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요약과 기대효과

문서에서 전라북도 어촌 공간 활용방안 연구 (페이지 157-163)

Jeonbuk Institute

결론

제5장 결론

1. 연구 요약과 기대효과

가. 연구내용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어촌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안하여 전라북도 해양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가치 있는 어 촌 공간으로 재창조되도록 지원하는 데 있음

<그림 5-1> 연구요약

○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되었음. 제1단계는 전라북도 어촌 공간 운영 현황분석으로 어촌 여건분석과 전라북도 어촌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음 - 어촌 여건분석은 세계 여건 변화, 정부와 타 지자체의 어촌 공간 관련 계획 추

진과 성과 등을 정리하였음

- 전라북도 여건분석은 전라북도의 어촌마을, 어항 실태조사와 관련 계획의 추진 성과 등을 정리하였음

- 제1단계 과정에서 어촌 공간을 둘러싼 여건 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내외 부 환경 분석 결과를 토대로 SWOT 분석의 요인을 도출하였음

○ 제2단계는 전라북도 어촌 공간 활용 전략을 수립하고 어촌 공간 활용의 핵심가치를 설정하였음.

- 정부의 어촌 활성화 계획과 관련 정책을 조사하고, 어촌 공간 활용 사례를 조사 하였음

- 전라북도 어촌 공간 활용 방향을 ‘열린 어촌 도전의 바다’에 맞추어 개방, 참여, 협력, 지속 등 4가지 핵심 가치를 설정하였음

- 전라북도 어촌 공간 활용 전략은 세 가지로 첫째, 개방과 도전의 어촌, 둘째, 참여와 협력의 공동체, 셋째, 지속과 보전의 바다 등으로 설계함

○ 제3단계에서는 세 가지 어촌 공간 활용 전략에 맞춘 추진 과제를 제안하 였음. 개방과 도전의 어촌은 어촌 공간의 배타성 대신 열린 공간으로 모두 가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함

- 관련 과업으로 바다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 전라북도 농산어촌 경영컨설팅 지원 단, 전라북도 열린 어항공원 조성 등을 제안하였음

○ 참여와 협력의 공동체는 개인이 아닌 공동체 협력의 공간으로 어촌의 가 치를 향상시키고자 함

- 관련 과업으로 열린 어촌 공동업무공간 조성, 전라북도 열린 어촌 빈집 리모델 링, 어촌 활성화 공모전, 어촌 예술인마을 조성 등을 제안하였음

○ 지속과 보전의 바다는 어촌 공간 활용, 어촌 활성화는 단발적 사업이 아니 라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바다 자원을 보전해야 하 는 사명을 담고 있음

- 관련 과업으로 열린 어촌 도전의 바다 홍보단, 전라북도 어촌 난개발 감시단 운

영, 전라북도 어촌자원 발굴단 구성 등을 제안함

○ 현재 어촌 공간과 관련된 정책, 사업 등은 대부분 어업과 어촌 관광에 초 점을 맞추어 추진되고 있음

- 본 과업은 어촌의 배타성을 극복하고, 어업과 어촌 관광 이외에도 활용할 수 있 는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토대로 어촌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 어항, 어촌의 유휴 공간, 시간을 활용하고 어촌 주민과 도민이 주체가 되 어 거대 예산 투입 없이 추진할 수 있는 운영 과제 중심으로 구성하였음 - 해양수산, 생태 전문가 중 어촌의 낙후성은 시설이 부족하고 미개발된 것이 아

니라, 난개발을 한 결과 여유롭고 조용한 바다를 잃어가는 과정에서 낙후된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음

- 어촌 고령화에 따라 어촌 마을 과소화 현상은 거대 시설 투입으로 해결하기보 다 유휴 공간을 개방・활성화하여 젊고 도전적인 청년의 유입을 이끄는 것이 효 과적이라고 주장함

○ 본 과업에서 제안한 10가지 어촌 공간 활용방안은 대부분 현 상태를 유지 하고 보전하는 관점, 어촌 주민과 도민 주도의 협력 과제로 구성하였음 - 어촌 공간 활성화는 정부의 개입이 아닌 어촌 공간에서 긍정적 파급효과를 발

생시켜야 함

- 이를 위해서는 결국 활성화의 주체인 사람이 개방, 참여, 협력, 지속의 핵심가 치를 공유하고,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며 추진해야 함

<표 5-1> 열린 어촌 도전의 바다 어촌 공간 활용방안 종합

문서에서 전라북도 어촌 공간 활용방안 연구 (페이지 157-1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