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306

BDÓ=ACÓ=2 OAÓ=2_5=10(cm) ∴ x=10

ABO에서 OAÓ=OBÓ이므로

∠AOB=180ù-(50ù+50ù)=80ù    ∴ y=80

∴ x+y=10+80=90  90

OAÓ=OBÓ이므로 12-x=x+2

-2x=-10  ∴ x=5  5

0308

OCD에서 OCÓ=ODÓ이므로 ∠ODC=∠OCD=52ù

∴ ∠x=52ù

DBC에서 ∠y=180ù-(52ù+90ù)=38ù

∴ ∠x-∠y=52ù-38ù=14ù  14ù

0309

∠FAB=90ù이므로 ∠FAE=90ù-24ù=66ù 30%

∠AEF=∠FEC (접은 각), ∠AFE=∠FEC (엇각)이므로

∠AEF=∠AFE   50%

따라서 △AEF에서

∠AFE=;2!;_(180ù-66ù)=57ù 20%

 57ù

0310

① 한 내각의 크기가 90ù이므로 직사각형이 된다.

③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므로 직사각형이 된다.

④ OBÓ=OCÓ이면 BDÓ=ACÓ

따라서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므로 직사각형이 된다.

 ②, ⑤

0311

②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므로 직사각형이 된다.

④ 한 내각의 크기가 90ù이므로 직사각형이 된다.  ②, ④

0312

 ㈎ SSS ㈏ ∠DCB ㈐ ∠DAB

0313

ADÓ=CDÓ이므로 13-2x=5 -2x=-8 ∴ x=4

ABD는 ABÓ=AD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DB=;2!;_(180ù-100ù)=40ù ∴ y=40

∴ x+y=4+40=44  44

0314

①, ② 직사각형의 성질  ①, ②

0315

OBÓ=ODÓ이므로 2x+5=4x-1 -2x=-6 ∴ x=3

∠BAC=∠ACD=52ù (엇각)

∠BOA=90ù이므로 △ABO에서

∠ABO=180ù-(52ù+90ù)=38ù ∴ y=38

∴ y-x=38-3=35  ④

0316

∠AOD=90ù이므로 △AOD=;2!;_4_6=12(cm2)

ABCD=4△AOD=4_12=48(cm2)  ⑤

0317

△ABMª△ACM이므로 ABÓ=ACÓ

 ABCD가 마름모이므로 ABÓ=ADÓ=DCÓ

따라서 ACÓ=CDÓ=ADÓ이므로 △ACD는 정삼각형이다.

∴ ∠D=60ù  ③

0318

BCD는 CBÓ=CD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BD=;2!;_(180ù-116ù)=32ù 40%

PBH에서 ∠BPH=180ù-(32ù+90ù)=58ù 40%

∴ ∠APD=∠BPH=58ù (맞꼭지각) 20%

 58ù

0319

∠BOC=90ù이므로 △BCO에서

∠BCO=180ù-(30ù+90ù)=60ù

ABC는 BA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AC=∠BCA=60ù 즉,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BÓ=ACÓ=2 OAÓ=2_4=8(cm)

따라서  ABCD의 둘레의 길이는 4_8=32(cm)  32`cm

0320

①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마름모가 된다.

③ 두 대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마름모가 된다.

⑤ △ABC에서 ∠BAC=∠BCA이면 BAÓ=BCÓ

따라서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마름모가 된다.

 ②, ④

0321

평행사변형 ABCD가 마름모가 되려면 ABÓ=ADÓ=DCÓ이어야 한다.

ABÓ=DCÓ에서 x+6=4y+2 yy ㉠

ABÓ=ADÓ에서 x+6=3x-y yy ㉡

㉠, ㉡ 을 연립하여 풀면 x=4, y=2

∴ 2x+y=2_4+2=10 10

0322

ADÓBCÓ이므로 ∠ADB=∠DBC (엇각)

∴ ∠ABD=∠ADB

즉, △AB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Ó=ADÓ

따라서 ABCD는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은 평행사변형이므 로 마름모이다.

∴ ( ABCD의 둘레의 길이)=4_4=16(cm) 16`cm

0323

ADÓBCÓ이므로 ∠ADB=∠DBC=36ù (엇각)

AOD에서 ∠AOD=180ù-(36ù+54ù)=90ù 20%

즉,  ABCD는 두 대각선이 서로 수직인 평행사변형이므로 마름

모이다. 20%

따라서 △ACD는 DAÓ=D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DCA=∠DAC=54ù ∴ x=54 20%

