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부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31-34)

Ⅳ. 결과 및 고찰

2. 요부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표 8. 요부관절 근력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60°PT 130.0±30.3 138.1±34.7 .978 .348 굴곡근 60°PT 64.5±18.8 70.6±17.7 1.979 .071

*P<.05 **P<.01

<표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력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30.0±30.3에서 사후에는 138.1±34.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978, p=.348)

굴곡근시 요부관절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4.5±18.8에서 사후 에는 70.6±17.7로 증가하였다. 요부관절 근력에서는 신전근과 굴곡근에서 모두 향 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전근 보다 굴곡근에서 유의수준 .071로 더큰 향상을 보여 수영시 복부의 단련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t=1.979, p=.071)

표 9. 요부관절 근지구력 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 123.9±21.4 135.2±36.7 1.501 .159 굴곡력 180°PT 68.9±22.0 79.8±14.7 2.203 .048**

*P<.05 **P<.01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23.9±21.4에서

사후에는 135.2±36.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1.501, p=.159)

굴곡근시 요부관절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8.9±22.0에서 사 후에는 79.8±14.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t=2.203, p=.048**) 이러한 굴곡근의 향상은 빠른 발차기의 반복적 트레 이닝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10. 요부관절 체중당 근력측정 단위: (%)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60°PT/BW 316.7±61.0 314.3±86.7 -.184 .857 굴곡근 60°PT/BW 147.0±32.0 171.9±36.0 3.278 .007**

*P<.05 **P<.01

<표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16.7±61.0 에서 사후에는 314.3±86.7로 감소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84, p=.857)

굴곡근시 요부관절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71.9±36.0에 서 사후에는 147.0±32.0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t=3.278, p=.007**) 성장기의 아동들이 체격이 성장했음에도 근 력에서보다 체중당 근력에서 더 큰 향상을 나타낸 것은 굴곡근에서 향상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11. 요부관절 체중당 근지구력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BW 310.1±83.3 314.3±86.7 -.184 .857 굴곡근 180°PT/BW 160.3±48.2 199.6±52.1 3.099 .009**

*P<.05 **P<.01

<표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10.1±83.3 에서 사후에는 314.3±86.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향상되었음을 표에서 볼 수 있다.(t=.-.184, p=.857)

굴곡근시 요부관절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60.3±48.2 에서 사후에는 199.6±52.1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099, p=.009**) 이러한 향상들은 요부관절의 근력보다 근 지구력에서 더 큰 향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아이들에게 100m도 중거리에 들어가 기 때문이 아닌가 사료된다.

Zeevi Dvir에 의하면 신전근이 굴곡근보다 일반적으로 더 강하며, 환자들의 경우 는 굴곡근이 강하다고 하였다. 요부관절의 굴곡근 대 신전근의 비율에 관하여 일반적 으로 요부신전근은 굴곡근에 비해 더 큰 회전력을 갖는다. 이와같이 허리의 근력발휘 에서 신전력이 굴곡력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신전근의 직경이 굴곡근보다 크 기 때문이다. Mandell(1992)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각속도 60°/sec 이하에서 신근과 굴근은 1:1의 비율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Langrana(1984)등은 요부관절의 신근-굴곡근은 요통이 없는 사람들에게서는 1.6:1의 비율을 나타내고, 요통이 있는 사람은 1:1이라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학자 들은 요통이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굴근이 더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

위의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요부관절의 신전근에 비

60°PT R 83.3±24.3 88.7±25.0 -1.875 .085 60°PT L 78.1±20.8 81.8±21.3 -1.212 .249

굴곡근

60°PT R 48.1±12.9 46.5±13.3 -1.692 .116 60°PT L 46.5±11.6 49.4±14.1 -1.006 .334

*P<.05 **P<.01

<표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근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83.3±24.3 에서 사후에는 88.7±25.0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31-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