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별 인지기능 평균 변화 곡선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사회 종적자료로 같은 설문을 2회 이상 응답하기 때문에 처음 응답한 설문의 경험으로 인해 나중에 참여한 설문에서 더 나은 결 과를 보이게 되는 효과인 연습효과(Practiceeffect)를 보정하기 위하여 성,연령, 교육수준,총 조사기간,총 조사 횟수를 보정한 인지기능 점수를 이용하여 조사 시점별 평균 인지기능 점수를 계산하였다(Fig.5-Fig.12).

전체 대상자의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20.6∼22.4점이며,7회 추적 조사된 대상자의 초기(T1)시점의 인지기능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평균 1.2점 감소하였 고,2회 측정된 대상자의 초기 인지기능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장 적은 감소폭 을 보였다.또한 추적 조사 횟수에 관계없이 모든 대상자에서 평균 인지기능 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5).

Fig.5.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totalparticipants

대상자를 성별로 분리한 경우 남성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Fig.6.) 는 22.1∼23.6점 이였으며,추적 조사 횟수별 평균 0.3∼1.3점 감소하였다.여성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Fig.7.)는 19.8∼22.2점으로 남성의 평균 인지기능 점 수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추적 조사 횟수별 평균 0.5∼1.2점 감소하였다.남 성과 여성 모두 7회 조사된 대상자들의 초기 평균 인지기능 점수가 가장 높았으 며,2회 조사된 대상자들의 초기 평균 인지기능 점수가 가장 낮았다.또한 측정 횟수에 관계없이 모든 대상자에서 평균 인지기능 점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 다.

Fig.6.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maleparticipants

Fig.7.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femaleparticipants

Fig.8.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65-74year-old participants

연령대별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Fig.8.과 Fig.9.와 같다.65∼74세 대상자(Fig.8.)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21.3∼23.1점이였으며,추적 조사 횟수별 평균 0.5∼1.5점 감소하였다.75세 이상 대상자(Fig.9.)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19.6∼21.3점이며 평균 0.4∼0.9점 감소하므로,75세 이상 대상자에 비해 65∼74세 대상자에서 평균 인지기능 점수가 높고,평균 감소 폭이 큰 경향 을 보였다.연령대별 측정횟수에 관계없이 평균 인지기능 점수가 감소되는 경향 을 보였다.

Fig.9.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participantsaged 75yearsorolder

Fig.10.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illiterate participants

Fig.11.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literate participants

Fig.12.Individualcognitivefunction changecurveofparticipantsof elementary schoolorhighereducation

교육수준별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Fig.10.∼Fig.12.와 같다.무학 이면서 글을 읽을 수 없는 대상자(Fig.10)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17.5

∼20.7점이며,추적 조사 횟수별 평균 0.2∼1.8점 인지기능 점수가 증가하였다.무 학이며 글을 읽을 수 있는 대상자(Fig.11)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19.4

∼21.4점이며 평균 0.6∼1.0점 감소하였으며,초등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대상 자(Fig.12)의 평균 인지기능 점수의 분포는 19.4∼21.4점이며,추적 조사 횟수별 평균 0.5∼1.1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