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지역에서 1차산업이나 전통적인 농촌산업 부문 외에 다양한 산업 집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도권이나 국가산 업단지가 입지하는 전통적 산업 집적지 외의 지역에서 제조업·서비스업 등 다양 한 산업 부문이 성장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OECD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 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산업 영역의 ‘교역 가능한 부문’이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지 역 일부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에 따라 산업구조 변화가 진행 중 으로 보이며, 그 과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저밀도 경제 지역의 지 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산업 정책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차산업, 광업, 음식료품 제조업 외에도 국가적으로 성장하는 산업이나, 중·고 위 기술 경쟁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 부문 또한 저밀도 경제 지역에서 성장하는 특 징을 보인다. 공간 분업 논의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주변부 지역에는 산업 수명주 기가 성숙기에 해당하는 산업 영역에서 생산 비용 이점을 바탕으로 생산 기능이 주로 입지한다. 하지만 교통·통신 인프라 개선에 따른 접근성의 증대로 주변부 지 역에서의 입지 제약 요인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며, 이와 관련하여 본 장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지역 또한 OECD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국가 경제 발전에서 일정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OECD 저밀도 경제 사례에서처럼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지역에서도 지역의 유 형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산업이 집적하는 지역이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격 농촌지역 등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이 성장하기 어려운 입지 조건을 보유한 지 역 중에서 주요 산업들이 성장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 기존 산업 발전 축 외에 새로운 산업 집적 축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소도시 주변 지역에 서 산업이 성장하는 지역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는 저밀도 경제의 논의에서 강조 하는 저밀도 경제 지역과 도시지역의 연계에 의한 산업 집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 만 산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저밀도 경제 지역 유형에 따라 다소 다른 패턴을 보인

다. 음식료품 제조업과 같이 전통적인 농촌산업 영역의 경우 원격 농촌에서 성장 세가 높게 나타난 반면, 소재, 화학 등 보다 높은 기술역량을 필요로 하는 산업군의 경우 도시와 근접한 저밀도 경제 지역에서 성장 추이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현상과 관련하여 다양한 산업이 저밀도 경제 지역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입지 우위 요인이었던 저렴한 지대나 노동력 외에도 지속적으로 산업 경 쟁력을 창출할 수 있는 지역의 혁신 역량 등이 보다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 서 산업이 집적하는 저밀도 경제 지역 성장 사례에서 지역의 혁신 역량이 어떻게 축적되고, 지역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할 필 요가 있다.

제4장

국내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 및

특성

국내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 및 특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