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연구의 목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 연구의 목적"

Copied!
4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목 차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4

1. 아동기의 신체발달 ···4

2. 수영시 동원되는 근육 ···7

3. 근기능 ···11

4. 근력 발휘의 형태 ···13

5. 선행 연구 ···16

Ⅲ.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18

2. 훈련 프로그램 ···20

3. 측정 방법 ···20

4. 자료 처리 ···23

Ⅳ. 결과 및 고찰···24

1. 견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24

2. 요부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29

3. 슬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32

Ⅴ. 결 론···39

참고 문헌···40

ABSTRACT ···43

(2)

표 목 차

<표 1> 피검자의 신체적 특성 ···18

<표 2> 실험기기의 종류와 측정항목 ···18

<표 3> 훈련 프로그램 ···20

<표 4> 견관절 근력 측정 ···24

<표 5> 견관절 근지구력 측정 ···25

<표 6> 견관절 체중당 근력 측정 ···26

<표 7> 견관절 체중당 근지구력 측정 ···27

<표 8> 요부관절 근력 측정 ···29

<표 9> 요부관절 근지구력 측정 ···29

<표 10> 요부관절 체중당 근력 측정 ···30

<표 11> 요부관절 체중당 근지구력 측정 ···31

<표 12> 슬관절 근력 측정 ···32

<표 13> 슬관절 근지구력 측정 ···33

<표 14> 슬관절 체중당 근력 측정 ···34

<표 15> 슬관절 체중당 근지구력 측정 ···35

(3)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인간의 모든 신체활동은 근수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근력, 근지구력 등의 근기능은 운동 선수들의 경기력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체력 중 행동체력은 근력, 순발력,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 지구성 등으로 구성되 며 이중에서 근력은 운동능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고흥 환, 1992) 특히 운동 선수에서의 경기능력은 체력, 경기기술, 지적능력에 의하여 결 정된다.

오늘날의 수영은 대중적인 경기로 변모하여 모든 이들에게 각광을 받는 스포츠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수백만의 사람들이 수영을 즐기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스포트 종목으로 체력증진과 스포츠 경기, 레크레이션 목적으로 모든 연령 층에서 행해지고 있다(perry, 1991). 한 나라의 부강은 그 나라의 체육 발전에도 정비례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현대의 스포츠는 국가관에 따라서 정치 적인 배경을 갖고, 엘리트 선수를 양성시켜 승부에 집착하는 경향이다. 이와 같은 배 경으로 국내선수들의 기록이 차츰 향상되어 아직 세계 기록과 비교해 볼 때 많이 낙 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세계적인 경기에서 구미 선수들과의 생리적인 적성과 체력, 체격 특성 차이로도 볼 수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은 과학적이 훈련방법으로 생 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들을 인지할 때, 수영 경기에 있어서 체계적인 이론의 축적과 신체 운동수행 능력의 생리적인 요인 및 훈련적인 요인의 적용 방법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지적된다.

과거의 수영계는 수영경기에서 필요한 근력이나 호흡순환기능의 발달은 수중에서 수영기술을 익히는 동안 자연히 길러지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기술습득에 중점을 두 어 기본기를 완벽하게 익힌 탁월한 영법의 소유자가 세계정상에 올랐었다. 그러나, 근대 수영계의 추세는 스포츠 과학화에 따라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4)

이루어지고 있어,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때부터는 힘의 수영시대를 맞이하게 되 었고, 아울러 수영기록도 현저하게 단축되고 있어 영법 보다는 체력강화에 더욱 중점 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이봉우, 1996).

수영경기 종목의 하나인 경영은 정해진 거리를 놓고 시간을 다투는 경기로서 1929년부터 우리 나라에서 정식경기가 시작되어 그 동안 저변확대와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아직도 경기력 면에서 후진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영은 물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이를 극복해 나아가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속력을 내기 위해서는 팔과 다리를 움직여 강력한 추진력을 일으킬 수 있는 근력을 소유하 여야 한다. 또한 영법에 따라서 다른 근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그것은 그 종목을 운 동함에 있어 그 종목이 필요로 하는 근육이 동원됨으로서 그 부위의 근기능이 향상 되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그 운동종목에 적합한 근기능을 보유한 자가 그 영법을 선 택하게 되면 다른 사람보다는 빠른 적응과 기량향상을 보임으로써 성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수영은 이미 과학적인 훈련 방법에 큰 비중을 두어 92년 바로셀로나 올림픽 에서 금메달을 4개 획득함으로써 세계정상을 정복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이러한 동양권 수영선수들의 세계 정상회복은 우리 한국 수영이 아시아의 벽을 넘어 세계수 준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조오련, 최윤희, 지상준 등의 선수들 이 아시아의 정상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우리나라 수영의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확 인 시켜준 것이라 하겠다(이봉우, 1996).

우리 나라의 단거리 수영선수들의 체격이나 근육발달은 외견상으로도 외국의 우수 선수들에 비해 상당히 열세에 있으며 기록 또한 세계 수준에 요원한 실정이다. 이러 한 체격의 열세를 극복하고 세계 수준의 경기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종 첨단 장 비를 동원하여 연구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근력 트레이닝을 통한 월등한 체력을 보유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경기력 향

(5)

상을 위해서는 수영경기에 필요로 하는 과학적인 전문체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 을 통해서 이의 효과적인 육성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수영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견관절, 요부관절, 슬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을 사전 측정한 후 수영프로그램에 의해 트레이닝을 한 다음 사후 측정하여 각 관절의 신전근 및 굴곡근의 발달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1) 초등학생에 있어 수영이 견관절 굴곡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초등학생에 있어 수영이 견관절 신전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초등학생에 있어 수영이 요부관절 굴곡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초등학생에 있어 수영이 요부관절 신전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5) 초등학생에 있어 수영이 슬관절 굴곡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6) 초등학생에 있어 수영이 슬관절 신전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연구의 제한점

1)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심리적, 생리적 상태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2) 본 연구는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6)

II. 이론적 배경

1. 아동기의 신체발달

1) 학령기 아동의 성장

6세에서 12세의 아동들은 유아기의 형제자매의 모습과는 매우 다르다. 그들은 키 가 더 크고 더 야위었다. 비록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지방 세포를 다소 많이 가지고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신체가 꽤 튼튼한데 이러한 특성은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12세의 6학년 아동들을 보면 남아가 여아보다 머리 크기의 반쯤은 더 크다. 일반 적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다소 체중이 무겁고 키가 크지만 큰 차이는 없다. 그러나 이 시기의 말기(대략 10세-12세)에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먼저 사춘기에 도달하고 또 신체적으로 남아들보다 더 큰 경향이 있다.

아동 중기(middle of childhood)동안에는 영아기와 유아기 동안의 성장률과 비교 했을 때 규칙적이지만 느리게 성장한다. 청년기 동안과 비교해서도 성장이 느리다.

또한 전체적인 신체 비율에서도 별 변화가 없다.

같은 연령의 정상적인 아동들은 키에 있어서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발달의 모든 측면에서 개인들 사이에 다양한 편차가 있음을 반영한다. 개인차의 범위 는 너무나 넓어서 “일곱번째 생일에 평균키였던 아동이 2년 동안 키가 정상적인 범 위 안에 있을 것이다(Tanner, 1973).”

