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지기능저하를 인지기능 점수가 매년 평균적으로 1점씩 감소한 것으로 정

Total Retrieval 검사의 경우 23.5%,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으며,Apoee4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상자의 경우에는 18.0%에서 인지기능저하

가.인구사회학적 요인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Suh 등(2004)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 령만이 인지기능저하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성,교육정도,치매의 경중도, 치매발병기간,건강문제 등은 인지기능저하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다른 연구에서도 노인의 전향적인 인지감퇴는 연령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신일선 등,2002;Schaie등,1983;ShockNW.,1985;Colsher 등,1991).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인지기능저하의 위험이 유의하 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Tervo 등,2004;Koster등,2005;Manly 등, 2005;Lee등,2006;Wilson 등,2009;Yaff등,2009).Health ABC Study에서 인지기능저하를 유지군(Maintainer),경도저하(Minordecliner),고도저하(Major

지만 추적조사 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은 수준 대상자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

지고 있는 대상자에 비해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상자에서 인지기능저하가

련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Reitz등(2005)이 실시한 65세 이상의 메디케어 대상

련성을 보였으며,주당 5회 이상,1회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대상자들에서 인지

동안 3,899명의 노인에게 사회적 네트워크,사회적 관계와 인지기능저하의 관계 (Bassuk등,1999;Fratiglioni등,2000;Wang등,2002;Zunzunegui등,2003).

다.건강상태 요인

주관적 기억력 감퇴는 치매 혹은 경도 인지장애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주 요한 예측 인자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인지 기능 저하와 주관적 기 억력 감퇴의 유의한 관련성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존재한다(Johansson등,1997;

Schmand등,1996;Schofield등,1997;Tobianski등,1995;Zimprich 등,2003). 주관적 기억력 감퇴의 정의와 표본집단의 정의에 따라 유병률의 분포가 11∼

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Johnsen 등,2003;Xie등,2011;VandenKommer등,2008;VandenKommer 등,2009).

2003)에서 알츠하이머 환자의 26주 동안의 인기능저하를 예측하고자 한 연구로

인의 예측도가 45.8%이었다. 스웨덴 Karelia Project와 핀란드의 Finmonica Study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 1,409명을 20년간 조사한 연구(Kivipelto 등, 2006)에 의하면,선행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치매에 위험인자로 알려진 인구사회 학적 변인,생활습관,건강위험요인을 통해 치매의 예측모형 구축하였으며 모형 의 민감도(63.0%)와 특이도(71.0%)로 모형을 평가하였다.

연구마다 인지기능의 정의,관련요인의 범위,결과 등에 현저한 차이를 보 이고 있으며,국내연구는 주로 단면연구로서 인지기능저하의 예측요인 구명을 위 한 종적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또한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국외연구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노인의 삶의 질 저하,사회경제적 부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을 인구를 대상으 로 한 인지기능저하을 관련요인 구명되어야 하며 이를 근거로 한 인지기능저하 예측모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인지기능 예측모형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병원의 치매환자를 대상 으로 개발된 예측모형을 제시하고 있으며 연구대상자의 특성상 연구결과를 지역 사회 노인에게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또한 인지기능을 연속선상(continuum) 의 개념으로 이해할 때 치매발생 이전에 인지기능의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모 형의 개발이 필요하고 이런 인지기능저하에 관한 예측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사전 적 예방차원에서 치매발생을 지연 또는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되다.

I I .연구방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