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근기능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13-0)

Ⅱ. 이론적 배경

3. 근기능

1) 근력

근력이란 근육이 한 번에 최대 노력으로 발휘할 수 있는 힘의 크기를 말하며, 근지 구력과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근력은 근 섬유들의 직경과 관련이 있다. 근육의 직경과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힘 을 낸다. 부하훈련(weight training)을 통해 근육의 직경은 증가되는 편이며, 이러 한 근 크기 증가를 근 비대(hypertrophy)라 한다. 반면에 근 크기 감소는 위축 (atrophy)이라 한다. 근 섬유의 수는 선천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근 섬유가 많은 사람일수록 근 비대가 잘 일어난다.

근력에는 힘을 발휘하는 근육의 수축방법에 따라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밀거나 끌어당기거나, 잡을 때와 같이 비교적 천천히 근섬유를 수축시켜 힘을 발휘 할 때의 근력을 정적 근력이라 한다. 이에 비해 순간적으로 근섬유를 수축시켜서 폭발적으로 힘을 발휘할 때의 근력을 순발력근 혹은 파워근이라 한다. 또 어떤 일정한 운동을 얼

마만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가와 같이 근수축을 지속시키는 능력을 근지구력 이라 한다. 측정기구로는 악력계, 배근력계 등을 사용한다.

2) 근지구력

근지구력이란 어떤 활동을 오랫동안 반복할 수 있는 근육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 으로, 시간의 제한 없이 일정한 정적 수축을 유지하거나 반복적 수축을 계속하기 위 한 근군 또는 근육의 능력으로 규정된다. 흔히 국소적인 근 피로에 대한 저항과 일치 한다.

대개 근운동의 반복과 지속을 통한 횟수, 거리, 지속시간 등에 의하여 근육의 작업 량을 계산하고, 일정시간의 근작업 또는 피로하여 작업불능에 이르기까지의 최대 작 업량으로 표시한다. 사용 근육의 종류 및 운동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측정 방법이 있으나 윗몸 일으키기, 턱걸이, 팔굽혀펴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4. 근력의 발휘 형태

1) 등장성 운동(Isotonic contraction)

이 형태는 근의 장력이 발생함에 따라 근육이 짧아지는 것이다. 물건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사용되는 수축은 가장 일반적인 등장성 수축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 의 수축의 다른 명칭은 신장성 수축과 단축성 수축이 있다.

등장성 수축의 경우 관절운동의 모든 범위에서 최대의 장력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일정한 부하로 여러 가지 관절 각도에서 들고 있을 때, 팔꿈치 굴곡에서 생기는 장력 을 일정한 부하를 위로 들어올릴 때, 팔꿈치 굴곡에 따라 생기는 장력은 관절각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운동을 행하는 관절각에 따라 부하자체도 변화되어져야 한겠 지만 등장성 트레이닝에 있어서는 불가능하다. 이두근 최대 장력(근력)은 관절각도가

약 120°일 때이며 최소장력은 30°일 때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근육은 가장 약한 지점에서 최대로 수축을 하게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등장성 수축을 포함한 근력 트레 이닝 계획에서 결정적으로 불리한 전이다(노성규, 1987).

전통적으로 등장성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바벨, 덤벨 및 풀리 등의 웨이트 기구를 사용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역사적으로 오래전부터 그 개념이 제시되어 왔으며 그 리이스 신화에서도 언급된 바 있는데, 과부하와 점증적 강도의 중요한 두가지 기초적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과부하는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상에서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상적인 상태 에서의 부하 이상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점증적인 부하의 개념은 근력이 향상되면 보 다 큰 부하로 증가시키게 되면서 근력은 계속적인 향상을 나타낼 것이다. 이것이 체 계적인 과부하 원리의 적용이다.

DeLorme(1945), DeLorme와 Watkins(1948)등의 연구에서는 등장성 트레이 닝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기 위한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그들은 처음 육체적인 의학 과 재활에 관심을 가졌었다. DeLorme와 Watkins가 주장한 체계는 근지구력 향상 을 위해서 낮은 저항과 높은 반복횟수의 이용을 강조했다. 그들은 초기에는 세트당 10회의 반복횟수를 통해서 전체를 약 10세트로 나누어 총 70-100회의 반복횟수를 수행토록 하였다. 그후 그들은 전통적인 Delorme체계를 수정하여 3세트와 각 세트 당 10회의 최대 반복횟수(10-RM)를 수행토록 하였다. 이것은 10회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최대저항으로 간주함을 의미한다. 첫 번째 세트는 10-RM의 50%에 해당 하는 저항으로 수행하고, 두 번째 세트는 10-RM의 75%, 세 번째 세트는 10-RM 의 100%에 해당하는 저항으로 수행토록 한다. 중량은 근력이 향상됨에 따라 주기적 으로 조절되어져야 한다. 중량의 결정은 세 번째 세트에서 10-RM을 수행할 수 있 는가를 기준으로 한다. 일정한 중량으로 14-15회를 반복할 수 있으면 이는 더 이상 10-RM이 아니며 보다 무겁고 새로운 중량을 설전해야 한다.

