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정 방법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23-0)

Ⅲ. 연구 방법

3. 측정 방법

본 연구는 Biodex system-3000을 이용하여 사전 검사로 근력, 근지구력을 측정 한 다음,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각 부위별 등속성 근기능을 측정하여, 주요 관절을 중심으로 굴곡근 및 신전근의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슬관절, 견관절을 중심으로 한 근기능 측정시 근력은 60°/sec의 부하속도에서 3회 실시하 고, 근지구력은 180°/sec의 부하속도에서 20회 실시하였다. 요부를 중심으로 한 근기능 측정시 근력은 60°/sec의 부하속도에서 3회 실시하며, 근지구력은 180。

/sec의 부하속도에서 20회 실시하였다.

1) 견관절 측정

견관절을 중심으로 어깨의 근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Biodex system-3000의 의 자에 앉힌 후 Dynamometer를 피검자에게 적합하도록 조절한다. 피검자의 어깨, 손목, 허벅지를 고정밸트를 이용하여 몸을 고정한다. 가동범위를 정하고 측정 부위 를 설정하였다. 근력 측정은 정해진 범위에서 3회를 실시하였고, 근지구력 측정시는 정해진 가동 범위에서 최대의 힘으로 20회를 실시하였다.

2) 요부 측정

dynamometer rotation 0도로 하고, dynamometer tilt 0도로 하였다.

본체와 back attach의 red dot을 일치시켜 연결한 다음 고정을 한다음, 바퀴를 고정하고 하단부에 있는 파워해드 슬라이더를 고정하였다.

피험자를 의자에 앉힌다. 피험자를 똑바로 앉히고 장비를 앞, 뒤로 움직여서 세로 축을 척추의 세로축과 일치시킨다.

발판의 위치는 앉은 자세에서 대퇴골과 평행에 가깝게 되도록 하고 무릎의 각은

15도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의자의 각도를 60°로 세우고 고정을 시작하고서, 하단부 에 있는 펌프 페달을 이용하여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관절(ASIS) 축을 본체의 축과 일치시킨다.

골반과 대퇴골을 두 개의 밴드로 견고하게 고정을 시킨다.

허리 패드는 허리에 밀착을 시켜 환자가 가장 힘을 쓸 수 있게 밀착시켜서 견고하 게 고정한다. 장비의 머리 받침대는 후두 융기(돌출) 부위의 밑에 위치시킨다.

clavicl pad로 양 쇄골의 중앙 부위에 오도록 하여 연결 밴드로 두 개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장비를 움직여가면서 마지막으로 고정 여부를 확인 재정리하였다.

해부학적 자세를 0°로 설정하였다.

가동 범위는 최대한의 가동범위를 먼저 설정하기 위해 몸통을 신전 시켜서 0도를 설정하였다.

몸통을 앞으로 굴곡시켜서 90°를 설정하고, 중력의 힘이 가장 큰 위치인 0°에서 limb weight를 설정하였다.

절차에 대한 설명을 피검자에게 실시하고, 이 프로토콜은 60도°/sec 3번과 18 0°/sec 20번을 실시하였다.

각 시작 전에는 한번의 연습을 하고 휴식시간은 15초이다.

3) 슬관절 측정

슬관절을 중심으로 하지의 신전 및 굴곡운동을 통한근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 검자를 앉힌 후 슬관절의 중심점이 Dynamometer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하고, 하 지의 신전 및 굴곡 운동시 신체의 다른 부위로부터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근에 외력 을 가하지 못하도록 대퇴부위와 허리, 가슴부분을 벨트로 고정하였다.

5. 자료처리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처리 방법은 윈도우용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1) 각 관절의 사전, 사후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2) 수영 훈련 전과 훈련 후의 각각의 변인들을 비교하기 위해 종속 t-test를 실시 하였다.

3) 통계 분석을 위한 유의도 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신전근 60°PT R 13.3±3.8 14.1±3.8 -.581 .572 60°PT L 14.9±7.5 13.0±4.8 .835 .420

굴곡근

60°PT R 17.8±4.8 20.7±4.7 -3.159 .008**

60°PT L 15.7±4.9 17.1±4.6 2.045 0.063

*P<.05 **P<.01

다.(t=-3.159, p=0.008**)

신전근 180°PT R 23.6±5.7 24.9±7.2 -.618 .548 180°PT L 23.8±7.6 24.0±10.0 -.166 .871

굴곡근

180°PT R 27.5±4.6 31.2±2.9 -3.726 .003**

180°PT L 24.0±7.8 28.1±3.4 -1.890 .083

*P<.05 **P<.01

사후에는 28.1±3.4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60°PT/BW R 33.6±13.0 32.2±6.7 .401 .696 60°PT/BW L 37.6±20.9 29.7±9.2 1.291 .221

굴곡근 60°PT/BW R 43.5±9.2 48.0±11.4 -1.650 .125 60°PT/BW L 37.6±10.2 39.2±8.7 -.754 .465

*P<.05 **P<.01

굴곡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43.5±

신전근 180°PT/BW R 57.7±15.3 56.2±13.9 .271 .791 180°PT/BW L 57.4±16.7 53.5±22.2 1.130 .280

굴곡근 180°PT/BW R 67.2±9.9 73.3±14.4 -1.65 .125 180°PT/BW L 59.1±19.5 65.6±12.7 -1.025 .325

*P<.05 **P<.01

타나지 않았다.(t=-1.65, p=.125)

굴곡근시 왼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59.1±

19.5에서 사후에는 65.6±12.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025, p=.325)

사춘기 이전에 소녀들을 일주일에 3일, 하루에 25-30분씩 9주간의 저항 근력 운 동 프로그램에 참가시켜 훈련 받지 않은 집단은 9.5%의 근력증가를 나타낸데 비하 여 훈련받은 집단은 42.9%의 근력증가를 보였다고 Sewall과 Mihelic(1986) 하였 다.

