정상’군에서 72.4(±5.4)세,‘근감소증’

군에서 74.6(±5.9)세로 ‘근감소증’군에서 높은 연령을 보였다(p=0.002).직업유 무에서는 ‘정상’군에서 ‘경제활동상태’의 비율이 높았고,‘근감소증’군에서는

‘비경제활동상태’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32).운동여부에서는 ‘정상’군에 서 ‘권장운동’의 비율이 높았고,‘근감소증’에서 ‘운동안함’비율이 높았다 (p=0.013).복부비만여부에서는 남성노인과 같은 결과로 근감소증 ‘정상’군에서

‘복부비만’이 높은 비율을 보였고,‘근감소증’군에서 복부비만의 ‘정상’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1).건강관련 지표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근감소 증’군에서 1일 단백질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p=0.15),1일 칼슘 섭취량 또한 ‘근감소증’군에서 낮았다(p=0.038).

Tabl e12.Gener alchar act er i st i csofsubj ect sby sar copeni ai n ol derwomen( n=1037)

2.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지표와 골다공증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골다공증 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관련지표는 Table13와 같다.‘정상/골감소증’군에서 연령이 71.3(±5.1)세,‘골 다공증’군에서 73.3(±5.2)세로 ‘골다공증’군에서 높은 연령을 보였고(p=0.009), 교육수준으로는 ‘정상/골감소증’군에서 ‘고등학교 이상’이 ‘골다공증’군에서는

‘초등학교 이하’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4).음주에서는 ‘정상/골감소증’에 서 ‘과음주’의 비율이 ‘골다공증’군에서 ‘비음주’의 비율이 높았다(p=0.017).또 한 ‘골다공증’군에서 ‘운동안함’과 ‘1000kcal이하’의 비율이 높음을 보여 ‘정 상/골감소증’과 비교했을 때 골다공증에서 1일 에너지 섭취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03).복부비만여부에서는 ‘정상/골감소증’군에서 ‘복부비만’이 높 은 비율을 보였으며,‘골다공증’군에서 복부비만의 ‘정상’이 높은 비율을 보였 다(p<0.001).건강관련 대사지표에서는 ‘골다공증’군에서 1일 단백질 섭취량,1 일 칼슘 섭취량의 낮음으로 단백질과 칼슘을 적게 섭취하였다.또한 HOMA-IR, 공복혈당에서도 ‘골다공증’군이 ‘정상/골감소증’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낮음을 보였다.

Tabl e13.Gener alchar act er i st i csofsubj ect sby ost eopor osi si nol dermen( n=806)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골다공증 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관련지표는 Table 14 와 같다.‘골다공증’군에서 높은 연령을 보였으며 (p<0.001),교육수준으로는 ‘정상/골감소증’에서는 ‘중학교’가 높은 비율로 나 타났고,‘골다공증’에서는 ‘초등학교 이하’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1).‘골 다공증’에서 ‘현재흡연’‘운동안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1일 에너지 섭취량 또한 ‘골다공증’군에서 ‘1000kcal이하’의 비율이 높음을 보여(p=0.009),여성노 인에서 높은 연령,낮은 교육수준,흡연,운동,1일 에너지 섭취량이 골다공증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복부비만여부에서는 남성 노인과 같은 결 과로 ‘정상/골감소증’군에서 ‘복부비만’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골다공증’군 에서 복부비만의 ‘정상’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1).건강관련 대사지표에 서는 ‘골다공증’군에서 1일 단백질 섭취량이 낮았고(p=0.001),이와는 반대로 부 갑상선호르몬은 ‘골다공증’군에서 더 높았다(p=0.009).

Tabl e14.Gener alchar act er i st i csofsubj ect sby ost eopor osi si n ol derwomen ( n=1037)

3.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지표와 근감소성 골다공증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근감소성 골다공증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지표는 Table 15 와 같다.만 나이에서는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이 73.9(±5.0)세,‘정상’군이 71.4(±5.1)세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이 높은 연령을 보였다(p=0.004).교육수준에서는 ‘정상’군에서 ‘고등학교 이상’의 비율이 높았 고,‘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초등학교 이하’의 비율이 높았다(p=0.014).또한 1일 에너지 섭취량에서는 ‘정상’군에서 ‘2000kcal이상’이 ‘근감소성 골다공증’

군에서 ‘1000kcal이하’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1).복부비만에서는 ‘근감 소성 골다공증’군에서 복부비만의 ‘정상’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정상’군에서

‘복부비만’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04).

건강관련 대사지표의 결과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1일 단백질 섭취 량과 1일 칼슘 섭취량,HOMA-IR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음을 보였다.공 복혈당과 총콜레스테롤 수치 또한 ‘정상’군과 비교하여 ‘근감소성 골다공증’군 에서 유의하게 낮음을 보였다.

Tabl e15.Gener alchar act er i st i csofsubj ect sby sar co-ost eopor osi si n ol dermen( n=806)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골다공증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지표는 Table 16 과 같다.만 나이에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이 75.4(±5.9)세,‘정상’군이 72.4(±5.4)세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이 높은 연령을 보였다(p<0.001).경제활동에서는 ‘정상’군에서 ‘경제활동상태’가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고(p=0.039),운동여부에서는 ‘정상’군에서 ‘권장운동’의 비율이,‘근 감소성 골다공증’에서는 ‘운동안함’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1).복부비만여 부에서는 남성노인과 같은 결과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복부비만의 ‘정 상’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정상’군에서 ‘복부비만’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p<0.001).건강관련 대사지표의 결과로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근감소성 골다 공증’군에서 1일 단백질 섭취량과 1일 칼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Tabl e16.Gener alchar act er i st i csofsubj ect sby sar co-ost eopor osi si n ol derwomen ( n=1037)

Tabl e17.Sar copeni aaccor di ng t oost eopor osi si n ol dermen ( n=806)

    Nor mal Sar c ope ni a Tot al p-val ue Os t e opor os i s Nor mal / Os t e ope ni a 45 8( 63 . 6) 25 2( 36 . 4) 710( 10 0)

<0. 0 01 Ost e opor os i s 35( 3 9. 2) 61( 6 0. 8) 9 6( 1 00)

Tabl e18.Ost eopor osi saccor di ng t osar copeni ai n ol dermen ( n=806)

    Nor mal / Os t e ope ni a Os t e opor osi s Tot al p-val ue Sar c ope ni a Nor mal 45 8( 9 2. 1) 3 5( 7. 9 ) 493( 10 0)

<0. 001

s ar c ope ni a 25 2( 8 1. 1) 61( 1 8. 9) 313(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