CDÓ=BCÓ=7(cm)이므로 y=7 20%

∴ x+y=54+7=61 20%

 61

0324

△ABP와 △ADP에서

ABÓ=ADÓ, ∠BAP=∠DAP=45ù, APÓ는 공통 따라서 △ABPª△ADP (SAS 합동)이므로

∠APD=∠APB=98ù

APD에서 ∠ADP=180ù-(98ù+45ù)=37ù

∴ ∠PDC=90ù-37ù=53ù  ④

0325

BDÓ=ACÓ=2 OAÓ=2_6=12(cm) ∴ x=12

∠AOB=90ù ∴ y=90

∴ y-x=90-12=78  ⑤

0326

BOÓ=;2!; BDÓ=;2!; ACÓ=;2!;_10=5(cm)이고

∠AOB=90ù이므로

 ABCD=2△ABC=2_{;2!;_10_5}=50(cm2)  ①

0327

③ OAÓ=OBÓ=OCÓ=ODÓ, ABÓ=BCÓ=CDÓ=DAÓ  ③

0328

ADE에서 ∠EAD=180ù-2_70ù=40ù

∠DAB=90ù이므로 ∠EAB=40ù+90ù=130ù ABÓ=ADÓ=AEÓ이므로

ABE에서 ∠ABE=;2!;_(180ù-130ù)=25ù

Ⅱ- 2. 여러 가지 사각형

△ABE와 △BCF에서

ABÓ=BCÓ, BEÓ=CFÓ, ∠ABE=∠BCF=90ù 따라서 △ABEª△BCF (SAS 합동)이므로

∠BAE=∠CBF 40%

ABE에서 ∠BAE+∠BEA=90ù이므로

∠CBF+∠BEA=90ù 25%

△BEP에서

∠BPE =180ù-(∠CBF+∠BEA)

=180ù-90ù=90ù 25%

ADÓBCÓ이므로 ∠ACB=∠DAC (엇각) 이때 ADÓ=DCÓ이므로 ∠DAC=∠ACD

④ ∠ABC=∠DCB, ∠OBC=∠OCB이므로

∠ABO =∠ABC-∠OBC

0340

ADÓBCÓ이므로 ∠DAB+∠B=180ù (∠x+34ù)+68ù=180ù  ∴ ∠x=78ù

∠ACB=∠DAC=34ù (엇각)

∠B=∠DCB이므로 68ù=∠y+34ù  ∴ ∠y=34ù

∴ ∠x+∠y=78ù+34ù=112ù  ②

034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점 D에서 BCÓ 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고 하면 EFÓ=ADÓ=7(cm)

△ABEª△DCF (RHA 합동)이므로

BEÓ=CFÓ=;2!;(BCÓ-EFÓ)=;2!;_(15-7)=4(cm)  ∴ x=4

∠B=∠C=62ù이므로

AEÓDCÓ이므로 ∠AEB=∠C=60ù (동위각)

즉, △ABE는 정삼각형이므로 BEÓ=ABÓ=12(cm) 40%

같은 방법으로 ∠EFG=∠FGH=∠GHE=90ù

따라서  EFGH는 직사각형이다.  ②, ④

Ⅱ- 2. 여러 가지 사각형

⑤ 정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사각형은 정사각형이다.

 ⑤

0358

직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사각형은 마름모이다.

 ②, ③

0359

두 대각선이 서로 수직인 평행사변형은 마름모이고 마름모의 각 변 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  직사각형

0360

등변사다리꼴 ABCD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든  EFGH

는 마름모이다. 60%

따라서  EFGH의 둘레의 길이는 4_6=24(cm) 40%

 24`cm

0361

정사각형 ABCD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 여 만든 EFGH는 정사각형이다.

∴  ABCD =2 EFGH

=2_(8_8)

=128(cm2)

 ⑤

0362

 EFGH는 평행사변형이므로

∠HEF=180ù-105ù=75ù ∴ x=75 HGÓ=EFÓ=5(cm) ∴ y=5

∴ x+y=75+5=80  ②

0363

 ABCD =ABC+△ACD

=ABC+△ACE

=△ABE

=;2!;_(8+4)_5=30(cm2)  30`cmÛ` 

0364

ACE =ABE-ABC=40-25=15(cm2)

이때 ACÓDEÓ이므로 △ACD=ACE=15(cm2)  15`cmÛ` 

0365

 ABCD =ABD+△DBC

=DEB+△DBC

=△DEC

=;2!;_(10+10)_8=80(cm2)  80`cmÛ` 

" ) %

# ' $

& (

DN

①, ② ACÓDEÓ이므로 △ACD =△ACE, △DAE =△DCE

③ △ODA =ACD-OAC=ACE-OAC=△OCE

⑤  ABCD =ABC+△ACD

=ABC+△ACE

=△ABE  ④

0367

BMÓ=CMÓ이므로

AMC=;2!;△ABC=;2!;_54=27(cm2) APÓ`:`PMÓ=1`:`2이므로 APC`:`PMC=1`:`2

`∴ APC=;3!;△AMC=;3!;_27=9(cm2)  9`cmÛ` 

0368

AMÓ=CMÓ이므로

APC=2APM=2_6=12(cm2)