우리가 지나가던 그 학교가 비교적 부유한 지역사회 안에 있다면 그 아동들은 저 소득층의 아동들보다 다소 크고 더 성숙할 것이다 이런 조기 성숙은 상류층의 좋은 영양에 기인한다. 비만아동들-과잉영양아-그 중에서도 몸무게가 무거운 여아들은 호 리호리한 아동들보다 더 일찍 첫 월경을 시작하게 된다. 이리하여 우리는 과잉영양이 성장을 가속화하는 반면에 영양실조는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7)

여러 나라로부터 온 아동들이 다니는 국제학교에서는 같은 연령에 속한 아동들의 키가 더욱 더 광범위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세계의 여러 다른 지역의 8 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한 연구에 의하면 키가 가장 작은 아동들(대부분 동남아시 아, 오세아니아, 남미 지역)의 평균키와 가장 큰 아동들(대부분 북유럽과 중앙유럽, 동오스트레일리아, 미국)의 차이는 약 23cm였다(Meledith). 이런 다양성은 유전적 인 영향에도 기인하겠지만 환경적인 영향도 작용했을 것이다.

계층간(경제적으로 혜택받는 층 대 혜택받지 못한 층)그리고 지역간(선진국 대 제 3세계)에서 나타나는 이런 평균키의 차이 때문에 집단에 따라 성장 표준을 다르게 개발시킬 필요가 있다(goldstein & Tanner, 1980). 건강의 지표나 비정상을 조 사하기 위한 도구로서 우리는 종종 아동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치수를 사용하기 때문 에 특정한 아동이 속하는 집단을 위하여 무엇이 표준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신체기관 체계의 성숙으로 인하여 이 시기의 아동들은 초기 때보다 더 예리한 시 력과 시야를 가진다. 예를 들면 6세에 양눈의 협응이 잘 발달되어 눈의 초점이 잘 맞게 된다. 두뇌의 발달은 실제로 이때 완성된다. 6세 이전의 아동은 눈이 아직 완 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멀리까지 잘 보는 경향이 있고 눈의 모양도 성인과 다 르다.

아동기에 있는 아이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얼굴의 비율이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머리에서 발쪽(cephalocaudal)으로의 발달원칙에 따라 머리의 윗부분은 주로 뇌의 성장 때문에 아랫부분보다 빠른 비율로 자랐다. 지금은 얼굴의 아래 반이 성장 을 따라잡고 이마는 더 이상 튀어나오지 않았으며 얼굴모습은 더욱 더 탁월해지고 개성이 뚜렷해졌다.

6세에서 12세 사이에 아동들은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자란다. 이것은 1-2학년 들의 이 빠진 애교있는 미소에서 가장 현저히 알 수 있는데, 유치가 빠지고 더 큰 것으로 대치되어진다.

(8)

2) 운동 발달(Motor development)

아이들은 계절, 지역사회, 아동에 따라 각각 다른 놀이를 하는데 줄넘기, 야구게 임, 롤러 스케이트 타기, 자전거 타기, 썰매 타기와 눈싸움, 전에 수영장이었던 곳에 뛰어들기 등 여러 가지 놀이를 할 것이다.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자신의 신체를 움 직일 수 있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아동들은 더 튼튼하고, 더 빠르고, 더 잘 조절된 신체를 유지하며, 또 신체를 테스트하고, 새로운 기술을 성취함으로써 커 다란 기쁨을 느낀다.

달리기, 뛰어 오르기, 던지기는 많은 아동기 게임의 일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Espenschade(1960)는 이 세가지 활동에서 연령과 성차에 따른 연구를 했다. 그녀 는 아동발달에 관한 보고서를 많이 검토하고, 달리기, 표준 넓이 뛰기, 뛰어서 닿기, 던지기에서 아동들의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광범위한 개인차와 약간의 성차를 발견했 으며, 모든 연령에서 능력은 아동의 크기와 체격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 했다. 성숙의 효과는 균형과 협응의 발달에서 볼 수 있는데, 균형과 협응은 체격이나 체력과는 별로 관계가 없다. 또한 그녀는 한 활동에서의 아동들의 능력이 다른 활동 에서의 기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달리기를 잘 하는 아동은 던지기와 뛰기도 잘하는 경향이 있었다.

남아와 여아의 능력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남아들은 5세부터 17세까지 기술 이 증가하는 반면에, 여아들은 초기 아동기 시절을 거쳐서 약 13세에 그 능력이 최 고 치에 달하고 나서 쇠퇴하거나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남아들은 모든 기술면에서 여아보다 다소 낫긴 하지만 큰 차이가 없다가 사춘기 때에 급성장을 보여주며, 여아 들은 쇠퇴하거나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여아들의 경우에 13세 이후에 고 계속해서 키가 자라므로 신체적인 성숙이나 2차 성징의 발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들이 열세하다고 설명하기는 어렵다. 여기서는 사회적인 설명이 타당할 것 같다. 즉 이 연령이후 여아들은 신체적 활동에서 뛰어나고 싶은 동기가 적어진다. 전통적으로 이 연령쯤이면 말괄량이 같은 행동을 하지 말도록 권고를 받기 때문이다. 대근육 기 술과 아동들의 발달상태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Govatos(1959)는 6세에서

(9)

11세 사이의 아동 101명의 키, 몸무게, 골격구조, 체력, 지능, 영구치아수를 특정 조사하였고, 던지기, 달리기, 차기 능력도 평가했는데 남녀 모두가 성숙함에 따라 능 력이 증가했다. 나이에 따라서 발달되는 기술도 달랐다. 키나 체격이 비슷한 남녀 아 동들은 달리기와 뛰기에서 비슷하게 잘 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남아들이 일반적으로 던지기와 차기에서 여아들을 능가했다. 여아들의 경우, 뛰기와 달리기를 잘 하여서 술래잡기와 줄넘기를 잘 하는지, 아니면 술래잡기와 줄넘기가 이런 능력을 증가시키 는지 알 수 없다. 또 남아들의 경우는 던지기와 차기를 잘 해서 축구와 럭비를 잘 하는지, 아니면 축구와 럭비 놀이를 해서 던지고 차기를 잘 하게 되는지 의문이다.

성숙은 운동 기술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하지만 문화도 운동기술 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2. 수영시 동원되는 근육

1) 크로올

(1) 다리 동작

물장구치기시 내려치는 동작은 허리에서부터 시작하므로 먼저 골반을 고정시킬 필 요가 있으며, 이때는 허리의 앞,뒤 쪽에 붙어있는 여러 근육, 즉 복직근 (rectusabdominis), 장요근(iliopsoas) 등이 작용한다.

다리의 상하운동의 동작은 허리에서부터 시작한다. 다리를 아래로 내려치기 시작 할 때는 허리와 무릎이 약간 굽혀진 상태이며 발목이 펴져 있어야 한다. 이때의 동작 은 먼저 허리에서부터 시작하고 엉덩이, 무릎, 종아리, 발목 그리고 발로 차츰 옮겨 져서 발끝이 수직 아래 방향으로 내려감에 따라 무릎을 굽히는 데는 봉공근 (sartorius), 비복근(gastrocnemius) 등이 작용한다. 이때 발목이 퍼져서 비복근 이 수축한 상태가 되면 비복근은 무릎을 굽혀진 상태이나 다리를 들어올리는 끝맺음 이 가까워지면 발바닥으로 물을 밀어 올리게 되며 비로소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된다.

(10)

이것은 다리를 아래로 내려칠 때와는 정반대로 물을 후하방으로 밀어내는 동작이다.

