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온실가스통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1) 교토의정서 이슈와 산림부문 대응 정보

일차 공약기간 동안 일본의 목표 감축량은 1990년 배출량 대비 6%이 다. 이중 0.5%를 산업, 교통 및 생활 분야, 1.6%를 교토 메커니즘, 그리 고 3.9%에 해당하는 1,300만 tC를 산림 관련 활동에 의하여 달성하는 것 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 목표량을 완전히 달성해야 한다고 결의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존 정보시스템을 토대로 높은 투 명성, 낮은 불확실성 및 높은 검증가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보완 연구 를 행하고 있다. 산림활동 관련 기본 정보 출처는 크게 다음의 3가지로 구분된다.

산림부 : 산림경영(FM)토지의 구분 (3.4조)

원격탐사 데이터 : 신규조림, 재조림, 산림전용(ARD) 토지의 구분 (3.3조)

산림자원모니터링시스템(FRMS) : 탄소흡수량 추정치의 교차검정 2) 국가산림자원 DB 구축 연구

이는 교토의정서상 보고가 요구되는 온실가스통계 관련 정보를 지원하 기 위한 수행하는 연구이다. 흡수량 산정에 필요한 정보는 면적, 축적량 (생장량), 확장계수, 용적밀도(specific gravity) 등이 있으며, ARDㆍFM에 관한 위치정보는 RS데이터 등이 있고, 90년이후 FM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원에는 시업이력, 보조사업 등이 있으며, QA/QC (Quality Assessment / Quality Control)를 위해 Cross check, 불확실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 삼림자원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며, 그 체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9] 일본 국가산림자원 데이터베이스 체계

일본 국가삼림자원 DB 구축의 목적은 흡수량 보고, 삼림자원현황ㆍ센 서스, 그외 기초정보 집계 등이며, 민유림, 국유림 전체를 대상으로 단일 적인 삼림자원 DB이다. 여기에 담는 데이터는 삼림부 등 행정속성 정보,

삼림계획도, 기본도, 정사사진, Landsat TM, 삼림자원모니터링구 등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흡수량 산정 및 보고 : 흡수량 추정, ARD, FM의 위치 동정, simulation, presentation

삼림자원 통계 집계 : 삼림자원현황, 임업센서스, 장기관측

이 데이터베이스는 기관내 이용하며 Web상에 공개될 것이다. 데이터 집약을 위하여 都道府縣 및 국유림과 연계하고 국가DB와 데이터를 공 유한다.

3) 삼림조사와 계획시스템과의 연관 관계

삼림부 작성을 위한 산림조사를 포함한 일본의 각종 삼림조사와 계획 시스템과의 연관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10] 일본의 삼림조사와 계획시스템과의 연관 관계

(가) 삼림부 데이터의 정도 검정 기법 연구

산림온실가스통계는 산림부의 소반단위의 면적과 축적량 및 생장량(수 확표)을 토대로 하나 이의 정도가 검정된 바 없으며 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먼저 면적의 비교를 위하여 민유림 면적의 1%에 해당하는 임반의 면 적을 대상으로 90년 시점의 정사사진 상의 면적을 삼림부상 면적과 비 교하고, 축적의 비교를 위해서는 현지조사 데이터를 삼림부상 축적과 비 교한다.

수확 예상표의 개선를 위해 주요 3개 수종을 대상으로 고령급과 유령 급을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개선하며, 이를 위해 새로운 임분조사와 기 존의 데이터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수확 예상표 작성 매크로를 개발한 다. 일본에서 전국적으로 조사, 작성되고 있는 삼림부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그림 11] 일본의 삼림부 형태

산림기록부 조사에는 앞서 언급한 계획시의 산림조사와 산림자원 상태 조사 두 가지가 있는 데 이들의 대상림, 방법, 빈도 및 조사항목은 다음 표와 같다.

