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밀도 경제 지역에 대한 선행연구로 농촌산업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와 낙후·

주변부 지역 발전을 위한 산업 육성 정책 및 혁신체계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들이 있다. 하지만 기존 농촌산업 육성 정책 연구는 농촌산업을 1차산업이나 1차산업 과 직접 연관을 맺는 일부 제조업·서비스업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있다. 이러한 관 점에서 특화품목의 산업화를 위한 연구, 개별 기업의 육성과 지원을 위한 연구들 이 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절에서는 선행연구를 농촌산업 육성에 관한 연구, 주변부 지역의 산업 육성 전략에 관한 연구, 특히 지속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한 지역 혁신체계 구축과 관련 된 주제 분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2.1. 농촌산업 성장 및 육성 정책 연구

농촌산업 육성 정책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농촌산업이 고 기술,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지역 개발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농 촌산업 육성 정책의 의의와 과제를 제시한다(Goodman 2004; Vaz and Nijkamp 2009; 최상호 외 2007). 또한 농촌이 가지는 산업 입지상의 불리함을 극복하는 데 에 초점을 두고 농촌산업 성장 및 농촌산업 육성 정책 추진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

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이경진 2011; 김용렬 외 2012; 김광선 2014). 이경진 (2011)은 농촌의 지역 자원을 활용한 산업집적지의 성장과정을 분석한 연구에서 지역 자원 기반 산업 주체들의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과 지역 내·외 간 네트워크의 확산이 지역 산업 육성의 중요한 방향임을 제시하면서, 선도기업의 육성과 농촌 의 부족한 혁신 역량을 보충하기 위한 지역 내외 지식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김용렬 외(2012)는 농촌산업 육성 정책의 성과분석을 통해, 농촌산업 정책의 추진 방향으로 광역단위와 기초지자체 단위로 이원화한 클러스터 육성 방 안을 제시하였다. 김광선(2014)은 농촌지역 혁신체계 구축 관점에서 농촌산업 육 성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농촌의 부족한 혁신자원과 지역혁신체계의 투입부문 구 성요소들을 구축·조정하기 위해 지역 간 연계협력을 통한 지역혁신체계의 구성을 정책 과제로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도 농촌산업 범위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하는 가운데, 농림 수산자원의 활용에 국한되는 협의의 농촌산업 개념에서 확대하여, 농촌 내 입지 하는 다양한 산업으로 농촌산업정책 대상을 확대한 연구들도 나타나고 있다. 이 동필 외(2008)는 농어촌산업의 범위를 농림수산물 생산 및 전후방 연계산업 외에 도 유무형의 향토자원을 활용한 산업과 농어촌 지역에 입지하는 제조업 및 서비스 업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농어촌산업을 정의하고, 농어촌 자원의 산업화, 지역특화산업 육성, 기업 유치 및 생산 환경 조성, 클러스터 개념에 입각한 지역 산 업 육성 시스템 구축 등을 정책 과제로 제시하였다. 박지연 외(2017)는 농업과 연 계한 바이오소재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중 하나로 지역 단위의 바이오소재 가 치사슬 형성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2.2. 주변부 지역 산업 성장 연구

초기 지역혁신체계 및 지역산업 네트워크 연구들은 주로 대도시나 중심지역, 첨단산업 집적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후 주변부 지역에서의 산업 집적 가능

성과 그에 따른 지역발전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들로 확대되어 왔다(Murdoch

과정에 따른 기존 특화부문의 다각화와 연관 다양성(related variety)을 통한 지역 경제의 구조변화(고도화, 전환, 산업기반 전환)가 전략의 주요 내용이다.1) 스마트 전문화 전략을 기초로 지역 산업 육성 및 지역 활성화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기업 가적 발견과정(entrepreneurial discovery process)을 통해 지역의 경쟁우위 산업을 발굴하고, 산업 간 연계·협력과 지역 간 연계·협력으로 임계규모를 확보하며, 글 로벌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김선배 외 2016; Foray 2015). 이때, 정부 및 공공부문의 역할은 기업가들이 필요한 네트워 크를 형성하고 기업가들에게 시장 및 기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식기반 역량을 발견·축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있다(김상욱 2012). 김선배 외(2016)의 경 우 스마트 전문화의 국내 산업정책 시사점과 관련하여 균형발전 관점에서 2~3개 의 시·군을 통합한 지역산업발전권을 설정하는 효율적인 지역산업 육성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정협(2011)은 해양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바이오 기술의 응용, 와인 생산이나 어업, 치즈, 올리브 오일의 품질 관리를 위한 나노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 등 대칭적 자산을 갖춘 주체들과 틈새시장이 만나 공동 전문화 자산을 창출하는 등의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2.3. 지역 혁신 정책 연구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여 거리(distance)의 제약이 줄어들었지만, 혁신 활동은 지식이 교환될 수 있는 특정 장소에 집중하여 발생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지역의 경제적 환경뿐만 아니라 지역에 착근된 문화, 네트워크 등의 비경제적 환경이 혁 신활동의 집적에 영향을 미친다(정미애 외 2017). 혁신 주체와 생산 주체, 거래 관 계에 놓인 공급자와 수요자 간 상호작용은 혁신을 촉발시키고, 이 과정에서 지역