(2) 팔동작

팔을 어깨 앞과 머리 옆의 연장선상에서 물에 넣기 바로 직전에는 팔꿈치가 어깨 와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삼각근후부(deltoid posterior)가 강하 게 작용한다. 팔꿈치의 위치가 어깨나 손보다 낮은 상태로서는 손가락 끝부터 물에 넣는 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 물에 넣을 때는 어깨 및 팔꿈치가 충분히 펴지면서 들어가며 팔을 약간 안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어깨를 충분히 앞쪽으로 신전시키기 위해서는 상완근을 안쪽과 위쪽으로 끌어당기지 않으면 안된다. 팔의 내전은 대흉근(pectoralis major)의 움직임에 의해 서 일어나게 된다. 팔을 밑으로 누를 때는 견갑골(scapula)은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물을 끌어당기고 있는 전완은 약간 굽혀진 상태이며 이 경우 관절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데 물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관절의 근육이 작용하여야 한다.

손목이나 손바닥 부위에서는 물의 압력에 대비하여 손목이나 손가락을 약간 내측 으로 굽히고 최후로 물을 밀어 보낼 때는 손목이나 손가락의 굽힘을 세게 한다.

물젖기를 끝내고 팔을 물에서 빼어 올리는 동작은 삼각근후부, 광배근(latissimus dorsi), 대원근(teres major)의 강한 수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팔을 물 밖에서 앞 으로 이동해 가기 위해 들어올리는 동안 견갑골은 내전된다. 또한 견갑골은 팔을 물 에 넣기 전에는 위쪽으로 회전하며 이때 팔꿈치는 어느 정도 신전된다.

2) 배 영

(1) 다리동작

다리동작은 크로올의 물장구치기를 뒤집어서 행하는 동작이라고 생각해도 좋을 만 큼 대단히 유사하다. 그러나 다리동작은 크로올의 물장구치기보다 약간 깊은 수중에 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허벅다리에 힘을 넣고 발을 자연스럽게 펴서 위로 올려 찬

(11)

다는 점이 다르다.

이때 주로 동원되는 근육은 대퇴직근(rectus femoris), 전경골근, 비복근 (gastr -ocnemius), 가자미근(soleus)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팔동작

근래 경영에 있어서는 팔동작이 크롤과 비슷해져가고 있으나 역시 상이한 점이 많 다. 팔동작은 잡기, 하방젓기, 상방젓기, 그리고 되돌리기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로 동원되는 근육은 광배근(latissimus dorsi), 대원근(teres major), 상 완근(brachialis),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평 영

(1) 다리동작

허벅다리를 굽힐 때는 대퇴직근, 봉공근 등이 수축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근육이 수축할 때 근육의 양끝의 부착점이 서로 가깝게 위치한다. 그러므로 몸통과 허벅다리 는 서로 가까워지려 하기 때문에 허리가 ‘ㄱ’자 모양으로 굽혀지기 쉽다.

다리를 굽힐 때는 움직이는데 필요한 근육에 최소한의 힘만을 가하고 그 밖의 여 러 근육은 가급적 힘을 빼고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무릎을 굽히는 것은 허벅 다 리를 끌어당겨 일어나는 수동적인 동작이기 때문에 힘을 넣지 않아도 가능하게된다.

물을 차기 전에는 양발바닥은 수면을 향하고 있으나 물을 차기 위해서는 될 수 있 는대로 빨리 물을 찰 수 있는 방향, 즉 45도 비껴 외후방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향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리의 신전은 대둔근(gluteus maximus), 햄스트링근 (hamstring),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등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무플의 신전은 무릎을 펴는 것은 물론 슬관절인대의 여러 근육이 허리를 펴는 데에도 유효 하게 작용하고 있다. 발목을 펴며 무릎과 발목의 관절은 물을 차는 동작의 최후 순간

(12)

까지 이 자세를 유지한다.

물을 찬 후 양다리를 합치는 것은 슬개건, 내전근, 비복근 등의 여러 근육이다. 이 근육들은 또한 다리를 외측방향으로 휘돌리는 회전을 도와서 양발바닥이 서로 마주

합치듯이 작용한다.

(2) 팔동작

양손을 가슴 앞에 모은 자세에서 앞쪽으로 뻗을 때는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이 팔꿈치에 작용하고 어깨 쪽에서는 삼각근중간부가 작용한다. 또한 어깨 를 충분히 신전시키기 위해서는 승모근(trapezius) 등이 작용하여 손바닥을 수평으 로 뻗는 상태로 팔을 머리 쪽으로 끌어 붙인다.

신전시킨 양팔에 의하여 물을 끌어당길 때는 대원근(teres major), 광배근 (latissimus dorsi) 등이 작용한다. 이때 견갑골은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또한 물을 누르면서 측후방으로 젓기 위해서는 손바닥을 어느 정도 외후방으로 향하지 않으면 안되며 팔의 회전이 필요하다. 물을 끌어당길 때는 손목을 약간 굽혀 고정시키는 것 이 좋다. 물젓기를 끝낸 팔은 물을 누르면서 팔꿈치를 더욱 구부리고 대원근, 광배근 등의 작용에 의하여 상완을 옆구리에 가까이 가져온다.

4) 접 영

(1) 다리동작

물을 차 내릴 때는 우선 요부관절(hip joint)에서 내관골근(장요근: iliopsoas), 대퇴직근(rectus femoris), 봉공근(sartorius) 등이 작용하며 허벅다리를 아래쪽으 로 끌어당긴다. 무릎에 있어서는 물의 저항과 슬개건(knee tendon)의 장력에 의하 여 무릎을 완전히 펴서는 안 된다. 발목은 비복근 및 가자미근의 작용에 의하여 신전 되지만 완전히 신전 된 상태는 아니다.

다리의 동작은 다리근육만의 작용이 아니고 허리의 고정이 필요한데 허리를 고정

(13)

시키기 위해서는 척추의 신근과 허리에 부착되어 있는 여러 근육 즉, 대퇴사두근 (quadriceps femoris), 대둔근(gluteus maximus), 비복근(gastrocnemius), 가 자미근 등의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팔동작

접영의 팔동작은 크록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단지 양팔이 동시에 움직인다는 점 이 다르다. 팔젓기의 동작에서는 어깨 및 견갑골의 유연성, 견관절과 여기에 부착된 여러 근육의 탄력성을 필요로 하며 그 중에서도 삼각근(deltoid), 활배근 (latissimus dorsi), 대흉근(pectoralis major),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근기능

1) 근력

근력이란 근육이 한 번에 최대 노력으로 발휘할 수 있는 힘의 크기를 말하며, 근지 구력과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근력은 근 섬유들의 직경과 관련이 있다. 근육의 직경과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힘 을 낸다. 부하훈련(weight training)을 통해 근육의 직경은 증가되는 편이며, 이러 한 근 크기 증가를 근 비대(hypertrophy)라 한다. 반면에 근 크기 감소는 위축 (atrophy)이라 한다. 근 섬유의 수는 선천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근 섬유가 많은 사람일수록 근 비대가 잘 일어난다.

근력에는 힘을 발휘하는 근육의 수축방법에 따라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밀거나 끌어당기거나, 잡을 때와 같이 비교적 천천히 근섬유를 수축시켜 힘을 발휘 할 때의 근력을 정적 근력이라 한다. 이에 비해 순간적으로 근섬유를 수축시켜서 폭발적으로 힘을 발휘할 때의 근력을 순발력근 혹은 파워근이라 한다. 또 어떤 일정한 운동을 얼

(14)

마만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가와 같이 근수축을 지속시키는 능력을 근지구력 이라 한다. 측정기구로는 악력계, 배근력계 등을 사용한다.

2) 근지구력

근지구력이란 어떤 활동을 오랫동안 반복할 수 있는 근육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 으로, 시간의 제한 없이 일정한 정적 수축을 유지하거나 반복적 수축을 계속하기 위 한 근군 또는 근육의 능력으로 규정된다. 흔히 국소적인 근 피로에 대한 저항과 일치 한다.