Connor(1976)은 41명의 경영선수들을 통해 바이오 키네닉 스윔벤치를 사용한 결과 근력이 평균 28%증가하고 단거리 수영 능력이 3.6% 향상되었음을 보고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근력향상을 보였으나 우측 굴곡근의 근 력과 근지구력에서만 유의있게 나타났다(P<.05). 이것은 피검자들이 모두 자유형과 배영처럼 손이 대칭되는 영법에서 왼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 아동기 수영 훈련에 있어 왼쪽 견관절 사용에 집중 훈련을 실시하고 오른 쪽과 왼쪽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해야 할 것이다. 불균형 견관절의 상해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Karpovich(1935)에 의하면 자유형 선수가 증진시킬 수 있는 속도를 팔만에 의한 추진력, 팔과 다리를 이용한 추진력을 조사한 결과 속도의 70%는 팔에 의한 것이고, 30%는 다리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고, Armbruster, Allen 그리고 Billing, Sley(1970)은 자유형 전체힘의 약 85%는 팔에서 나온다고 하였으며, Counsilman(1968)은 팔의 역할이 추진력의 주요근원이며 유일한 것이라 한 것을 보면,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견관절 굴곡력에서 사전 17.8±4.8에서 사후 20.7±4.7로 P<.001과 견관절 굴곡근지구력에서 사전 27.5±4.6에서 사후 31.2

±2.9로 P<.001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과 선행연구가 일치하고 있다.

2. 요부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표 8. 요부관절 근력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60°PT 130.0±30.3 138.1±34.7 .978 .348 굴곡근 60°PT 64.5±18.8 70.6±17.7 1.979 .071

*P<.05 **P<.01

<표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력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30.0±30.3에서 사후에는 138.1±34.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978, p=.348)

굴곡근시 요부관절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4.5±18.8에서 사후 에는 70.6±17.7로 증가하였다. 요부관절 근력에서는 신전근과 굴곡근에서 모두 향 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전근 보다 굴곡근에서 유의수준 .071로 더큰 향상을 보여 수영시 복부의 단련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t=1.979, p=.071)

표 9. 요부관절 근지구력 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 123.9±21.4 135.2±36.7 1.501 .159 굴곡력 180°PT 68.9±22.0 79.8±14.7 2.203 .048**

*P<.05 **P<.01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23.9±21.4에서

사후에는 135.2±36.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1.501, p=.159)

굴곡근시 요부관절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8.9±22.0에서 사 후에는 79.8±14.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t=2.203, p=.048**) 이러한 굴곡근의 향상은 빠른 발차기의 반복적 트레 이닝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10. 요부관절 체중당 근력측정 단위: (%)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60°PT/BW 316.7±61.0 314.3±86.7 -.184 .857 굴곡근 60°PT/BW 147.0±32.0 171.9±36.0 3.278 .007**

*P<.05 **P<.01

<표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16.7±61.0 에서 사후에는 314.3±86.7로 감소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84, p=.857)

굴곡근시 요부관절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71.9±36.0에 서 사후에는 147.0±32.0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t=3.278, p=.007**) 성장기의 아동들이 체격이 성장했음에도 근 력에서보다 체중당 근력에서 더 큰 향상을 나타낸 것은 굴곡근에서 향상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11. 요부관절 체중당 근지구력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BW 310.1±83.3 314.3±86.7 -.184 .857 굴곡근 180°PT/BW 160.3±48.2 199.6±52.1 3.099 .009**

*P<.05 **P<.01

<표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10.1±83.3 에서 사후에는 314.3±86.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향상되었음을 표에서 볼 수 있다.(t=.-.184, p=.857)

굴곡근시 요부관절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60.3±48.2 에서 사후에는 199.6±52.1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099, p=.009**) 이러한 향상들은 요부관절의 근력보다 근 지구력에서 더 큰 향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아이들에게 100m도 중거리에 들어가 기 때문이 아닌가 사료된다.

Zeevi Dvir에 의하면 신전근이 굴곡근보다 일반적으로 더 강하며, 환자들의 경우 는 굴곡근이 강하다고 하였다. 요부관절의 굴곡근 대 신전근의 비율에 관하여 일반적 으로 요부신전근은 굴곡근에 비해 더 큰 회전력을 갖는다. 이와같이 허리의 근력발휘 에서 신전력이 굴곡력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신전근의 직경이 굴곡근보다 크 기 때문이다. Mandell(1992)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각속도 60°/sec 이하에서 신근과 굴근은 1:1의 비율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Langrana(1984)등은 요부관절의 신근-굴곡근은 요통이 없는 사람들에게서는 1.6:1의 비율을 나타내고, 요통이 있는 사람은 1:1이라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학자 들은 요통이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굴근이 더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

위의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요부관절의 신전근에 비

60°PT R 83.3±24.3 88.7±25.0 -1.875 .085 60°PT L 78.1±20.8 81.8±21.3 -1.212 .249

굴곡근

60°PT R 48.1±12.9 46.5±13.3 -1.692 .116 60°PT L 46.5±11.6 49.4±14.1 -1.006 .334

*P<.05 **P<.01

<표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근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83.3±24.3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83.3±24.3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23-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