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MF이후 침체되었던 국내음악시장은 음악산업 종합지원체제 구축으로 독립음반제작사의 창작의욕이 되살아나는 등 대중음악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LP·MC등 아날로그방식 음반은 퇴조하고, CD·MP3를 통한 다운로드 서비스 등 매체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음반유통의 새로운 형태가 나타나고 있어 음반산업 환경의 커다란 변화가 예상되나 음악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음반산업을 비롯한 음악산업을 21세기 지 식정보사회에서 국가기반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많은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내 음악창작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최신 설비를 갖춘 음악스튜디오를 설치하고 국제경쟁력을 가진 음악 콘텐 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음악엔터테인먼트전문 투자조합을 결성하였다. 또한 음반박람회 참가지원, 우수문화콘텐츠 사전제작 지원, 해 외 제휴음반 제작지원과 창작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또한 비효율적인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음반유통물류 현대화사업을 중장기계획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단속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불법 복제 음반의 유통으로 지적 재산권 침해가 계속되고 있고, 제작사와 도소 매상간의 상호정보 공유 부족으로 상품성과 판매성향이 검증되지 않은 상 태로 음반이 출고되어 물류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 한민국영상음반대상 시상식 개최지원 등과 불합리한 법령 및 제도개선, 과 감한 규제개혁으로 국내 음반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노 력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음반업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나 자금, 마케팅, 홍 보 능력 부족 등으로 해외시장 진출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청소년 위주의

댄스음악 편중과 편집앨범이 음악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음악산업의 기반이 취약해지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

최근 한류 열풍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우리 대중음악이 인기를 얻고 있 으나 우수한 음악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수출확대로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컴퓨터의 상용화와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 증가 및 MP3플레이어 확산 은 앞으로 디지털유통이 음반판매의 주요경로가 될 것으로 보이며 기존 대 중음악문화와 산업구조에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외 다국적 기업의 국내 가요 제작에 대한 투자 규모가 커지고 있고 벤처 캐피탈의 자금유입과 대기업의 음악시장 참여 등 새로운 자본의 유입으로 국내음반산업이 산업화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 현재 4,104억원에 달하는 음반시장규모를 가지고 있 다. 그러나 세계시장 전체를 놓고 볼 때는 1%가 넘지 않는 미미한 수준이 지만 1999년 3,800억원보다는 8%정도 증가하는 등 IMF 이전의 회복세를 보였으나 다시 감소추세가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음반제작 역량에 있어서는 음반등록제에 대한 규제개혁으로 매년 음반 제작사가 늘어나고 있어 2001년 7월말 현재 국내 음반제작사는 711개소가 등록되어 있고 등록하지 않는 기획·제작자 300 여개 사를 포함하면 1,000 여개에 이르며, 음반유통업자는 130개 사가 등록 되어있다. 또한, 음반판매 점 등록이 폐지되어 음반소매점 5,790개소, 복합매장 3,400개소 등으로 난 립되어 있으나 정상적으로 음반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는데는 2,700개소 정 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복합매장이 증가추세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음반산업은 영화나 비디오 같은 타 문화산업 영역에 비해 청소년층이 주소비 대상인 국내가요시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으며, 1980년 이전까지의 국내가요가 초기음반 구매력을 가진 성

인층 중심이었다면 1980년대 들어서 10대청소년들이 중요한 음반소비층으 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점에 달 하여 10대가 음반소비를 좌우하게 되었다.

1990년대 대중음악 시장규모는 10대 취향의 댄스, 힙합, 랩 등과 20대가 선호하는 발라드, 락 등이 음악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노래방문화의 급속 한 보급에 기인한 성인층 대상의 트로트 등이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 는 실정이다.

현재, 장르별 판매율을 보면 국내가요가 75%, 외국 Pop이 20%, 클래 식·재즈류 등 기타 5%이고, 연령별로는 10대가 약 46%정도, 20대가 31%

정도, 30대가 16%, 40대이상이 7%정도 차지하고 있어 10대 및 20대의 청 소년층에 의해 국내음반시장이 좌우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음반생산물량 및 매출액은 2000년도 출고가 기준으로 약 2억8천만 개가 생산되었으며, 매출액은 2,056억원 정도이고, 외국직배사의 매출액은 1,179억원으로 99년 대비 15%정도 매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1997년 MP3가 등장한 이래 우리나라 MP3 음악파일 시장규모는 1998년에 15억원 정도였으나 1999년도에는 35억원으로 증가하였고, 2001년 에는 600억원대의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며 MP3 플레이어시장 또 한 1999년의 400억원에서 2001년 2,300억원대로 급속 성장할 것으로 보여 MP3 등 인터넷 음악시장이 새로운 음반시장으로 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5> MP3 음악 국내시장 규모 (단위: 억원)

구 분 1999년 2000년 2001년

MP3관련시장 435 1,992 2,834

MP3플레이어 400 1,568 2,240

MP3음악파일시장 35 424 594

이러한 디지털음악의 발달은 PC통신사뿐만 아니라 음반사의 직접적인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고 디지털음악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온라인판매서비 스를 개시하고 있어 향후 그 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국내음반시장은 일본 대중음악 개방과 함께 외국직배사가 가요시 장에 뛰어들고 있어 국내시장규모는 대폭 늘어날 것이나, 외국회사가 국내 가요시장을 잠식할 것으로 보여 창의력 있는 음반개발을 통해 내수시장을 지키고 동남아 등 해외수출에도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