대개 근운동의 반복과 지속을 통한 횟수, 거리, 지속시간 등에 의하여 근육의 작업 량을 계산하고, 일정시간의 근작업 또는 피로하여 작업불능에 이르기까지의 최대 작 업량으로 표시한다. 사용 근육의 종류 및 운동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측정 방법이 있으나 윗몸 일으키기, 턱걸이, 팔굽혀펴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4. 근력의 발휘 형태

1) 등장성 운동(Isotonic contraction)

이 형태는 근의 장력이 발생함에 따라 근육이 짧아지는 것이다. 물건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사용되는 수축은 가장 일반적인 등장성 수축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 의 수축의 다른 명칭은 신장성 수축과 단축성 수축이 있다.

등장성 수축의 경우 관절운동의 모든 범위에서 최대의 장력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일정한 부하로 여러 가지 관절 각도에서 들고 있을 때, 팔꿈치 굴곡에서 생기는 장력 을 일정한 부하를 위로 들어올릴 때, 팔꿈치 굴곡에 따라 생기는 장력은 관절각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운동을 행하는 관절각에 따라 부하자체도 변화되어져야 한겠 지만 등장성 트레이닝에 있어서는 불가능하다. 이두근 최대 장력(근력)은 관절각도가

(15)

약 120°일 때이며 최소장력은 30°일 때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근육은 가장 약한 지점에서 최대로 수축을 하게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등장성 수축을 포함한 근력 트레 이닝 계획에서 결정적으로 불리한 전이다(노성규, 1987).

전통적으로 등장성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바벨, 덤벨 및 풀리 등의 웨이트 기구를 사용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역사적으로 오래전부터 그 개념이 제시되어 왔으며 그 리이스 신화에서도 언급된 바 있는데, 과부하와 점증적 강도의 중요한 두가지 기초적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과부하는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상에서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상적인 상태 에서의 부하 이상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점증적인 부하의 개념은 근력이 향상되면 보 다 큰 부하로 증가시키게 되면서 근력은 계속적인 향상을 나타낼 것이다. 이것이 체 계적인 과부하 원리의 적용이다.

DeLorme(1945), DeLorme와 Watkins(1948)등의 연구에서는 등장성 트레이 닝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기 위한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그들은 처음 육체적인 의학 과 재활에 관심을 가졌었다. DeLorme와 Watkins가 주장한 체계는 근지구력 향상 을 위해서 낮은 저항과 높은 반복횟수의 이용을 강조했다. 그들은 초기에는 세트당 10회의 반복횟수를 통해서 전체를 약 10세트로 나누어 총 70-100회의 반복횟수를 수행토록 하였다. 그후 그들은 전통적인 Delorme체계를 수정하여 3세트와 각 세트 당 10회의 최대 반복횟수(10-RM)를 수행토록 하였다. 이것은 10회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최대저항으로 간주함을 의미한다. 첫 번째 세트는 10-RM의 50%에 해당 하는 저항으로 수행하고, 두 번째 세트는 10-RM의 75%, 세 번째 세트는 10-RM 의 100%에 해당하는 저항으로 수행토록 한다. 중량은 근력이 향상됨에 따라 주기적 으로 조절되어져야 한다. 중량의 결정은 세 번째 세트에서 10-RM을 수행할 수 있 는가를 기준으로 한다. 일정한 중량으로 14-15회를 반복할 수 있으면 이는 더 이상 10-RM이 아니며 보다 무겁고 새로운 중량을 설전해야 한다.

Zinovieff(1951)는 DeLorme의 방법이 약한 특성을 가졌기 때문에 교대로 실시 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는 10-RM의 높은 저항에서 세트를 지속할 경우 최대수

(16)

축시 통증이나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질적인 측면에서 충분 한 수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첫세트에서 10-RM을 기준으로 10회의 반복횟수 및 10세트에 의해서 총 반복횟수 100회를 실시하는 옥스퍼드기법 을 제안하였다. 연속적인 세트는 피로현상과 함께 근력의 감소를 나타냄에 따라 낮은 저항으로 실시한다. 근력의 감소에 따라 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10-RM에서의 10세트 수행이 이론상 가능해진다.

등장성 트레이닝의 새로운 형태인 플리오메트릭스(plyometrics)는 1970년대 후 반과 1980년대 초반에 상당한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이 방법은 스피드와 근력이 가진 거리감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근육의 탄성요소 및 수축요소에 부가적 인 운동단위의 동원과 저항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전반사를 이용한다. 플리오메트릭스 는 바운딩 부하 및 리바운딩 점프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플리오메트릭스의 정확한 효 과와 실제적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등장성 트레이닝의 또 다른 형태는 근 수축의 신장성(원심성) 단계를 강조하는 것 이 있다. 원심성 근력은 구심성 근력보다 약 32%가 크기 때문에(Atha, 1982), 구 심성 형태에 비해 주어진 근육에 보다 큰 저항을 부하 할 수 있다. 트레이닝수행시 보다 큰 자극이 가해질수록 향상되는 근력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주장은 합 리적이지만 구심성 혹은 정적트레이닝에 비해서 원심성 트레이닝의 장점에 관한 명 확한 결과를 나타내 준 연구결과는 부족하다(Atha, 1982).

2) 등척성 운동(Isometric contraction)

등척성 운동은 1950년대에 도이취의 유명한 근생리학자이며 아이소메트릭 트레이 닝의 창안자인 Hettinger박사에 의해서 근력강화 방법으로 소개되었다. 등척성이라 는 말은 같은(iso) 길이(metric)를 의미한다. 등척성 수축중 근의 장력은 발생하지 만 길이는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최대의 장력이 발생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등 척성 트레이닝의 가장 큰 단점은 일정한 관절의 각에서만 트레이닝이 실시된다는 점 이다. 스포츠 장면에서는 동적 활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 점은 심각하게 고려되어

(17)

져야만 할 것이다(노성규, 1987).

등척성 트레이닝은 상해 후 회복기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운동선수가 관절이나 뼈에 상해를 입어 완전히 움직일 수 없거나 운동수행이 부족하게 될 경우 근육의 크 기와 근력은 감소하게 된다. 정적 수축은 관절의 움직임이 거의 없으므로 상해 후 회 복기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되어 근육기능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잇다. 이 러한 관점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결과가 몇몇 있다. 정적인 운동은 특별한 장비나 값 이 비싼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등척성 트레이닝은 등장성 트레이닝에 비해서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 또한 선수들이 자신의 집에서 개인적인 수행이 가능하며 시즌과 비시즌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등척성 트레이닝의 부정적인 측면은 동기유발이다. 사전의 정확한 평가 없이 운동을 수행하게 되면 근수축시 적용 된느 근력의 정량화가 어렵게 되며 더욱이 트레이닝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관상동 맥질환, 고혈압과 같은 순환계 질환을 가진 고령자에게는 정적 트레이닝이 잠재적 위 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정적인 운동시에는 기도가 폐쇄되어 흉부의 압력이 상승된다. 공기를 충분히 흡입 한 상태와 동일하게 되며, 폐쇄된 입과 코를 통해서 공기를 강하게 내뿜는 동작이 일 어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어렵게 되면 흉강내부의 높은 압력이 하대정맥에 강하게 작용하여 하지로부터의 정맥회귀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고혈압 현상을 나타 내며 심장과 뇌의 혈액 공급량이 감소하게 된다.

