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공간 개방 효과

○ 특별한 목적이 있는 곳은 예외로 하더라도 생활공간은 개방하는 것이 폐 쇄함으로써 유지되는 이익보다 큼

- 장소가 개방되면 방문객이 증가하고, 방문객은 해당 지역에서 소비 활동을 하게 됨.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면 ‘개방 → 방문객 증가 → 지역 경제 활성화’로 연 계됨

○ 어촌의 경우 어장과 어항의 배타적 이용권이 보장되어 어촌 공간이 일반 인에게 폐쇄적인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음

- 어장과 어항의 경우 법률적 근거에 의해 어촌계, 어민 중심으로 활용해야 하지 만, 다른 어촌 공간의 경우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것이 좋음

- 또한, 어업 작업은 어민의 생활사를 엿볼 수 있으므로 관광객을 배려하여 어구 를 정리하고 쾌적한 어항 조성에 힘쓸 필요가 있음

○ 공간 개방과 공간 가치 재조명은 활용 가치를 증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음

- 삶의 공간으로 혼자 사용하던 방, 집, 별장 등을 유휴 시간 중심으로 공유하여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낸 에어비앤비,

- 기차를 기다리는 공간에서 기차를 기다리고, 전국 각지에서 모이는 사람들과 회 의하는 공간으로 공간의 가치를 향상시킨 사례,

- 활력을 잃은 전통시장에 젊은 청년의 도전정신을 입힌 야시장 등 기존 공간 가 치를 재해석하여 긍정적 효과를 지역 전반적으로 확산시킨 사례가 많음

나. 공간 활용의 차별화

○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것이라면 희소성이 떨어짐. 독특한 자연 환 경, 다양한 주체의 의견 수렴, 전문가 집단의 도움으로 공간 활용을 차별 화할 수 있음

- 수상시장(태국), 밤낚시(팔라우), 해양레저(삼척시), 축제(부산시) 등 자연적 특성, 문화 전통 계승 등 이유로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곳은 오늘날 관광 명소가 되었음

○ 체험의 경우 가족단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유리함. 주 5일제 여가문화 의 확산으로 주말에 가족 단위의 방문객이 많으므로 가족 구성원 중 일부 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가족 단위 방문객 전체가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

○ 공간 활용의 차별화는 독자적으로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음. 다양한 분야의 주체가 참여하여 창의적인 생각을 결합함

-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 강점이 있는 분야에서 차별화 가능한 영역을 결합하는 방법이 효과적임

- 음식점을 운영하는 사람이 개발한 메뉴가 지역 대표 음식으로 인식되기도 하며, 공예 활동을 하던 예술가가 만든 작품이 지역 대표 상징물이 되기도 함

다. 개발보다 보전

○ 최근 인기 있는 장소의 특징은 새로운 구조물이 들어서기보다 자연 그대 로 환경을 보전하거나 본연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경관을 개선한 사례가 많음

○ 드라마나 영화의 촬영지가 되면 관광객의 방문이 많아지는 현상이 있는데,

대개 드라마, 영화의 촬영지는 다양한 개발 시설이 있는 곳도 있지만, 조 용한 바다, 한적한 농지 등이 인기가 있음

○ 갯벌을 복원하여 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한 독일의 랑어욱, 국가중요농업유산 을 보유한 청산도, 국가중요어업유산을 보유한 제주도, 보성군, 남해군, 신 안군 등 자연과 전통을 보전하여 가치를 증명하고 있음

라. 예술과 지역 활성화

○ 예술은 문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을 결합하고 감정과 사 상을 전달하기도 함

○ 예술가가 중심이 되어 지역 활성화를 한 사례가 자주 등장하고 있음 - 예술가가 입주하여 예술 공간이 된 파주시의 헤이리, 예술가의 예술작품으

로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별칭을 얻게 된 연홍도 등 예술가는 지역 활 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예술가는 예술 활동을 위해 조용하고 쾌적한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아름답고 소박한 어촌이 예술가의 작업공간이 되고, 예술가의 예술작품이 아름다운 어촌 만들기에 사용되는 선순환 구조를 고려할 수 있음

4

문서에서 전라북도 어촌 공간 활용방안 연구 (페이지 103-10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