<표 18> 일본의 삼림기록부 조사 경험 및 현지 관측조사

조사명 ① 계획시 산림조사 ② 산림자원 상태 조사

대상림 계획대상 모든 산림 산림 계획구에서 산림법 2조에 정 의된 산림

방법 항공사진 판독 현지조사

빈도 순환적으로 시행 전국산림계획(매5년)수립 전년도

조사 항목

a. 지황 b. 임황 c. 산림기능 d. 제한림 상태 e. 운반 기반시설 f. 보전산림 상황 g. 보호림 지정 상황

a. 세 유형 산림의 면적과 축적 (1) 수토 보전림

(2) 사람과의 공생림 (3) 자원순환 이용림

b. 수종 및 임령 별 면적, 축적 c. 보호림 등의 면적

계획시 산림조사 자료 수집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정주기 는 158개 산림계획구가 5년마다 조정하며 이를 토대로 지방산림계획에 대해 자료수정을 한다. 산림지형에 따라 분류된 하위 구획이 산림기록부 의 최소한의 설명단위로 이용되며 그 안의 내용은 위치, 수종, 임령, 면 적, 축적, 소유자, 기타 (모든 데이터 전산화 가능) 등이다. 지리적 범위 는 축적 1:5,000 의 관련 지도를 준비하고 있다

(나) 산림 모니터링 조사

산림모니터링 조사에는 산림자원모니터링 조사 및 벌채조사감사 등 두 가지가 있으며, 이들의 대상림, 방법, 빈도 및 조사방법은 다음 표와 같 다.

<표 19> 일본의 산림 모니터링 조사 plot 조사

조사명 ③산림자원모니터링 조사

(FRMS)

④벌채조사감사

대상림 모집단으로 간주되는

모든 산림으로부터 추 출된 plot

모집단으로 간주되는 모든 산림으로부터 추출된 plot

방법 현지조사 현지조사

빈도 각 plot에 대해 매5년 매년

조사항목 a. 지황

b. 임분의 상태 c. 근주의 상태 d. 고사목의 상태 e. 식생 상황 f. 법적 계획 g. 피해 상황

a. 벌채 여부 b. 벌채 시 - 면적, 방법, - 수종, 임령 - 산림경영유형 - 벌채율, 벌채량 - 대상지의 상태

이 중 산림자원 모니터링조사(FRMS)는 1999년 시작에 시작하였고, 일 본 전역에 걸친 4km×4km Grid 15,700 plot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plot은 매 5년마다 조사하기 때문에 연간 3,200 plots 조사하는 셈이 된 다. 각 plot의 형태와 규모는 3중원으로 된 0.1ha이다.

[그림 12] 모니터링 plot 배치

4km 4km

4km 4km

[그림 13] Plot의 형태

0.06ha

0.03ha 총 0.10ha 0.01ha

5.64m

11.28m

(다) 일본의 산림 관련 GIS 이용

일본은 47개의 현, 3,032개의 지방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47개중 22개의 현이 산림 관련 GIS를 도입하였다. 일본 임지면적의 57%는 GIS 로 처리가능하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ArcView, Geo Media, PC FIMAS, FX-7001RM 등이다. 이들 채택된 소프트웨어간의 일치성은 국가 적 정보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GIS 개발에 있어 가장 중대한 이 슈로 대두되고 있다.

(라) 바이오매스 연구

수간재적을 수목 전체의 탄소량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목재기본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T/R율, 탄소계수 등이 필요한 데 그 중 주요 연 구 대상이 되는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T/R율은 다음과 같다.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 지상부 바이오매스 / 수간 바이오매스 T/R 율 = 지상부 바이오매스 / 지하부 바이오매스

일본의 경우 생육단계를 임령 20년생 이하 및 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계수를 구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연구에 있어서의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자료를 토대로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및 T/R 율 정리하고, 데이터가 부족한 수종 및 영급을 파악하여 이를 중점적으 로 조사한다. 이렇게 하여 각 수종 및 영급별로 원하는 정도에 이르기까 지 조사가 되면 얻어진 평균값을 탄소축적량 및 그 변화를 추정하는 데 사용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임분 바이오매스 조사 방법을 표준화하여 조 사자간의 차이에 의한 오차를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