3) 등속성 운동(Isokinetic contraction)

등속성 근수축의 개념은 1968년 Perrine에 의해 소개되었다. Perrine는 일정한 무게 또는 저항이 다양한 속도에서 수행되어졌던 전통적 등척성, 등장성 운동 대신에 전관절의 가동범위 안에서 저항을 조절하는 Preset fixed speed의 형태를 갖춘 등 속성 운동의 개념을 발전시켰다(신준길, 1994).

일반적으로 등속성 근력측정은 각 관절을 축으로 일어나는 신체 부위별 근력을 측 정한다. 따라서 측정시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운동범위를 각으로 정하고, 운동에

(18)

대한 부하를 각속도의 단위로 속도저항이 주어지게 된다. 일정하게 주어진 속도저항 보다 빠르게 운동하는 힘, 즉 가속력을 일으키게 하는 힘이 토크(torque: Nm)로서 표현된다.(윤성원, 1993). 따라서 고속도의 부하가 주어질수록 최고토크의 수치는 점점 작아지게 된다. 이때 가속력을 일으키는 근수축력에 작용하는 해당부위의 신체 분절의 무게를 계산해야 하는데, 이러한 값을 중력보정 값이라 한다.

기존의 등척성 트레이닝은 운동부하가 최대이거나 최대에 가깝다 할지라도 운동을 수행한 관절각도에서만 근력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등장성 트레이닝의 경우 외 형상의 부하는 일정하지만 관절의 각도에 따라 상대적 부하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동 작범위의 양극단을 제외하고는 충분한 운동부하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에 비해 등속 성 트레이닝은 전체 동작범위에서 최대로 발휘한 힘이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어떠한 관절각도에서도 최대 부하량이 유지된다(방상식, 1994).

그러므로 등속성 트레이닝은 등척성 트레이닝과 등장성 트레이닝의 단점을 보완하 고 장점만을 이용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등속성 운동은 근육에 의해서 적 용되는 힘에 따라서 저항이 정확하게 변하여 그 범위마다에 최대 근수축이 발휘되도 록 한다. 또한 저항에 대해서 발휘되는 힘은 고정된 속도로 발휘된다. 힘의 크기에 관계없이 저항은 사전에 정해진 속도로 발휘되며 더 이상 빨라지지 않는다. 등속성 트레이닝의 독특한 특징중의 하나는 운동 중에 운동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다.

5. 선행 연구

최청락(1995)은 근력 운동이 수영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 으며, 김은희(1997)는 수영이 혈압이나 체지방량 및 혈청지질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 Karpovich에 의하면 자유형 선수가 증진시킬 수 있는 속도를 팔만에 의한 추진력, 팔과 다리를 이용한 추진력을 조사한 결과 속도는 70%는 팔에 의한 것이고 30%는 다리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Armbruster과 Allen

(19)

그리고 Billing, Sley(1970)은 자유형 전체 힘의 약 80%는 팔에서 나온다고 하였 으며, Cousilma(1968)은 팔의 역할이 추진력의 주요근원이라 하였다.

정재경(1985)은 수영선수의 체격조건이 기록과 상관이 있다고 하였고, 상체의 체 격요인이 기록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접영에서 추진력은 상체 체격요 인이 하체의 체격요인보다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Magel(1970)은 배영에서는 팔의 역할이 추진력의 주요 근원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김수봉(1991)은 접영선수가 요부관절 굴근기능의 유연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박진영(2001)은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에서 굴근과 신근 모두 신장 성 수축시에 최대 힘 효율과 체중당 최대 힘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굴근보다는 신 근에 더 높은 값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Moffroid와 Whipple(1970) 그리고 Costill(1978)은 저속에서 발생된 근력은 고속에서의 순발력을 증진시켜주지 못하며 특정 유형의 운동에서 발생된 근력이 다 른 상이한 운동에 반드시 전이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Perry는 질병을 해소하기 위해서 수영을 비롯하여 조깅, 테니스, 싸이클링, 에어 로빅 댄스 등의 엘리트 스포츠와 레져스포츠를 행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수영운동은 경기적 측면 뿐만 아니라 유아에서부터 노령에 이르기까지 레져스포츠로써 폭넓게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수영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정동식은 수영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peak torque와 상관관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20)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실험대상는 서울특별시 Y구의 수영활동을 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특성은 <표1>과 같다.

표1. 피검자의 신체적 특성 (N=13)

구분 연령(yrs) 신장(cm) 체중(kg)

사전 11.8±3.4 147.5±7.87 41.8±1.6 사후 11.8±3.4 147.7±7.99 43.0±9.26

·수치는 M±SD

2) 실험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표2>와 같다.

표2. 실험기기

실험기기 모델명 용도

Isokinetic equipment Biodex 3000system 등속성 근력측정

Height Meter T. K. K 신장 측정

Weight Meter CAS Enginneering 체중측정

(21)

3) 실험 설계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등속성 근기능 검사를 위해 부하속도 60。/sec의 각도에서 3회 반복운동을 실시하고 180。/sec의 각도에서 20회 반복실시하였다.

등속성 근기능은 양쪽 견관절, 요부, 그리고 양쪽 슬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평 균 peak torque와 체중당 peak torque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설계는 <그림1>과 같다.

연구주제 및 문헌 고찰

↓ 연구대상 선정 초등학교 4, 5, 6학년 13명

근기능 측정(견관절, 요부관절, 슬관절) Biodex system-3000을 이용한 1차 근기능 검사

수영 프로그램에 의한 트레이닝 총 8주, 1주 6일, 1일 50분 훈련

근기능 측정(견관절, 요부관절, 슬관절) Biodex system-3000을 이용한 2차 근기능 검사

자료 수집 및 통계적 분석

<그림1> 실험 설계

(22)

2. 훈련프로그램

표3. 프로그램

분 류 거리

(m) 횟 수 시간(초) 강도

(%HRmax) 비 고 준비운동

(Warm up) 200 2 8′00″ 30∼40% 가볍게 준비운동

수영(swim) 25 4 3′00″ 60% 팔동작

킥(kick) 200 1 5′00″ 70% 지구력

25 4 6′00″ 80∼90% 인터벌 훈련

풀(pull) 50 4 7′00″ 70% 지구력

25 4 4′00″ 80% 인터벌 훈련

수영(swim)

100 4 8′00″ 80∼90% 인터벌 훈련

25 8 6′00″ 30∼40%

90∼100%

홀수회는 편하게 짝수회는 전속력 정리운동

(Cool down) 100 1 4′00″ 30∼40% 가볍게 정리운동

1)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에 따라 8주, 주6일, 50분 훈련을 실시하였 다.

2) 본 연구는 명지출판사(1993)에 예시된 수영 훈련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작성 하였다.

(23)

3. 측정 방법

본 연구는 Biodex system-3000을 이용하여 사전 검사로 근력, 근지구력을 측정 한 다음,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각 부위별 등속성 근기능을 측정하여, 주요 관절을 중심으로 굴곡근 및 신전근의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슬관절, 견관절을 중심으로 한 근기능 측정시 근력은 60°/sec의 부하속도에서 3회 실시하 고, 근지구력은 180°/sec의 부하속도에서 20회 실시하였다. 요부를 중심으로 한 근기능 측정시 근력은 60°/sec의 부하속도에서 3회 실시하며, 근지구력은 180。

/sec의 부하속도에서 20회 실시하였다.

