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근감소증 여부에 따른 골다공증은 Table17으로

‘정상’군에서 ‘정상/골감소증’의 비율이 높았고,‘근감소증’군에서는 ‘골다공증’

이 높음을 보였다(p<0.001).또한,65세 이상 남성노인의 골다공증에 따른 근감 소증 여부에서도 ‘골다공증’군에서 근감소증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Table 18).

Thevaluesarepresentedasn(%)

Thevaluesarepresentedasn(%)

Tabl e19.Sar copeni aaccor di ng t oost eopor osi si n ol derwomen ( n=1037)

    Nor mal Sar cope ni a Tot al p-val ue Os t e opor os i s Nor mal / Os t e ope ni a 414( 95. 3 ) 23( 4. 7) 43 7( 10 0)

<0. 0 01 Os t e opor osi s 529( 87. 1 ) 7 1( 1 2. 9) 60 0( 10 0)

Tabl e20.Ost eopor osi saccor di ng t osar copeni ai n ol derwomen( n=1037)

    Nor mal / Os t e ope ni a Os t e opor os i s Tot al p-val ue Sar c ope ni a Nor mal 41 4( 42 . 4) 529( 57 . 6 ) 94 3( 1 00)

<0. 0 01 Sar c ope ni a 23( 1 9. 9) 7 1( 8 0. 1) 94( 100 )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여부에 따른 골다공증은 Table19로 ‘근 감소증’군에서 골다공증이 높은 비율을 보였고(p<0.001),골다공증에 따른 근감 소증 또한 ‘골다공증’군에서 근감소증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Table20).

Thevaluesarepresentedasn(%)

Thevaluesarepresentedasn(%)

Tabl e21.Sar copeni aaccor di ng t odent alheal t h i ndi cesi n ol dermen ( n=806)

Tabl e22.Sar copeni aaccor di ng t odent alheal t h i ndi cesi nol derwomen ( n=1037)     Nor mal Sar c ope ni a Tot al ( %) p-val ue Numbe rofr e mai ni ngt e e t h <20t e e t h 527( 90 . 3 ) 48( 9. 7) 57 5( 10 0)

0. 92

≥20t e e t h 416( 90 . 5 ) 46( 9. 5) 46 2( 10 0) DMFT i nde x T

1

309( 89 . 4 ) 35( 10 . 6 ) 34 4( 10 0)

0. 16 T

2

324( 93 . 3 ) 27( 6. 7) 35 1( 10 0)

T

3

310( 88 . 2 ) 32( 11 . 8 ) 34 2( 10 0) Func t i oni ngTe e t hi nde x T

1

327( 88 . 1 ) 36( 11 . 9 ) 36 3( 10 0)

0. 30 T

2

300( 91 . 8 ) 25( 8. 2) 32 5( 10 0)

T

3

316( 91 . 5 ) 33( 8. 5) 34 9( 10 0) Che wi ng s t at us Unc omf or t abl e 568( 90 . 0 ) 59( 10 . 0 ) 62 7( 10 0)

0. 67 Us ual l y/ Comf or t abl e 375( 91 . 0 ) 35( 9. 0) 41 0( 10 0)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여부에 따른 치아상태지표는 Table22로

‘근감소증’군에서 현존치아수 20개 기준 ‘20개 미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또한 ‘근감소증’군에서 DMFT index의 T3의 비율이 높았고, FunctioningTeethindex의 T1의 비율이 높아 ‘정상’군보다 구강건강상태가 좋 지 않았으나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인 씹기 상태 또한

‘근감소증’군에서 불편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67).

