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웹사이트는 단순하게 관련 정보만을 소개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사용자와의 커뮤 니케이션 도구이며 마케팅 도구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웹사이트의 가치는 콘텐츠와 사용자와의 관계에 따라 판단되기도 한다. 김대현(2000)은 웹사이트 소비자 만족을 결정 요인으로 사이트 시스템 측면에 있어서는 사이트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정보 탐색의 편리성, 심미성, 개인정보의 보안성을 꼽았으며, 콘텐츠 측면에서의 만족요 인으로는 정보의 다양성과 정보의 신뢰성을 꼽았다. 따라서 웹사이트 평가를 위한 기준이 되는 도구로서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의 내용에 포함되는 웹사이트 평가에 있어서 주요 대상인 콘텐츠는 주로 정 보와 관련된 기능들을 의미한다. 즉,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내용물로서 웹사이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최근 급속도로 많이 증가한 온라인상의 관광사이트에 대한 평가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웹사이트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기법도 다양해지고, 관광주체인 관광객 관점에서의 평가와 웹사이트 상의 관광정보의 효과에 대한 측정도 이루어지고 있 다.

그러나 관광정보 이용자들의 욕구, 즉 그들이 원하는 정보와 어떤 정보가 중요 한지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Schonland and Williams, 1996; 박종의․

주재훈․문태수, 1999; 김천중, 1999). 관광정보의 효율적 제공을 위한 타당한 평가 기준 없이 관광 웹사이트를 구축할 경우, 투자된 비용에 비해 정보 활용이 원활하 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관광정보 웹사이트의 활성화에 대 한 연구들이 최근 들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의 연구들은 상업적 관광 광련 웹사이트의 효율적 활용 및 기업의 관광마케팅을 위한 웹사이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들이다. 국외 연구로는 Weber & Roehl(1999), Fodness & Murray(1997) 등이 있으며, 국내 연구로는 김홍범․이애주․김혜정(1998), 김홍범․고호석(2000)

등으로 웹사이트 평가 지표에 따른 관광정보 웹사이트의 진단을 통한 취약점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보다는 관광정보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관광정보의 고객 만족도,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관광정보시스템적 활성화에 치중하고 있다.

또한 웹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한 웹 콘텐츠의 특성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들로는 김미영(1997), 김영삼(1998) 등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들 연구들은 관광정보 웹사 이트를 평가한다기 보다는 기업의 홈페이지 또는 지방정부 홈페이지를 진단하기 위한 웹 콘텐츠 특성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한편, 이러한 웹 콘텐츠 특성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들 특성들을 관광정보 웹사이트에 적용시킨 연구들로는 박종희․주재훈․문태수(1999), 박현지(1999), 오 익근․최재화(2000), 김홍범․박종찬(2000)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연구들은 웹 콘텐츠 특성들 중 극히 소수의 특성들만 다루고 있다.

위에서 제시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결과, 관광정보 웹사이트 만을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지표가 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특히, 여행사, 호텔, 항공사 등 전문 관 광관련 기업의 웹사이트 활성화에 관한 연구들은 일부 이루어졌으나, 주로 판매지 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에 치우치고 있어서, 중요한 콘텐츠인 관광관 련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웹(Web) 상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지표인 웹콘텐츠 특성 요인들 을 관광정보 웹사이트에 적용시킴으로써, 기존 웹사이트 운영 및 관리의 문제점 도출 및 사용자 만족도를 높여 해당 웹사이트를 활성화 하려는 시도가 미진한 실 정이다.

그러나, 높은 관심만큼 효과적인 웹사이트의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평가와 신뢰 성 있는 평가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웹사이트를 평가하고자 하는 다양 한 시도와 함께 방법론 및 TOOL이 일부 기관과 기업에서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는 사용자 측면, 주관적 요소, 지리적 요소가 많아 아직까지 확고한 평가이론이 존재한다고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광 웹사이트에 대한 조사방법중 e메일, 온라인 서베이 방법은 선택된 응답자

에 대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인터넷 기반 서베이는 매우 낮은 응답율이

<표 2-9>과 같은 웹사이트 평가방법론은 여러 웹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유용성 및 가치를 판단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잣대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그 필 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기획하거나 경쟁사나 동종 업종의 웹사이트를 벤치마킹 하고자 하는 경우 차별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 는데 필요한 방법이다.

한편, 관광 매체 광고의 효과에 대한 평가에 관련되어 전통적으로 개발된 방법 은 <표 2-10>와 같이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인식의 변화에 대한 설문 조사(추적 조사) 둘째, 검색자가 정보를 획득하여 방문지를 결정하는지 여부에 관련된 설문 조사(전환 조사)가 있다(Tierney, 2000).

<표 2-10> 전통적 관광 홍보 효과 평가 기법

분 류 조사 기법

추적 조사(Tracking) 전환 조사(Conversion)

목적 광고의 효과 측정 응답자가 목적지를

방문했는 지 여부 지표 목적지에 대한 인식,

목적지 방문 의사 방문자 비율, 투자 수익률

표본 광고가 제공된 지역의 주민 질문 응답자

데이터 수집 전화 서베이 전화, 우편 서베이

자료 : P. Tierney, op. cit. : 214.

제 4 절 관광 인터넷 정보서비스 및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