1) 견관절 측정

견관절을 중심으로 어깨의 근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Biodex system-3000의 의 자에 앉힌 후 Dynamometer를 피검자에게 적합하도록 조절한다. 피검자의 어깨, 손목, 허벅지를 고정밸트를 이용하여 몸을 고정한다. 가동범위를 정하고 측정 부위 를 설정하였다. 근력 측정은 정해진 범위에서 3회를 실시하였고, 근지구력 측정시는 정해진 가동 범위에서 최대의 힘으로 20회를 실시하였다.

2) 요부 측정

dynamometer rotation 0도로 하고, dynamometer tilt 0도로 하였다.

본체와 back attach의 red dot을 일치시켜 연결한 다음 고정을 한다음, 바퀴를 고정하고 하단부에 있는 파워해드 슬라이더를 고정하였다.

피험자를 의자에 앉힌다. 피험자를 똑바로 앉히고 장비를 앞, 뒤로 움직여서 세로 축을 척추의 세로축과 일치시킨다.

발판의 위치는 앉은 자세에서 대퇴골과 평행에 가깝게 되도록 하고 무릎의 각은

(24)

15도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의자의 각도를 60°로 세우고 고정을 시작하고서, 하단부 에 있는 펌프 페달을 이용하여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관절(ASIS) 축을 본체의 축과 일치시킨다.

골반과 대퇴골을 두 개의 밴드로 견고하게 고정을 시킨다.

허리 패드는 허리에 밀착을 시켜 환자가 가장 힘을 쓸 수 있게 밀착시켜서 견고하 게 고정한다. 장비의 머리 받침대는 후두 융기(돌출) 부위의 밑에 위치시킨다.

clavicl pad로 양 쇄골의 중앙 부위에 오도록 하여 연결 밴드로 두 개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장비를 움직여가면서 마지막으로 고정 여부를 확인 재정리하였다.

해부학적 자세를 0°로 설정하였다.

가동 범위는 최대한의 가동범위를 먼저 설정하기 위해 몸통을 신전 시켜서 0도를 설정하였다.

몸통을 앞으로 굴곡시켜서 90°를 설정하고, 중력의 힘이 가장 큰 위치인 0°에서 limb weight를 설정하였다.

절차에 대한 설명을 피검자에게 실시하고, 이 프로토콜은 60도°/sec 3번과 18 0°/sec 20번을 실시하였다.

각 시작 전에는 한번의 연습을 하고 휴식시간은 15초이다.

3) 슬관절 측정

슬관절을 중심으로 하지의 신전 및 굴곡운동을 통한근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 검자를 앉힌 후 슬관절의 중심점이 Dynamometer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하고, 하 지의 신전 및 굴곡 운동시 신체의 다른 부위로부터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근에 외력 을 가하지 못하도록 대퇴부위와 허리, 가슴부분을 벨트로 고정하였다.

(25)

5. 자료처리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처리 방법은 윈도우용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1) 각 관절의 사전, 사후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2) 수영 훈련 전과 훈련 후의 각각의 변인들을 비교하기 위해 종속 t-test를 실시 하였다.

3) 통계 분석을 위한 유의도 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26)

IV. 결과 및 고찰

1. 견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수영활동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60°/sec의 운동속도에 따라 신전근과 굴곡근의 어 깨의 근력 및 근지구력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 견관절근력 측정 단 위:(N-m)

구 분 운동속도 Right /Left

사전검사 (M±SD)

사후검사

(M±/SD) T P

신전근 60°PT R 13.3±3.8 14.1±3.8 -.581 .572 60°PT L 14.9±7.5 13.0±4.8 .835 .420

굴곡근

60°PT R 17.8±4.8 20.7±4.7 -3.159 .008**

60°PT L 15.7±4.9 17.1±4.6 2.045 0.063

*P<.05 **P<.01

<표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근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3.3±3.8 에서 사후에는 14.1±3.8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581, p=.572)

신전근시 왼쪽 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4.9±7.5에 서 사후에는 13.0±4.8로 감소하였다. 이것은 측정시 피험자들의 심적상태과 긴장상 태등이 사전과 사후검사시에 다르게 작용한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굴곡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7.8±4.8 에서 사후에는 20.7±4.7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27)

다.(t=-3.159, p=0.008**)

굴곡근시 왼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5.7±4.9에서 사후에는 17.1±4.6으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5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063으로 향상되었다.

표 5. 견관절 근지구력 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검사

(M±SD) T P

신전근 180°PT R 23.6±5.7 24.9±7.2 -.618 .548 180°PT L 23.8±7.6 24.0±10.0 -.166 .871

굴곡근

180°PT R 27.5±4.6 31.2±2.9 -3.726 .003**

180°PT L 24.0±7.8 28.1±3.4 -1.890 .083

*P<.05 **P<.01

<표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근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23.6±5.7에 서 사후에는 24.9±7.2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618, p=.548)

신전근시 왼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23.8±7.6에서 사후에는 24.0±10.0으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66, .871)

굴곡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27.5±에서 사후에는 31.2±2.9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726, .003**)

굴곡근시 왼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24.0±7.8에서

(28)

사후에는 28.1±3.4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으나 유의 수준 .083으로 유의수준 .05에 가깝게 나타났다 근지구력에서는 신전 근, 굴곡근 모두 향상되었으나 신전근보다 굴곡근에서 더 큰 근력향상을 보였다. 이 는 수영시 아이들이 당김 동작은 정확하나 밀어주는 동작이 미흡함에서 나타난 결과 로 사료된다..(t=-1.890, p=.083)

표 6. 견관절의 체중당 근력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검사

(M±SD) T P

신전근

60°PT/BW R 33.6±13.0 32.2±6.7 .401 .696 60°PT/BW L 37.6±20.9 29.7±9.2 1.291 .221

굴곡근 60°PT/BW R 43.5±9.2 48.0±11.4 -1.650 .125 60°PT/BW L 37.6±10.2 39.2±8.7 -.754 .465

*P<.05 **P<.01

<표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체중당 근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 33.6±

13.0에서 사후에는 32.2±6.7로 감소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401, p=.696)

신전근시 왼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7.6±6.7 에서 사후에는 29.7±9.2로 감소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신전근에서 우측, 좌측 모두 감소로 나타난 것은 성장기의 아이들을 대상 으로 하여 체중과 신장이 증가하여 체중당 근력에서 감소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 다.(t=1.291, p=.221)

(29)

굴곡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43.5±

9.2에서 48.0±11.4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650, .p=125)

굴곡근시 왼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7.6±

10.2에서 사후에는 39.2±8.7로 증가하였으나, 유의 수준 0.05에는 미치지 못하 였으나 양측 모두 증가로 나타났다.(t=-.754, p=.465)

표 7. 견관절의 체중당 근지구력 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 검사

(M±SD) T P

신전근 180°PT/BW R 57.7±15.3 56.2±13.9 .271 .791 180°PT/BW L 57.4±16.7 53.5±22.2 1.130 .280

굴곡근 180°PT/BW R 67.2±9.9 73.3±14.4 -1.65 .125 180°PT/BW L 59.1±19.5 65.6±12.7 -1.025 .325

*P<.05 **P<.01

<표 7>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체중당 근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57.7±

15.3에서 사후에는 56.2±13.9로 감소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271, p=.791)

신전근시 왼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57.4±

16.7에서 사후에는 53.5±22.2로 감소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130, p=.280)

굴곡근시 오른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67.2±

9.9에서 사후에는 73.3±14.4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

(30)

타나지 않았다.(t=-1.65, p=.125)

굴곡근시 왼쪽 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59.1±

19.5에서 사후에는 65.6±12.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025, p=.325)

사춘기 이전에 소녀들을 일주일에 3일, 하루에 25-30분씩 9주간의 저항 근력 운 동 프로그램에 참가시켜 훈련 받지 않은 집단은 9.5%의 근력증가를 나타낸데 비하 여 훈련받은 집단은 42.9%의 근력증가를 보였다고 Sewall과 Mihelic(1986) 하였 다.

