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제주 도내 관광기업의 웹사이트 현황 및 도출된 웹사이트 평가 요소 에 의한 평가를 통하여 관광기업의 웹사이트 구축방안에 대한 시사점 및 제품정보 서비스를 통한 인터넷 마케팅 전략 제시를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관광기업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 결과, 중요한 평가 항목인 상품서비스 부문, 콘 텐츠 부문, 디자인 부문에서 그리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여, 많은 관광기업의 웹사 이트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더욱 증가하는 개별여행객 을 맞아하기 위한 온라인 마케팅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지역적인 특 성을 갖는 제주도의 경우, 온라인을 통한 정보취득의 욕구가 높아 품질 높은 관광 콘텐츠의 제공은 관광객의 흥미를 자극하여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제품정보서비스의 경우, 인터넷이라는 접근성이 탁월한 도구에 의하여 타 지역 여행사와의 경쟁이 불가피 하다. 따라서 관광콘텐츠 제공뿐만 아니라 상품 판매에 영향을 끼치는 제품정보서비스에 대한 관광객 만족여부는 제주지역 관광기 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광기업 웹사이트 평가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과 웹사이트 구축의 시사점 도출을 통하여 각 평가 요소에 부응하는 웹사이트 구축방안과 평가 주요 요소인 제품정보서비스 측면에서 바라본 웹 서비스 흐름을 이용한 정보 분석 및 웹사이트 방문객의 사이트 인지에 제품설계 요소에 대한 제시를 통하여 관광기 업 웹사이트 인터넷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다음 <그림 5-1>은 중앙정부, 지자체, 연구기관, 관광기업 등이 참여하는 통합 적인 관광정보시스템 구성 및 활용에 관한 관광정보의 구축을 표현한 것이다. 현 재 제주도의 관광콘텐츠는 각 지방자치단체, 관광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는 중복투자, 관리적 비효율성, 비경제적인 구조

를 안고 있다. 관광자원은 계속 양산이 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네 티즌 선호의 변화에 따라서 관광콘텐츠는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생생한 정보를 전 달해야만 한다. 물론, 개별적인 서비스 목적에 의하여 콘텐츠의 차별성을 위하는 경우도 발생하지만 관광정보의 유지, 관리를 위해서는 관광자원 안내에 대한 가이 드라인 제시를 통하여 통합 구축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개별적인 콘텐츠 구축 및 서비스로 인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자원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의 구축이 담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콘 텐츠 구축으로 인하여 자료의 객관성이 떨어짐. 둘째, 변화하는 관광여건에 맞는 자료의 관리, 신규 관광자원에 대한 조사 및 등록 등의 업무대처 능력 부족으로 인한 콘텐츠 신뢰성 상실. 셋째, 중복투자, 중복관리로 인한 경제적 비효율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관광객에게 정보전달에 있어서 혼선을 가지고 와 제주관광 전 반에 걸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합적인 관광정보 안내 외에 관광정책, 업계지원, 자원관리, 관광통계 등 을 중앙정부, 지자체, 하계, 관광기업, 일반인의 공유를 통한 정보지원체계의 확립 이 필요하며, 지방정부는 지역 관광자원, 관광안내, 관광기업, 관광정책, 투자유치, 관광통계 등의 업무를 관리하며, 관광기업은 개별 관광기업 정보 관리를 통하여 지역 관광관련 정보의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정부는 지역정보의 전 체적인 관리 및 중앙차원의 정책, 지원, 통계 그리고 국가 관광자원관리 및 관광안 내를 책임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정보전달 체계, 정보지원, 정보안내, 정보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정책, 통계, 지원 등의 자료 공유를 통하여 각 주체별 관광정책 수립에 도 움이 된다.

관광정보의 통합관리는 앞서 제시한 정보관리 가이드라인을 통하여, 지자체에 의해서 구축, 통합서비스가 요구된다. 지자체에서 객관적이고, 명확한 관광자원 정 보에 대하여 개별기업이 응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자원을 관리하며, 개별기업 은 지자체의 종합관광정보를 기업에 필요한 관광콘텐츠를 가지고 와서 서비스하거

나, 특화 콘텐츠로의 가공을 통하여 서비스를 하게 된다.

<표 5-1>은 관광자원에 대한 통합관리를 자원관리와 통계관리의 부문에서 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을 활용한 정보관리.

개별기업의 관광 콘텐츠 취사선별 및 서비스 기능.

<그림 5-2> 단계별 정책 지원 메카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