Zinovieff(1951)는 DeLorme의 방법이 약한 특성을 가졌기 때문에 교대로 실시 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는 10-RM의 높은 저항에서 세트를 지속할 경우 최대수

축시 통증이나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질적인 측면에서 충분 한 수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첫세트에서 10-RM을 기준으로 10회의 반복횟수 및 10세트에 의해서 총 반복횟수 100회를 실시하는 옥스퍼드기법 을 제안하였다. 연속적인 세트는 피로현상과 함께 근력의 감소를 나타냄에 따라 낮은 저항으로 실시한다. 근력의 감소에 따라 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10-RM에서의 10세트 수행이 이론상 가능해진다.

등장성 트레이닝의 새로운 형태인 플리오메트릭스(plyometrics)는 1970년대 후 반과 1980년대 초반에 상당한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이 방법은 스피드와 근력이 가진 거리감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근육의 탄성요소 및 수축요소에 부가적 인 운동단위의 동원과 저항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전반사를 이용한다. 플리오메트릭스 는 바운딩 부하 및 리바운딩 점프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플리오메트릭스의 정확한 효 과와 실제적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등장성 트레이닝의 또 다른 형태는 근 수축의 신장성(원심성) 단계를 강조하는 것 이 있다. 원심성 근력은 구심성 근력보다 약 32%가 크기 때문에(Atha, 1982), 구 심성 형태에 비해 주어진 근육에 보다 큰 저항을 부하 할 수 있다. 트레이닝수행시 보다 큰 자극이 가해질수록 향상되는 근력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주장은 합 리적이지만 구심성 혹은 정적트레이닝에 비해서 원심성 트레이닝의 장점에 관한 명 확한 결과를 나타내 준 연구결과는 부족하다(Atha, 1982).

2) 등척성 운동(Isometric contraction)

등척성 운동은 1950년대에 도이취의 유명한 근생리학자이며 아이소메트릭 트레이 닝의 창안자인 Hettinger박사에 의해서 근력강화 방법으로 소개되었다. 등척성이라 는 말은 같은(iso) 길이(metric)를 의미한다. 등척성 수축중 근의 장력은 발생하지 만 길이는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최대의 장력이 발생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등 척성 트레이닝의 가장 큰 단점은 일정한 관절의 각에서만 트레이닝이 실시된다는 점 이다. 스포츠 장면에서는 동적 활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 점은 심각하게 고려되어

져야만 할 것이다(노성규, 1987).

등척성 트레이닝은 상해 후 회복기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운동선수가 관절이나 뼈에 상해를 입어 완전히 움직일 수 없거나 운동수행이 부족하게 될 경우 근육의 크 기와 근력은 감소하게 된다. 정적 수축은 관절의 움직임이 거의 없으므로 상해 후 회 복기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되어 근육기능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잇다. 이 러한 관점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결과가 몇몇 있다. 정적인 운동은 특별한 장비나 값 이 비싼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등척성 트레이닝은 등장성 트레이닝에 비해서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 또한 선수들이 자신의 집에서 개인적인 수행이 가능하며 시즌과 비시즌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등척성 트레이닝의 부정적인 측면은 동기유발이다. 사전의 정확한 평가 없이 운동을 수행하게 되면 근수축시 적용 된느 근력의 정량화가 어렵게 되며 더욱이 트레이닝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관상동 맥질환, 고혈압과 같은 순환계 질환을 가진 고령자에게는 정적 트레이닝이 잠재적 위 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정적인 운동시에는 기도가 폐쇄되어 흉부의 압력이 상승된다. 공기를 충분히 흡입 한 상태와 동일하게 되며, 폐쇄된 입과 코를 통해서 공기를 강하게 내뿜는 동작이 일 어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어렵게 되면 흉강내부의 높은 압력이 하대정맥에 강하게 작용하여 하지로부터의 정맥회귀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고혈압 현상을 나타 내며 심장과 뇌의 혈액 공급량이 감소하게 된다.

3) 등속성 운동(Isokinetic contraction)

등속성 근수축의 개념은 1968년 Perrine에 의해 소개되었다. Perrine는 일정한 무게 또는 저항이 다양한 속도에서 수행되어졌던 전통적 등척성, 등장성 운동 대신에 전관절의 가동범위 안에서 저항을 조절하는 Preset fixed speed의 형태를 갖춘 등 속성 운동의 개념을 발전시켰다(신준길, 1994).

일반적으로 등속성 근력측정은 각 관절을 축으로 일어나는 신체 부위별 근력을 측 정한다. 따라서 측정시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운동범위를 각으로 정하고, 운동에

대한 부하를 각속도의 단위로 속도저항이 주어지게 된다. 일정하게 주어진 속도저항

대한 부하를 각속도의 단위로 속도저항이 주어지게 된다. 일정하게 주어진 속도저항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13-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