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칭찬화행이 우리나라 영어교육에서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본 장 에서는 연구 대상인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사용된 칭찬화행의 쓰임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자료 분석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4종 12권의 영어교과서 에 수록된 칭찬화행의 어휘적, 통사적, 의미적, 상황적 구성과 칭찬소재 및 칭찬응 대전략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실제 영어 칭찬하기와 그에 대한 응대전략, 그리고 칭찬화행의 사회적 요인 및 칭찬소재에 대한 연구를 위해 중학생 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3.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칭찬화행의 유형에 따른 분포도와 적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9년 개 정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중학교 영어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개정영어교과 서는 2013년에는 1학년, 2014년에는 2학년, 2015년에는 3학년에 적용되어, 2017년 현재 전 학년에 걸쳐 사용 중이다.

제주도 내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어교과서 중 4종 12권을 채택하여 교과서 에 수록된 여러 화행 중 칭찬화행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선택된 4종 영어교과 서의 출판사는 각각 영어 대문자 A, B, C, D로 한다. 읽기영역의 칭찬화행을 포함 한 교과서의 칭찬화행 대화문의 수와 모든 구성요소 및 칭찬응대전략의 수는 출판 사별, 학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중학교 영어교과서는 대부분 각 단원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에서 의사소통기능에 초점이 맞춰진 듣기, 말하기 부분의 대화문과 많지는 않았지만 읽기 부분에서 수집한 칭찬 화행들로 빈도수를 측정했다. 이때 학습자의 창의적이고 주관적인 활동을 위해 대 화연습이나 응답형태로 빈칸처리 되어 있는 부분은 일부 제외시켰다. 한 대화문에 두 번 이상의 칭찬이 나오거나 같은 대화문이지만 다른 유형의 칭찬 혹은 다른 사

회적 변인인 경우도 각각 따로 칭찬발화의 횟수에 포함시켰다.

또한 실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칭찬하기와 칭찬에 답하기에 관한 발 화를 영어 담화설문지Ⅰ으로 시행하고, 학생용 설문지Ⅱ를 통해서는 언어 사용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공손성의 문제 중 칭찬화행의 사회적 요인과 소 재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 제주시에 위치한 모 중학교 총 7학 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어 담화설문지Ⅰ을 분석하기 위해서 영어 칭찬화행 예문을 발췌한 자료를 주고 칭찬을 받을 때의 반응방법과 칭찬을 하는 방법 두 가지에 답하게 하였다. 학생용 설문지Ⅱ는 칭찬화행에 있어서 나이, 성별, 지위, 친숙도의 사회적 요인이 될 수 있 는 것과 칭찬소재를 분석하기 위해 총 7개의 질문에 대해서 답하게 하였다. 설문지

Ⅰ을 기반으로 중학교 학생들의 실제 영어 칭찬화행 사용에 있어서는 어떠한 차이 가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할 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설문지Ⅱ를 토대로는 다소 한정 적일 수 있지만 언어의 공손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살펴보겠다.

참여자들의 기본 정보는 학년별, 성별로 구분하였고, 이를 위한 분석의 모형은

<표 4>와 같다. 설문지Ⅰ과 설문지Ⅱ에 관한 것은 <표 5>와 <표 6>에 그 내용을 담았고, 전체 양식은 부록에 첨부하도록 하겠다.

< 표 4 > 연구 대상자 분류표

학년별 남 성별 여 합계

1학년 41 35 75

2학년 22 24 46

3학년 29 21 50

합계 92 79 171명

< 표 5 > 영어 칭찬화행 학생용 담화 설문지Ⅰ 영어 칭찬화행

칭찬을 받을 때의 반응 방법 칭찬을 하는 방법

학년별로 다른 문항 수 제시 학년별로 다른 문항 수와 예문 제시

1학년 2학년 3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 6 7 4 6 7

< 표 6 > 칭찬화행의 사회적 요인 및 칭찬소재 학생용 설문지Ⅱ 숙도의 사회적 요인을 분석한 Wolfson(1983a), Brown과 Levinson(1987)이 제시한 세 가지 공손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칭찬응대전략은 Knapp et al.(1984)의 칭 찬반응 연구를 기반으로 박승윤(2008)이 수정한 칭찬응대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영어 칭찬화행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었다.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의 칭찬 대화문의 적절성을 미국 영어화자들의 칭찬 및 칭찬 응대 와 비교해본 결과, 대체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부적절한 대화문은 모국

어 표현들이 전이되었음을 송운경(2004)은 지적하였다. 또한 이주영(2010)은 국어와 영어에서의 칭찬화행을 한국어 화자와 미국 영어화자 두 집단 간의 칭찬화행을 각 각 대조하여 살펴봄으로써 한국사회와 미국사회에서 사용되는 칭찬화행과 그 차이 점을 규명하였다. 김선형(2013) 또한 고등학교 1학년 영어회화교과서의 칭찬화행 분 석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을 위해서 무엇보다 교과서에 포함된 내용에는 정확 한 언어 지식과 함께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용적 지식이 두루 갖추어져야 함을 강조하였고,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칭찬화행을 영어 원어민의 칭찬 및 칭찬응대와 견주어 차지연(2006)은 그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그 밖에도 칭찬화행과 관련하여 칭찬화행의 구성 요소와 칭찬대응전략 등에 대한 다수의 연구도 진행되었다(곽지영, 2012; 김성경, 2015; 김지은, 2010; 박정숙, 2015;

서화정, 2007; 유주희, 2010; 정아름, 2006). 이러한 이전 연구에 바탕을 두고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칭찬화행이 상황맥락을 고려하여 균형 있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는지 그 효용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