Connor(1976)은 41명의 경영선수들을 통해 바이오 키네닉 스윔벤치를 사용한 결과 근력이 평균 28%증가하고 단거리 수영 능력이 3.6% 향상되었음을 보고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근력향상을 보였으나 우측 굴곡근의 근 력과 근지구력에서만 유의있게 나타났다(P<.05). 이것은 피검자들이 모두 자유형과 배영처럼 손이 대칭되는 영법에서 왼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 아동기 수영 훈련에 있어 왼쪽 견관절 사용에 집중 훈련을 실시하고 오른 쪽과 왼쪽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해야 할 것이다. 불균형 견관절의 상해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Karpovich(1935)에 의하면 자유형 선수가 증진시킬 수 있는 속도를 팔만에 의한 추진력, 팔과 다리를 이용한 추진력을 조사한 결과 속도의 70%는 팔에 의한 것이고, 30%는 다리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고, Armbruster, Allen 그리고 Billing, Sley(1970)은 자유형 전체힘의 약 85%는 팔에서 나온다고 하였으며, Counsilman(1968)은 팔의 역할이 추진력의 주요근원이며 유일한 것이라 한 것을 보면,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견관절 굴곡력에서 사전 17.8±4.8에서 사후 20.7±4.7로 P<.001과 견관절 굴곡근지구력에서 사전 27.5±4.6에서 사후 31.2

±2.9로 P<.001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과 선행연구가 일치하고 있다.

(31)

2. 요부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표 8. 요부관절 근력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60°PT 130.0±30.3 138.1±34.7 .978 .348 굴곡근 60°PT 64.5±18.8 70.6±17.7 1.979 .071

*P<.05 **P<.01

<표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력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30.0±30.3에서 사후에는 138.1±34.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978, p=.348)

굴곡근시 요부관절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4.5±18.8에서 사후 에는 70.6±17.7로 증가하였다. 요부관절 근력에서는 신전근과 굴곡근에서 모두 향 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전근 보다 굴곡근에서 유의수준 .071로 더큰 향상을 보여 수영시 복부의 단련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t=1.979, p=.071)

표 9. 요부관절 근지구력 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 123.9±21.4 135.2±36.7 1.501 .159 굴곡력 180°PT 68.9±22.0 79.8±14.7 2.203 .048**

*P<.05 **P<.01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23.9±21.4에서

(32)

사후에는 135.2±36.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1.501, p=.159)

굴곡근시 요부관절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8.9±22.0에서 사 후에는 79.8±14.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t=2.203, p=.048**) 이러한 굴곡근의 향상은 빠른 발차기의 반복적 트레 이닝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10. 요부관절 체중당 근력측정 단위: (%)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60°PT/BW 316.7±61.0 314.3±86.7 -.184 .857 굴곡근 60°PT/BW 147.0±32.0 171.9±36.0 3.278 .007**

*P<.05 **P<.01

<표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16.7±61.0 에서 사후에는 314.3±86.7로 감소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84, p=.857)

굴곡근시 요부관절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71.9±36.0에 서 사후에는 147.0±32.0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t=3.278, p=.007**) 성장기의 아동들이 체격이 성장했음에도 근 력에서보다 체중당 근력에서 더 큰 향상을 나타낸 것은 굴곡근에서 향상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33)

표 11. 요부관절 체중당 근지구력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BW 310.1±83.3 314.3±86.7 -.184 .857 굴곡근 180°PT/BW 160.3±48.2 199.6±52.1 3.099 .009**

*P<.05 **P<.01

<표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요부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310.1±83.3 에서 사후에는 314.3±86.7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향상되었음을 표에서 볼 수 있다.(t=.-.184, p=.857)

굴곡근시 요부관절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60.3±48.2 에서 사후에는 199.6±52.1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099, p=.009**) 이러한 향상들은 요부관절의 근력보다 근 지구력에서 더 큰 향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아이들에게 100m도 중거리에 들어가 기 때문이 아닌가 사료된다.

Zeevi Dvir에 의하면 신전근이 굴곡근보다 일반적으로 더 강하며, 환자들의 경우 는 굴곡근이 강하다고 하였다. 요부관절의 굴곡근 대 신전근의 비율에 관하여 일반적 으로 요부신전근은 굴곡근에 비해 더 큰 회전력을 갖는다. 이와같이 허리의 근력발휘 에서 신전력이 굴곡력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신전근의 직경이 굴곡근보다 크 기 때문이다. Mandell(1992)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각속도 60°/sec 이하에서 신근과 굴근은 1:1의 비율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Langrana(1984)등은 요부관절의 신근-굴곡근은 요통이 없는 사람들에게서는 1.6:1의 비율을 나타내고, 요통이 있는 사람은 1:1이라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학자 들은 요통이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굴근이 더 크다고 보고하고 있다.

(34)

위의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요부관절의 신전근에 비 해 굴곡근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것은 일반인과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요부의 근력단련의 차이가 나지 않았나 사료된다.

이를 차이들을 위해 사후에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굴곡력과 굴근지구력의 유의한 차이는 수영훈련이 아동기 근력 향 상 특히 복부 근력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유형과 배영, 그 리고 접영킥 동작으로 인하여 단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3. 슬관절 근력 및 근지구력 측정

표12. 슬관절 근력측정 단위:(N-m)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검사

(M±/SD) T P

신전근

60°PT R 83.3±24.3 88.7±25.0 -1.875 .085 60°PT L 78.1±20.8 81.8±21.3 -1.212 .249

굴곡근

60°PT R 48.1±12.9 46.5±13.3 -1.692 .116 60°PT L 46.5±11.6 49.4±14.1 -1.006 .334

*P<.05 **P<.01

<표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근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83.3±24.3 에서 사후에는 88.7±25.0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3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의수준 .085로 근력의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t=-1.875, p=.085)

신전근시 왼쪽 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78.1±20.8에 서 사후에는 81.8±21.3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t=.-1.212, p=.249)

굴곡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48.1±12.9 에서 사후에는 49.4±14.1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t=-1.006, p=0.008)

굴곡근시 왼쪽 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15.7±4.9에서 사후에는 17.1±4.6으로 증가하였다. (t=2.045, p=0.334)

슬관절의 근력은 굴곡근 보다 신전근에서 더 큰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일 반적으로 굴곡근의 힘보다 신전근의 힘이 더 크고 빠르게 발달이 일어나서가 아닌가 로 사료된다.

표 13. 슬관절 근지구력 측정 단위:( N-m)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검사

(M±/SD) T P

신전근

180°PT R 69.3±16.0 74.6±17.8 -2.551 .025**

180°PT L 66.8±15.4 71.3±17.6 -2.585 .024**

굴곡근

180°PT R 50.3±13.9 53.9±14.0 -1.373 .195 180°PT L 45.4±10.5 48.8±12.9 -2.048 .063

*P<.05 **P<.01

<표 13>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근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6)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18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9.3±

16.0에서 사후에는 74.6±17.8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551, p=.025**)

신전근시 왼쪽 슬관절의 18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66.8±15.4 에서 사후에는 71.3±17.6으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t=-2.585, p=.024**)

굴곡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180°/sec에서의 peak torque는 사전에는 50.3±

13.9에서 사후에는 53.9±14.0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1.373, p=0.195)

굴곡근시 왼쪽 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는 사전에는 45.4±10.5에 서 사후에는 48.8±12.9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t=-2.048, p=.063) 근지구력에서도 굴곡근 보다 신전근에서 더 큰 향 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 역시 근지구력도 근력과 마찬가지로 신전근이 굴곡근보다 더 빠른 발달로 생긴 결과가 아닌가로 사료된다.

