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연구 범위

OECD 저밀도 경제 논의에서 기존의 농림어업 외에 지역의 다양한 자원과 입지 요인을 활용한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바, 연구대상이 되는 산업의 범위 또한 농촌에 입지하는 다양한 산업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연구에서 농 촌산업은 농촌지역에 입지하는 제조업 및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외부 지역과의 가치사슬 형성과 관련 있는 제조업, 서비스업 등을 농촌산업의 범위와 주요 연구대상 산업 영역으로 포함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지역의 범위는 농촌지역으로 하되, OECD 저밀도 경제 논의 의 지역구분을 참조하여 시·군 단위로 지역을 분류하였다. OECD는 인구밀도, 지 역 내 중심도시의 인구 비중, 도시지역과의 기능적 연계를 기준으로 지역을 구분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OECD의 기준을 적용하여 전국 시·군을 구분하였다.

3.2. 연구 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분석, 통계자료를 통한 공간 분석,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 전문가 원고위탁, 연구협의회 등을 활용하였다. 우선 문헌 검색 등을 통 해 OECD 저밀도 경제 개념 및 특성, Rural Policy 3.0을 비롯한 새로운 농촌 정책 의 방향과 저밀도 경제의 의의, 저밀도 경제 관련 농촌산업 및 지역산업 육성 정책 등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실태를 파악·분석하기 위해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통 계청의 사업체 총조사 원시데이터를 수집·활용하였다. 사업체 총조사 데이터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연도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데이터를 산업 분류상 소

분류 및 읍·면·동 단위로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사업체 총조사 자료를 바탕 으로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산업 부문별 저밀도 경제 성장 지역을 도출 하였다.

저밀도 경제 성장과 관련하여 관련 기업의 입지 요인과 협력 네트워크의 공간 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18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 사는 저밀도 경제 유형을 구분하여 도시 연계 지역(강원도 춘천·홍천, 강릉시 주 변, 경상북도 북부권)과 원격지 농촌(전라북도 동부권, 강원도 내륙)으로 구분하 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중 기업체 네트워크 결과에 대하여 사회연결망 분 석을 실시하여 네트워크의 국지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도·농 파트너십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 지역별 성장 경로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사례 지역별 주요 주체들에 대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저밀도 경제 논의 에 비추어 농촌산업정책의 개선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산업 정책 관련 전문가 에 대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3.3. 연구추진 체계

연구추진 체계는 <그림 1-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OECD 저밀도 경제의 특 성과 그에 따른 농촌산업정책 방향을 정리하였다. OECD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 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저밀도 경제 지역의 생산성 향상을 비롯한 산업 집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에 대한 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산업 부문, 도농 간 연계의 측면에서 대표성을 띠는 사례 지역 을 선정하여 기업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기업체 설문조사에서는 기업의 입지 요인, 기업 네트워크의 특성, 지역의 제약 요인 및 정책 수요 등을 조사하여, 각 유 형별 우리나라 저밀도 경제 성장의 동력과 도·농 연계의 특성, 향후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수요들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저밀도

경제 성장 사례 및 OECD 농촌정책 방향에 비추어 볼 때, 현재 우리나라 농촌산업 정책 및 지역 산업 정책의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저밀 도 경제 성장 동력의 논의와 연계하여 향후 우리나라 농촌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 의 방향 및 정책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그림 1-1 연구추진 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

제2장

저밀도 경제 특성과

농촌산업정책 시사점

저밀도 경제 특성과

농촌산업정책 시사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