Thevaluesarepresentedasn(%)

Tabl e 23.Associ at i on ofsar copeni a wi t h t he number ofr emai ni ng t eet h:Logi st i c

Tabl e 24.Associ at i on ofsar copeni a wi t h DMFT i ndex:Logi st i c r egr essi on anal ysi s

Tabl e 25. Associ at i on of sar copeni a wi t h Funct i oni ng t eet h i ndex: Logi st i c

Tabl e26.Associ at i on ofsar copeni awi t h chewi ng st at us:Logi st i cr egr essi on anal ysi s

Tabl e27.Ost eopor osi saccor di ng t odent alheal t hi ndi cesi n ol dermen ( n=806)

    Nor mal

/ Os t e ope ni a Os t e opor os i s Tot al ( %) p-val ue Numbe rofr e mai ni ngt e e t h <20t e e t h 3 47( 8 5. 2) 6 5( 14 . 8) 412( 10 0)

0. 0 8

≥20t e e t h 3 63( 9 0. 5) 31( 9. 5) 394( 10 0) DMFT i nde x T

1

2 63( 8 9. 5) 2 6( 10 . 5) 289( 10 0)

0 . 002 T

2

2 25( 9 2. 8) 17( 7. 2) 242( 10 0)

T

3

2 22( 8 0. 7) 5 3( 19 . 3) 275( 10 0) Func t i oni ngTe e t hi nde x T

1

2 13( 8 1. 1) 5 2( 18 . 9) 265( 10 0)

0 . 003 T

2

2 75( 9 2. 7) 24( 7. 3) 299( 10 0)

T

3

2 22( 8 9. 5) 2 0( 10 . 5) 242( 10 0) Che wi ngs t at us Unc omf or t abl e 3 54( 8 5. 3) 6 2( 14 . 7) 416( 10 0)

0. 0 7 Us ual l y/ Comf or t abl e 3 56( 9 0. 3) 34( 9. 7) 390( 10 0)

3.남녀 노인의 치아상태지표와 골다공증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골다공증 여부에 따른 치아상태지표는 Table27으 로 ‘골다공증’군에서 현존치아수 20개 기준 ‘20개 미만’의 비율이 높았으나 유의 하지 않았다(p=0.08).또한 ‘골다공증’군에서 DMFT index의 T3의 비율이 높았 고,FunctioningTeethindex의 T1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상/골감소 증’군에 비해 ‘골다공증’군에서 우식경험영구치아수가 많고(p=0.002),치아의 건강과 기능 상태는 낮았다(p=0.003).씹기 상태에서도 ‘골다공증’군에서 ‘불편’

의 비율이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Thevaluesarepresentedasn(%)

Tabl e28.Ost eopor osi saccor di ng t odent alheal t hi ndi cesi n ol derwomen( n=1037)

    Nor mal

/ Os t e ope ni a Os t e opor os i s Tot al ( %) p-val ue Numbe rofr e mai ni ngt e e t h <2 0t e e t h 19 2( 3 1. 2) 3 83( 68. 8) 5 75( 100 )

<0. 0 01

≥2 0t e e t h 24 5( 5 1. 4) 2 17( 48. 6) 4 62( 100 ) DMFT i nde x T

1

16 9( 4 6. 7) 1 75( 53. 3) 3 44( 100 )

<0. 0 01 T

2

16 5( 4 4. 7) 1 86( 55. 3) 3 51( 100 )

T

3

10 3( 2 7. 8) 2 39( 72. 2) 3 42( 100 ) Func t i oni ngTe e t hi nde x T

1

10 0( 2 5. 0) 2 63( 75. 0) 3 63( 100 )

<0. 0 01 T

2

14 3( 4 1. 4) 1 82( 58. 6) 3 25( 100 )

T

3

19 4( 5 5. 3) 1 55( 44. 7) 3 49( 100 ) Che wi ng s t at us Unc omf or t abl e 24 5( 3 6. 5) 3 82( 63. 5) 6 27( 100 )

0 . 0 13 Us ual l y/ Comf or t abl e 19 2( 4 6. 1) 2 18( 53. 9) 4 10( 100 )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골다공증 여부에 따른 치아상태지표로는 Table28 으로 ‘골다공증’군에서 현존치아수 20개 기준 ‘20개 미만’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 았다(p<0.001).DMFT index에서는 T3의 비율이 높고(p<0.001),Functioning Teethindex에서는 T1의 비율이 높아(p<0.001),‘골다공증’군에서 영구치의 우 식경험 비율이 높고,치아의 건강과 기능은 낮았다.또한 씹기 상태에서는 ‘골다 공증’군에서 ‘불편’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3).

