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예비조사 실시 및 분석

예비조사는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자료수집 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조사의 적절한 표본수는 변수의 4~5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는 제안(이은옥, 2010; Gable & Wolf, 1993)이 있고, 100명에서 200명 정도가 적 당하다는 주장(Clark & Watson, 1995)도 있다. 또한 문항분석 결과의 안정성 보장 차원과 타당도분석을 위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200명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Crocker & Algina, 1986). 이에 이 연구는 조 사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200명이상의 예비조사 표본수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맞는 중소기업 사무직 중고령자에 관한 예비조사의 표집을 위한 모집단을 정확히 제시하는 기관이나 데이터는 찾기가 힘들다. 이에 통계청(2020b)의 중소기업의 모집단 자료를 참조하여 <표 III-3>과 같이 층화군집비율 표집을 실시하 였다. 이에 따르면, 지역인 수도권:지방의 비율이 52:48이고, 성별인 남성:여성의 비 율이 62:38이며, 연령대인 만 45~49세:50~54세:55~59세의 비율이 36:32:32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비율에 따라 예비조사 인원인 200명을 할당하여 [그림 III-2]와 같이 예비조사 인원의 표집을 목표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III-3> 모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구성 비율

졌다. 최초 7,171명에게 메일이 발송되었고, 이중 1,433명이 정상적으로 메일 수신 이 확인되었다. 이중 실제 설문조사를 위한 온라인주소에 접속한 접속자수는 1,186 명이었으며, screening 문항으로 설문대상이 아니거나 뒤늦게 접속한 초과 접속자를 제외한 249명이 정상적으로 설문을 마쳤으나, 응답시간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긴 불량 데이터는 제거되었으며, 추가적으로 줄기와 잎그림 분석을 통해 불성실한 응답으로 추정되는 극단치 1명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235명이 분석대상으로 확정되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문항분석, 타당도분석, 신뢰 도분석 등이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어떠한 순으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 준은 없으나, Gable과 Wolf(1993)는 문항분석 -> 타당도분석(요인분석) -> 신뢰 도분석의 순서를 제안하였고 실제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러한 순서를 따르고 있다. 이 에 이 연구도 이러한 순서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문항분석, 타당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위한 예비조사와 본조사용 통계분석도구는 SPSS 23.0, MPLUS 7.0, AMOS 23.0, jamovi 1.1.9를 사용하였다. 해당 분석단계별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분석 단계에서는 문항곤란도와 문항변별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이 연구 의 검사도구는 정답이 없는 평정척도이므로 문항별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 의 검토를 통해 문항곤란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검사도구는 정답이 없는 행동표현형 진단으로 간주되므로, 문항변별도의 확인을 위해 문항-전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문항분석 단계에서 필요한 통계 기준은 <표 III-4>와 같다. 평균 은 1.5~4.5, 표준편차는 0.75이상, 왜도와 첨도는 ±2 미만, 문항-전체상관은 0.3 이상일 때 적절한 것으로 판단한다.

<표 III-4> 문항분석을 위한 통계 기준

136

-<표 III-5> 타당도분석을 위한 통계 기준

출처: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1), p.35.

임효신. (2015).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2.

연구자 재구성.

셋째, 예비조사 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일관성 신뢰 도 계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Zikmund, 2003).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는 Cronbach α로, 구성개념 및 하위 요인별 신뢰도 계수와 문항 제거시 신뢰도 계수 를 확인하여 판별한다. 사회과학에서는 최소 0.6 이상을 충족해야만 한다(Hair, Black, Babin, & Anderson, 2010).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인 Cronbach α를 도 출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