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어촌 공간 관련 주요 선행연구

○ 어촌 공간 관련 선행연구는 어촌 경관, 어촌 관광, 어촌정주여건 개선 등 의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됨. 경관, 관광, 주거 등 명확한 분야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어촌 활성화라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음

○ 미래 수산업・어촌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김대영 외, 2017)

- 수산업과 어촌의 미래 트렌드를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 수산업과 어촌의 정책 방향과 미래 전략을 제안함

- 어촌 고령화와 인력 유출로 어촌 활력을 높여야 하며, 생산의 불확실성과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함

○ 어촌환경 변화에 따른 어촌공동체 발전방안(김대영 외, 2016)

- 어촌환경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어촌공동체의 협력・발전 방안을 제안함

- 현행 어촌계 중심의 어촌공동체 역량 강화, 어촌공동체 실태자료 축적, 바다마 을공동체로 재편 등을 어촌공동체 발전 전략으로 제안함

○ 어촌 다문화가정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이승우 외, 2016)

- 어촌 공동체 구성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다문화가정이 어촌 발전에 참 여하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안함

- 어촌 다문화가정의 실태조사, 정보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한국어, 문화 등 생활 관련 교육과 어업 관련 교육 등)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정 간, 어촌거주 자 간 유대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2018년 정읍벚꽃축제(2018. 4. 6. ~ 2018. 4. 10.)에서는 다문화가정 부스를

운영하여 일본인이 일본음식을 판매하도록 하여 벚꽃을 주제로 한 축제에서 다 양한 체험을 할 수 있었음

∙ 어촌 공간 활성화를 위한 각종 축제, 행사에 다문화가정의 참여를 토대로 유대 감을 높일 수 있고, 체험거리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어촌특화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관리 방향(이승우 외, 2015)

- 어촌정책을 상향식으로 전환하고, 어촌특화 시범사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 점을 개선해야 함

- 어촌특화센터는 창업・경영 컨설팅, 연구개발, 사업 관리, 교육・훈련 등을 지원 해야 함

○ 어촌 그랜드 디자인 개념정립(박상우 외, 2014)

- 어촌과 어항의 공공디자인으로 어촌 그랜드 디자인의 개념을 제안하고, 어촌・어 항・어장의 공간의 문화적, 공공적 가치 향상 방안을 제안함

- “어촌・어항・어장의 공간 환경을 기반으로 문화적・공공적 가치 향상을 위한 창 의적 대안 마련과 이를 현실화 시키는 과정”을 어촌 그랜드 디자인 개념으로 제안함

- 지역 특성을 고려한 어촌 그랜드 디자인 시범사업을 통해 국제적인 어촌관광명 소를 창출할 수 있음

○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어항부지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방안 연구(이승우 외, 2011)

- 어항기능시설과 편익시설이 위치할 어항부지의 효율적 이용・관리 방안을 제안함 - 어항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항 기능의 통합, 수산과 어 촌 정책의 통합, 어촌 주변지역과 자원 활용 공간, 어촌 삶의 질 향상의 공간, 아름다운 어촌의 중심공간으로 활용되어야 함

○ 어촌의 잠재적 가치 창출을 위한 명품 관광어촌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이 승우 외, 2009)

- 명품 관광어촌의 유형과 기준, 조성방향을 제시하여 관광어촌의 차별화, 어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함

- 어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명품 관광어촌 조성 초기 기획 단계부터 전문가 참 여, 이야기, 브랜드가 있는 명품 관광어촌으로 조성해야 함

○ 어촌관광을 통한 어촌 활성화 방안(이승우 외, 2008)

- 어촌 활성화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어촌관광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어촌관광 정책을 구상함

- 어촌관광 인적자원 계발과 지역브랜드 창출 등을 통하여 어촌관광을 통해 어촌 마을이 활성화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김성귀 외, 2007)

- 연안과 항만, 어촌에 도시민이 공유할 수 있고, 찾아가고 싶어 하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함

- 어촌 인구와 소득 감소, 복지・교육・문화 수준 열세, 어항의 난개발 등 문제점을 파악함. 어촌 경관과 환경 제고, 어촌 문화의 계승, 지역 특화 작업 등이 필요함

나. 전라북도 어촌 공간 관련 선행연구

○ 전라북도 해양산업 육성방안 연구(나정호 외, 2017)

- 본 연구는 전라북도 해양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전략적 특화산업으로 수산식 품, 해양레저, 해운항만물류, 미래해양산업 등 4개 산업을 도출하고, 관련 해양 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활성화, 연구・지원 분야에 맞추어 33개의 과제를 제안함

- 기반 구축, 활성화, 연구・지원 목적에 맞추어 추진되고 있으나 궁극적인 목적은 해양산업의 육성이며, 어촌 공간의 활성화는 간접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전라북도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이승우 외, 2017)

- 전라북도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비전, 전략 체계를 수립하고, 추진과제 62개 중 핵심추진과제 31개를 제안함

○ 전라북도 해양수산 지역현안문제 발굴(전북연구원, 2017)

- 본 연구는 전북씨그랜트센터에서 지역 해양수산 R&D 과제 발굴을 위한 사전단 계로 전라북도 지역 해양수산 현안을 도출하여 R&D 과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됨

- 해양수산업, 해양생명바이오, 새만금 공간활용, 어촌문화관광 등 4개 분야에서 20개의 전라북도 지역의 해양수산 현안 문제를 발굴함

- 전라북도 해양수산 발전을 위한 현안 문제를 도출하였고, 해당 문제는 대부분 해양수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어촌 공간 활용에 대한 검토는 수행하지 않았음

다. 시사점

○ 어촌 공간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대개 국책연구기관의 기획연구, 현안연구 를 중심으로 축적되었음

○ 어촌 공간의 개념을 연안 어장과 어항, 어촌마을, 배후권역까지 고려해야 하며, 어항은 어장과 어촌을 연계하는 연결점이자, 수산업의 기지로 파급효 과가 큼. 어항 활성화 방안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음

○ 어촌관광이 어업 외 수익원으로 부각되면서 어촌체험마을이 활발하게 운 영되고 있으며, 대부분 어촌체험마을은 배후지역 관광지와 연계하여 관광 객의 재방문과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 어촌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어가 인구의 감소로 귀어 귀촌 등 어가 인구 증대를 위한 대비가 필요함

- 어촌 다문화가정이 어촌마을에 거주하며 수산업, 수산식품산업 등에 참여하는 사례를 고려할 때, 다문화가정 유입을 연계할 방안 모색이 필요

○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연구목적을 수산업, 어촌관광 등의 거점으로 어촌 공간을 한정하였음

- 수산업과 어촌관광을 중심으로 미래 정책 방향을 제안하여, 어촌 공간을 수산 업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음

- 수산업과 어촌관광이 어촌 공간의 지속 발전 가능성을 높이는 데 유용하므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지만, 궁극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어가인구 감소, 어 촌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규 인력을 유인하여 어촌 공간에서 다양한 수익이 발 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함

Jeonbuk Institut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