Thevaluesarepresentedasn(%)

Tabl e 29.Associ at i on ofost eopor osi s wi t h t he numberofr emai ni ng t eet h:Logi st i c

Tabl e 30. Associ at i on of ost eopor osi s wi t h DMFT i ndex: Logi st i c r egr essi on anal ysi si n ol deradul t s

Os t e opor os i s Unadj us t e d Adj us t e d

1)

Adj us t e d

2)

Adj ust e d

3)

OR ( 95% CI ) OR ( 95% CI ) OR ( 95 % CI ) OR ( 95 % CI )

DMFT i nde x Me n

T

1

1 . 00 1. 00 1. 00 1. 00 T

2

0 . 6 6( 0 . 3 0-1. 4 8) 0 . 65( 0 . 29-1 . 4 6) 0. 60( 0. 26-1 . 37) 0. 61( 0. 27 -1. 40) T

3

2 . 0 4( 1 . 1 3-3. 6 8) 1 . 74( 0 . 94-3 . 2 2) 1. 22( 0. 67-2 . 23) 1. 33( 0. 71 -2. 52)

Wome n

T

1

1 . 00 1. 00 1. 00 1. 00 T

2

1 . 0 8( 0 . 7 6-1. 5 3) 0 . 94( 0 . 65-1 . 3 7) 0. 91( 0. 64-1 . 31) 0. 85( 0. 58 -1. 25) T

3

2 . 2 7( 1 . 5 7-3. 2 7) 1 . 66( 1 . 13-2 . 4 5) 1. 56( 1. 06-2 . 31) 1. 38( 0. 92 -2. 06)

OR:oddsratio,95% CI:95% confidenceinterval

1)AdjustedforAge

2)AdjustedforAge,Educationlevel,Smoking,Alcoholdrinking,Exercise,Energyintake

3)AdjustedforAge,Educationlevel,Smoking,Alcoholdrinking,Exercise,Energyintake,HOMA-IR,Proteinintake, Calcium intake,Fastingbloodglucose,Totalcholesterol,Abdominalobesityinmen;AdjustedforAge,Educationlevel, Smoking,Alcoholdrinking,Exercise,Energyintake,HOMA-IR,Vitamin-D,Proteinintake,Calcium intake,Parathyroid hormone,Triglyceride,Abdominalobesityinwomen

65세 이상 남성노인에서의 DMFT index와 골다공증의 연관성을 분석을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Table30과 같다.우식경험 치아수가 적은 T1을 기준으로 우식경험 치아수가 많은 T3에서 골다공증의 위험 이 2.04배 유의하게 높았다(p=0.018).인구사회학적 변수,건강관련지표의 변수 를 보정한 후에도 1.33배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08).

여성노인에서는 우식경험 치아수가 적은 T1을 기준으로 우식경험 치아수 가 많은 T3에서 골다공증의 위험이 2.27배였고(p<0.001),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건강관련지표의 변수를 보정한 후 1.38배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05).

Tabl e 31. Associ at i on of ost eopor osi s wi t h Funct i oni ng t eet h i ndex: Logi st i c

Tabl e 32. Associ at i on of ost eopor osi s wi t h chewi ng st at us: Logi st i c r egr essi on

Tabl e33.Sar co-Ost eopor osi saccor di ng t odent alheal t hi ndi cesi nol dermen ( n=806)

    Nor mal SOP Tot al( %) p-val ue

Numbe rofr e mai ni ngt e e t h <20t e e t h 36 5( 8 9. 3) 47( 10. 7) 412( 10 0)

0 . 003

≥20t e e t h 38 0( 9 6. 0) 1 4( 4 . 0 ) 394( 10 0) DMFT i nde x T

1

27 7( 9 5. 9) 1 2( 4 . 1 ) 289( 10 0)

0 . 001 T

2

23 0( 9 4. 5) 1 2( 5 . 5 ) 242( 10 0)