BPÓ`:`PCÓ=1`:`3이므로 ABP`:`APC=1`:`3

∴ △ABC=;3$;△APC=;3$;_12=16(cm2)  16`cmÛ` 

0369

BPÓ`:`PCÓ=2`:`3이므로 ABP`:`APC=2`:`3

∴ △APC=;5#;△ABC=;5#;_30=18(cm2) 50%

AQÓ`:`QCÓ=2`:`1이므로 APQ`:`QPC=2`:`1

∴ △APQ=;3@;△APC=;3@;_18=12(cm2) 50%

 12`cmÛ` 

0370

BPÓ`:`PEÓ=2`:`5이므로 ABP`:`APE=2`:`5 4`:`APE=2`:`5  ∴ APE=10(cm2) 또, ACÓDEÓ이므로 △ACD=ACE

∴  APCD =APC+△ACD

=APC+ACE

=APE=10(cm2)  10`cmÛ` 

0371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그으면

ABD=;2!; ABCD=;2!;_64=32(cm2) APÓ`:`PDÓ=3`:`1이므로

ABP=;4#;△ABD

=;4#;_32=24(cm2)  24`cmÛ`

1

#

%

"

$

0372

ACD=;2!; ABCD=;2!;_60=30(cm2) APÓ`:`PCÓ=3`:`2이므로

PCD=;5@;△ACD=;5@;_30=12(cm2) 12`cmÛ`

0373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그으면 APÓ`:`PDÓ=3`:`4이므로

ABP`:`PCD=3`:`4 9`:`PCD=3`:`4

∴ △PCD=12(cm2)

ABD =ABP+△PBD

=ABP+△PCD

=9+12=21(cm2)

∴  ABCD=2△ABD=2_21=42(cm2)  ②

0374

ADÓBCÓ이므로 △ABE=△ACE ACÓEFÓ이므로 △ACE=△ACF ABÓDCÓ이므로 △ACF=△BCF

∴ △ABE=ACE=ACF=△BCF  ④

0375

AMN=;3!;△ABD=;3!;_;2!; ABCD

=;6!; ABCD=;6!;_42=7(cm2) 40%

같은 방법으로 △MCN=7(cm2) 40%

∴  AMCN =AMN+△MCN

=7+7=14(cm2) 20%

 14`cmÛ`

0376

BEÓ`:`ECÓ=2`:`1이므로

BED=;3@;△BCD=;3@;_;2!; ABCD

=;3!; ABCD=;3!;_30=10(cm2)

BDÓEFÓ이므로 △BFD=BED=10(cm2) 10`cmÛ`

0377

ANÓ`:`NMÓ=2`:`1이므로

AND=;3@;△AMD=;3@;_;2!;△ACD=;3!;△ACD

=;3!;_;2!; ABCD=;6!; ABCD=;6!;_36=6(cm2)

AOD=;4!; ABCD=;4!;_36=9(cm2)

∴ △AON=AOD-AND=9-6=3(cm2)  ②

"

# $

1 %

0378

오른쪽 그림과 같이 BDÓ를 긋고

ABE=2k, AED=3k라고 하면

DBE=ABE=2k이므로

DEC =DBC-△DBE

=AED-△DBE

=3k-2k=k (∵ DBC=DBA=AED) 따라서  ABCD =ABE+AED+△DEC

=2k+3k+k=6k이므로

 ABCD의 넓이는 △DEC의 넓이의 6배이다.  6배

0379

ADÓBCÓ이므로 △ABC=△DBC

OAB =ABC-△OBC

=DBC-△OBC

=OCD=15(cm2)

OAÓ`:`OCÓ=1`:`2이므로 OAB`:`OBC=1`:`2 15`:`OBC=1`:`2  

∴ △OBC=30(cm2)  30`cmÛ`

0380

ADÓBCÓ이므로 △ABD=△ACD

∴ △DOC =ACD-△AOD

=ABD-△AOD

=40-16=24(cm2)  ⑤

0381

OBÓ`:`ODÓ=3`:`2이므로 OBC`:`OCD=3`:`2 45`:`OCD=3`:`2  ∴ OCD=30(cm2) ADÓBCÓ이므로

ABC =DBC=OBC+△OCD

=45+30=75(cm2)  ④

" %

# & $

0382

22

0383

120ù

0384

0385

①, ③

0386

0387

57ù

0388

0389

90ù

0390

0391

30ù

0392

45ù

0393

0394

66ù

0395

0396

마름모

0397

①, ④

0398

0399

0400

12`cmÛ`

0401

30`cmÛ`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