표 14. 슬관절 체중당 근력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 검사

(M±SD) T P

신전근

60°PT/BW R 199.6±40.1 202.7±45.5 -.391 .702 60°PT/BW L 188.2±32.8 188.4±44.1 -.032 .975

굴곡근

60°PT/BW R 115.8±24.6 119.6±24.3 -.505 .622 60°PT/BW L 112.6±20.7 113.3±27.1 -.102 .920

*P<.05 **P<.01

<표 14>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체중당 근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7)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 199.6±

40.1에서 사후에는 202.7±45.5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391, p=.702)

신전근시 왼쪽 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88.2±

32.8에서 사후에는 188.4±44.1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032, p=.975)

굴곡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15.8±

24.6에서 사후에는 119.6±24.3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505, .p=622)

굴곡근시 왼쪽 슬관절의 6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112.6±

20.7에서 사후에는 113.3±27.1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타나나지 않았다.(t=-.102, p=.920)

체중당 근력에서는 신전근과 굴곡근 모두 적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자유형, 배영, 접영이 하체보다 상체의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수영시 상체의 힘을 더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영시 슬관절의 굴곡근과 신전근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가로 사료 된다.

표 15. 슬관절 체중당 근지구력측정 단

위:(%)

구 분 운동속도 Right / Left

사전검사 (M±SD)

사후 검사

(M±SD) T P

신전근

180°PT/BW R 167.5±25.0 170.7±31.7 -.549 .593 180°PT/BW L 161.8±25.7 163±32.2 -.276 .787

굴곡근

180°PT/BW R 122.6±33.0 123.0±25.5 -.048 .962 180°PT/BW L 110.5±22.2 111.4±23.5 -.152 .881

(38)

*P<.05 **P<.01

<표 15>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슬관절의 오른쪽, 왼쪽의 신전근과 굴곡근 의 체중당 근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전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 167.5±

25.0에서 사후에는 170.7±31.7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549, p=.593)

신전근시 왼쪽 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61.8±

25.7에서 사후에는 163±32.2로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t=-.276, p=.787)

굴곡근시 오른쪽 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22.6

±33.0에서 사후에는 123.0±25.5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t=-.048, .p=962)

굴곡근시 왼쪽 슬관절의 180°/sec에서 peak torque/BW는 사전에는 110.5±

22.2에서 사후에는 111.4±23.5로 증가하였다. 유의 수준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타나나지 않았다.(t=-.152, p=.881)

발차기시 슬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보다 발목과 관련된 비복근의 발달이 발차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Stering(1986)은 슬관절의 각도는 0°인 완전 신전상태에서 굴곡운동을 실시할 때 최대 근력의 발현은 부하속도가 증가 될수록 그 발현 각도는 커지는 것으로 변화 한다고 하였다. Moffroid와 Whipple(1970)는 수직 면상의 운동시 슬관절의 신근 은 중력에 역행하여 운동을 하게 되므로 굴근에서보다 더 큰 근력의 증가를 나타낸 다.

일반적으로 굴근과 신근간의 최대 힘 효율비는 측정시 측정의 부하속도가 증가됨 에 따라 근력은 저하되나 굴곡근보다는 신전근이 부하속도 증가에 따른 토크의 감소 도가 크기 때문에 부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전력과 굴곡력의 차는 좁아지게 된다.

(39)

따라서 굴근과 신근간의 최대 힘 효율비는 부하속도의 증가에 따라 차차 높아지게 된다(김석희 등, 2000).

본 연구에서도 Moffrodd와 Whipple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사전 측정의 신근력 우 측 83.3±24.3, 좌측 78.1±20.8이고, 굴곡력은 우측 48.1±12.9, 좌측 46.5±

11.6이며, 사후 측정은 신근력 우측 88.7±25.0, 좌측 81.8±21.3이고, 굴곡력 우 측 46.5±13.3, 좌측 49.4±14.1로 신근력이 굴곡력에 비해 더 큰 증가를 나타냈 다.

이러한 슬관절의 근력증가는 현대사회에서 체중에 비해 근력이 약한 아이들에게 관절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할 수 있는 좋은 운동으로 사료된다.

(40)

V.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견관절, 요부관절, 슬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을 사전 측정 후 수영프로그램에 의해 훈련 한 다음 사후 측정하여 각 관절의 신전근 및 굴곡근의 발달 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수영 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3명을 대상으로 각 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의 수영은 우측 견관절 굴곡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켰다.

견관절 체중당 굴곡근에서는 근지구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수영은 우측 견관절 신전근의 근력을 향상시켰고, 근지구력은 좌 측, 우측의 신전근이 향상되었다. 견관절 체중당 근지구력에서는 신전근이 향 상되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수영은 요부관절 굴곡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켰고, 체중 당 굴곡근에서는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켰다.

넷째, 초등학생의 수영은 요부관절 신전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켰고, 체중 당 근력도 향상시켰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수영은 슬관절 우측 굴곡근의 근력을 향상시켰고, 근지구력은 좌측, 우측이 향상되었다. 슬관절 체중당 굴곡근에서는 근력, 근지구력이

향 상되었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수영은 슬관절 신전근의 근력, 근지구력을 향상시켰다. 슬관절 체중당 신전근에서는 근력, 근지구력이 향상되었다.

(41)

참고 문헌

고흥환(1983): 운동종목별 체격과 체력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김수봉(1991): 수영선수의 영법별 유연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참고 문헌

김용권(1997): 프로야구선수의 포지션에 따른 견관절과 요부관절의 등속성 회전 력 비교. 서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희(1997): 12주간 수영 운동이 혈압, 체지방량 및 혈청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기진, 장태진, 조현철, 전종귀: 운동생리학. 태근문화사 김진원(1984): 트레이닝 이론. 서울. 동화문화사.

박수연(1998): 경기종목에 따른 견과절, 주관절, 슬관절, 요추부 굴근 및 신근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방상식(1995): 재활트레이닝이 슬관절 수술 및 보존처치 선수의 근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순호, 남덕현, 노민상, 정천규(1996): 수영교실. 태근문화사.

박순호, 박석기(1993): 수영 지도서. 명지출판사.

박순호, 박석기(1988): 코치와 선수를 위한 수영 지도서. 명지출판사.

박진영(2001):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준길(1994): 근력트레이닝에 있어서 등속과 등장성 프로그램의 비교연구. 동 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수치

표 11. 요부관절 체중당 근지구력측정 단위:(%) 구 분 운동속도 사전검사(M±SD) 사후검사(m±sd) t P 신전근 180°PT/BW 310.1±83.3 314.3±86.7 -.184 .857 굴곡근 180°PT/BW 160.3±48.2 199.6±52.1 3.099 .009** *P&lt;.05 **P&lt;.01 &lt;표 11&gt;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학생의 요부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체중당 근 지구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조

관련 문서

In short, the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are improved as a result of

First, SW-related career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SW education improved SW education preference and SW career information depend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that students used, students showed that they mainly used strategy when they found meaning

These suggestions above are expected to help provide opportun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stablish a desirable oral health attitude and habit in the field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In exercise group, change in physical strength after measuremen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agility,

In order to compare physical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measured physical strength is agility (side step), cardiopulmonary endurance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school section that needs to be improved first and is the most basic out of the different issued related to the high school equalization su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