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근감소증

근감소증 진단은 Baumgatner 등이 1998년 New Mexico Elder Health Survey(NMEHS)연구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Baumgatner등은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로 측정된 값 중 사지의 뼈와 지방을 제외한 값을 사지 근육량 (appendicularskeletalmuscle,ASM)이라고 정의하였고,이를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어 신장이 증가할수록 사지근육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정하여 이 방법로 산 출된 ASM/height2의 값을 젊은 기준 집단의 평균값보다 2표준편차(SD)미만으 로 감소된 것을 근감소증으로 정의하였다(Baumgatner등,1998).

본 연구는 기준 집단의 연령을 남성은 20-39세로 하였고,Kwon 등(2015) 의 연구결과,한국 여성의 사지근육량(appendicular skeletalmuscle,ASM)은 30-49세에 최고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은 30-49세를 기준 집단 연 령으로 하였다.이들 중 뇌졸중,심근경색증,협심증,류마티스성 관절염,골관절 염,폐결핵,천식,당뇨병,갑상선장애,간경변증과 암이 없는 건강한 남녀를 최종 기준 집단으로 하여 ASM/height2를 산출하였다.그 결과 건강한 기준집단의 남 성은 7.8±0.9kg/m2,여성은 5.8±0.7kg/m2으로 분석되어 2표준편차(SD)미만을 근감소증으로 정의한 결과 남성노인에서의 유병률은 8.2%,여성노인 0.5%로 여 성노인에서 낮은 유병률로 분석이 불가하였다.따라서 기준집단 ASM/height2

1 SD미만으로 노인의 근감소증을 정의하며,절단값으로는 남성노인 6.9 kg/m2, 여성노인 5.1kg/m2으로 하였다.

2.골다공증

골다공증은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에 의한 X-선 골밀도 측정기(DISCOVERY-W fan-beam densitometer, Hologic,Inc,USA)를 이용하여,요추와 좌측 대퇴골 전체,대퇴골경부,총골밀도 를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의 진단은 세계보건기구의 아 시아(일본)기준인 골감소증(-2.5 < T-score <-1)과 골다공증(T-score ≤ -2.5) 의 기준(WHO,1994)으로 조사대상자의 요추나 대퇴부 전체,대퇴경부골밀도 중 어느 한 곳이라도 골감소증 진단기준에 해당하면 골감소증으로 분류하고,요추나 대퇴부 전체,대퇴경부 골밀도 중 어느 한 곳이라도 골다공증의 진단기준에 해당 하면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였다.

3.치아상태지표

대상자의 치아상태지표로는 구강면접조사의 설문과 구강검진조사로 얻어진 변수를 사용하여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현존치아수는 대상자들의 구강내의 현 존하는 총 영구치수를 산출하여 세계보건기구(WHO)의 만족스러운 저작과 심미 적인 치열을 위해 최소 20개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기준인 20개를 기준으로 분류 하여 분석하였다(Internationale,1982;WHORO,1982).또한 우식경험 영구치아 수,우식경험 상실영구치아수,우식경험 처치치아수를 합산하여 측정값을 도출하 는 DMFT index를 Tertile로 범주화하여 사용하였다.대상자의 기능적 구강건강 상태로는 건전치아와 처치치아는 같은 ‘기능’을 한다는 가정 하에 두 종류의 치

아수를 합산하여 산출하는 Functioning Teeth index(Sheiham 등, 1987)를 Tertile로 범주화하여 사용하였다.전통적으로 치아우식증 경험을 측정하고 비교 하는 지수인 DMFT index는 우식경험이 많아지면 지수의 값이 커지지만,FS-T index는 건전한 치아가 많을수록 지수의 값이 커지고,우식경험이 많으면 값이 적어진다.즉,DMFT index는 질병에 근거를 둔 지수이고,FS-T index는 구강 기능과 건강에 근거를 둔 지수이다(조남억 등,2006).또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로 씹기 문제를 ‘불편’‘보통/불편하지 않음’으로 2분류하여 분석하였다.

4.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련지표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만 나이,교육수준,직업유무,흡연,음주,운동여 부,1일 에너지 섭취량의 변수를 사용하였다.교육수준은 졸업여부를 기준으로 초등학교 이하,중학교,고등학교 이상으로 분류하였고,직업유무는 경제 활동상 태,비경제 활동상태로 분류하였다.흡연여부로는 비흡연과 과거흡연,현재흡연으 로 2분류하였고,음주는 65세 이상 노인 기준으로 비음주,적당음주(3잔 이하/일

& 7잔 이하/주), 과음주(4잔 이상/일 & 8잔 이상/주)로 분류하였다(U.S.

DepartmentOfHealth& HumanServices,2005).운동 또한 65세 이상 노인 기 준으로 중등도 운동 150분/주 이상 또는 고도 운동 75분/주 이상이면 ‘권장수준 운동’,중등도 운동 150분/주 미만 또는 고도 운동 75분/주 미만이면 ‘권장이하운 동’,‘운동안함’으로 3분류 하였다(Organization,2010).노인들의 영양소 섭취량으 로는 1일 에너지 섭취량(kcal)을 ‘1000kcal미만’‘1000-1999kcal’‘2000kcal이 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건강대사 지표로는 근감소증,골다공증과 관련이 있는 변수로 혈액검사로 얻어진 비타민 D,부갑상선호르몬,공복혈당,총콜레스테롤,HDL-콜 레스테롤,중성지방과 인슐린 저항성 항상성 모델인 HOMA-IR을 Matthews등

(1985)이 제시한 방법으로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HOMA-IR =〔fastingplasmaglucose(mmol/L)× fastingplasmainsulin (µIU/mL)〕/22.5

또한 대상자의 영양조사에서 1일 단백질 섭취량과 1일 칼슘 섭취량을 연속 형 변수로 사용하여 분석하였고,대상자의 복부비만은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남성 은 90 cm 이상,여성은 85 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진단하였다(이상엽 등, 2006).

Out comevar i abl 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