T

3

23 8( 8 6. 8) 37( 13. 2) 275( 10 0) Func t i oni ngTe e t hi nde x T

1

22 6( 8 5. 9) 39( 14. 1) 265( 10 0)

<0 . 0 01 T

2

28 5( 9 5. 9) 1 4( 4 . 1 ) 299( 10 0)

T

3

23 4( 9 6. 0) 8( 4. 0) 242( 10 0) Che wi ngs t at us Unc omf or t abl e 37 2( 9 0. 2) 4 4( 9 . 8 ) 416( 10 0)

0. 0 3 Us ual l y/ Comf or t abl e 37 3( 9 5. 0) 1 7( 5 . 0 ) 390( 10 0)

5.남녀 노인의 치아상태지표와 근감소성 골다공증

65세 이상 남성노인의 근감소성 골다공증 여부에 따른 치아상태지표는 Table33과 같다.‘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현존치아수 ‘20개 미만’의 비율이 높았고(p=0.003),DMFT index의 T3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아 ‘근감소성 골다공 증’군에서 현존치아수는 적고,우식경험영구치수는 높았다.또한 ‘근감소성 골 다공증’군의 FS-T index에서는 치아의 건강과 기능이 좋지 않은 T1의 비율이 높았고(p<0.001),씹기 상태의 ‘불편’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따라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전반적인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을 보였다.

Thevaluesarepresentedasn(%) SOP:Sarco-osteoporosis

Tabl e34.Sar co-Ost eopor osi saccor di ng t odent alheal t hi ndi cesi n ol derwomen ( n=1037)

    Nor mal SOP Tot al( %) p-val ue

Numbe rofr e mai ni ngt e e t h <20t e e t h 53 3( 9 1. 4) 4 2( 8 . 6 ) 575( 10 0)

0. 3 3

≥20t e e t h 43 3( 9 3. 4) 2 9( 6 . 6 ) 462( 10 0) DMFT i nde x T

1

32 0( 9 2. 3) 2 4( 7 . 7 ) 344( 10 0)

0 . 044 T

2

33 2( 9 5. 2) 1 9( 4 . 8 ) 351( 10 0)

T

3

31 4( 8 8. 9) 28( 11. 1) 342( 10 0) Func t i oni ngTe e t hi nde x T

1

33 3( 8 9. 9) 30( 10. 1) 363( 10 0)

0. 1 7 T

2

30 3( 9 2. 7) 2 2( 7 . 3 ) 325( 10 0)

T

3

33 0( 9 4. 5) 1 9( 5 . 5 ) 349( 10 0) Che wi ngs t at us Unc omf or t abl e 58 0( 9 1. 7) 4 7( 8 . 3 ) 627( 10 0)

0. 4 8 Us ual l y/ Comf or t abl e 38 6( 9 3. 2) 2 4( 6 . 8 ) 410( 10 0)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골다공증 여부에 따른 치아상태지표는 Table34와 같다.‘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현존치아수 ‘20개 미만’의 비율이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고(p=0.334),‘근감소성 골다공증’군에서 DMFT index 의 T3이 높은 비율이 높고,‘정상’에서 T2의 비율이 높아 ‘근감소성 골다공증’군 에서 우식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44).또한 ‘근감소성 골다공증’군 에서 치아의 건강과 기능이 좋지 않은 FS-T index의 T1비율이 높고,씹기 상 태의 ‘불편’비율이 높았으나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Thevaluesarepresentedasn(%) SOP:Sarco-osteoporosis

Tabl e 35.Associ at i on of sar co-ost eopor osi s wi t h t he number of r emai ni ng t eet h:

Logi st i cr egr essi onanal ysi si nol deradul t s

Sar co-os t e opor os i s

Tabl e 36.Associ at i on ofsar co-ost eopor osi s wi t h DMFT i ndex:Logi st i c r egr essi on

Tabl e 37.Associ at i on ofsar co-ost eopor osi s wi t h Funct i oni ng t eet h i ndex:Logi st i c

Tabl e38.Associ at i on ofsar co-ost eopor osi swi t h chewi ng st at us:Logi st i cr egr essi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