1) 여기서 기업가란 기업(대기업, 중소기업, 혁신기업) 및 개인 발명가, 연구소 및 연구기관, 고등교육기 관(대학교 및 대학연구소)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이다.

의 상이한 혁신환경과 사회적 자본이 영향을 미친다(정미애 외 2017; Maskell and Malmberg 1999).

김선배 외(2016)는 지역의 차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여건에 적합한 정책 수 단을 발굴하여 지역 고유의 목표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 장소 그 자체를 기반 (place-based)으로 한 지역 혁신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장소 기반 혁신의 핵심 과제는 혁신의 각 구성요소들이 생태계적 관점에서 유기적으로 잘 연계될 수 있도록 촉진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김영수 외(2015)는 지식 생태계와 비즈 니스 생태계를 잘 연계하여 지역 소득 강화,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수 있게 해야 지 속적인 성장과 진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혁신의 질적 상호작용을 위 해서는 지역의 혁신 제도와 문화, 안정적인 거버넌스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전략 과 리더십, 인적 자원의 운영 노하우, 고등 교육을 받은 숙련된 인력, 파트너, 기술,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과학기술 인프라에 기초하여 연구개발을 통한 다양한 혁신 과정이 나타나는 도 시와 달리, 농촌은 보다 광범위한 혁신이 가능하다(김광선 2014). 특허를 동반한 기술개발에 의한 혁신, 마케팅을 활용한 상품 혁신, 새로운 장비의 구매를 통한 공 정의 혁신, 외부 주체들과의 협력적 관계를 통한 네트워크화 혁신 등이 그 예이다.

2.4. 선행연구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차별성

이 연구에서는 OECD 저밀도 경제 논의를 참고하여 농촌에서 성장하는 다양한 산업부문을 농촌산업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산업 관련 선 행연구들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협의의 농촌산업 개념을 확대하여, 농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역 산업의 출현 및 성장 과정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농림어업 및 농촌융복합산업뿐만 아니라 저밀도 경제 논의를 참고하여 농촌에서 성장하는 다양한 산업부문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농식품 가공, 농촌 관광, 바이오 소재 등 특정 부문에 한정하여 지역산업 성장에 대

한 연구를 수행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산업구조 진화 관점에서 농촌의 지역 특화산업인 농림어업 및 농촌융복합산업이 소재, 의약품, 신재생에너지 등의 신 산업으로 다각화하는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과정에서 농촌지역의 산업 구조 진 화를 주도하는 요인과 지역 내 주체들의 역할 및 기능 전환 등을 살펴본다.

농촌산업 육성 관련 선행연구와 정책들은 행정구역 특히, 시·군 중심의 국지성 을 강조하고, 지자체 단위의 완결된 혁신 체계 및 생산시스템 구축을 지향한다. 그 러나 저밀도 경제성장 사례들에서는 다층적 공간 연계가 강조되는데, 이는 생산 단계나 혁신 과정에서 집적 효과의 공간적 범위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저밀도 경제’의 불리한 지역 여건으로 인해 모든 연계가 지역 내에서 착근되기 어려운 만큼 도·농 연계가 중요한 전략으로 다루어진다. 기업의 생산 활 동 및 지역의 혁신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과 주체의 입지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치사슬이나 지역 산업 기획 각 단계에서 실제 주체들의 네트워크 공간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농촌지역의 효과적인 혁신 체계를 구상할 필요가 있 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 농촌산업 주체들의 입지요인과 생 산·혁신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공간적 범위 및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 고, 농촌산업 육성을 위한 공간 단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숙단계에 접어든 지역 농촌산업의 다각화, 전환에 관한 연구와 정책 수단이 부족하다. 수요가 정체되어 있고, 경쟁 기업 및 지역의 출현으로 인해 성숙단계에 접어든 농촌산업 부문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농촌산업 육성 정책은 산업의 성장에 초점을 두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밀도 경제의 스마트 전문 화와 관련하여 지역 농촌산업의 쇠퇴가 나타나는 지역 대상의 네트워크의 고착 (lock-in) 극복 및 사업의 다각화, 전환 등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