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 방법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할 예정으로 설문지 내 용은 일반적 특성 10문항, 갈등관리 유형 26문항, 역할갈등 37문항, 자율성 30문항, 조직몰입 13문항으로 총 1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종교, 교육수준, 결혼상태, 근무경력, 근무부 서 등을 묻는 문항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갈등관리 유형

Thomas(1976)와 함께 갈등연구의 대표적인 학자인 Rahim(1985)은 자신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타인에 대한 관심의 정도에 따라 통합, 수용, 강압, 회피, 타협이라는 다섯 가지 갈등관리 방법을 제시하였다(백기복, 2004). 본 연구에 서는 Rhaim(1985)에 의해 개발 된 ROCI-II 척도를 노재현(2005)이 번역 수정

한 것을 정유나(2016)가 재수정한 것을 본 연구 대상자에 맞게 주어를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갈등관리 유형은 통합 6문항, 순응 5문항 (7~11), 타협 5문항(12~16), 회피 5문항(17~21), 지배 5문항(22~26) 총 26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Putnam & Wilson(1990)의 OCCI(Assessing the Putnam-Wils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nflict Instrument)는 언어 적, 비언어적 행동과 갈등 행동의 선택을 결정하는 상황적 의사소통 전략을 평가함으로써 유형을 구분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배영희(2014)의 논문을 참고로 순응과 회피 유형을 문항을 회피형으로 통합과 타협문항을 문제해결유 형으로, 지배형 문항을 지배유형으로 구분하여 점수가 가장 높은 유형을 해당 유형으로 분류하고 2가지 이상 유형에서 점수가 동일하게 높은 대상자는 혼합 유형으로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노재현(2005)의 연구 당시 .769, 정유나(2016) 연구에서는 .87였으며 본 연구에서 .793였다.

3) 역할갈등

김문실과 박상연(1995)이 간호사의 역할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 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김문실, 박상연의 도구(1995)는 Rizzo 등(1970)의 역할갈등과 모호성 척도를 토대로 House, Schhuler, Levanoni(1983)의 역할 갈등 및 역할 모호성 척도를 분석하여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통해 우리나라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역할갈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되었다. 역할갈 등은 역할모호성, 업무의 과중부담, 조직구조, 개인 역할 개념과 관련이 있고 개인의 의식이나 행동은 그 나라의 문화와 무관하지 않음을 감안하여 그 문 화, 그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도구이다.

역할 모호(15문항), 환경장애(6문항), 협조부족(5문항), 능력부족(11문항) 의 4개요인 3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 록 역할갈등이 높음을 의미하며 개발당시 신뢰도는 .92였으며 본 연구에서 .95였다.

Pilot 조사를 통하여 의미가 모호한 14번 문항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돌발적으로 생긴 문제를 임기응변하는 방법을 모를 때”를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돌발적으로 생긴 문제를 때에 따라 적절하게 반응하고 처리하는 방 법을 모를 때”로 수정하였다(N=165).

역할갈등의 하위영역의 구분이 명확하고 다수의 선행연구(권윤희, 2016, 김 윤정, 2012, 이혜진, 2005)에서 역할갈등을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도 하위 영역별로 분석, 비교하였다.

4) 자율성

Dempster(1990)가 개발한 Dempster Practice Behavior Scale(DPBS)는 실 제 상황에서 개인의 자율과 관련된 행동, 활동, 수행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간호사를 대상으로 고안되었으며, 간호 및 간호학 분야 이외에도 일반화할 수 있는 도구이다(DPBS Questionaire, 2018).

본 연구에서는 Dempster(1990)가 개발한 Dempster Practice Behavior Scale(DPBS)를 김은정(2015)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하위영역은 준비(Readiness) 11문항, 임파워먼트(Empowerment) 7문항, 실행 (Actualization) 9문항, 가치(Valuation) 3문항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준비 영역은 성장, 기술, 역량 및 숙달의 요소를 측정하는 것으로(Dempster, 1994) 권한부여 영역은 제한 없이 지식과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권 리와 특권, 제재 및 법적 지위를 포함한(Dempster, 1994) 문항으로 이루어졌 다. 실행영역은 의사 결정, 책임 및 책무성의 차원을 포함하고 있다 (Dempster, 1994; Ulrich et al., 2003). 가치영역은 실제로 자율과 관련된 가 치, 유용성 요소를 측정(Dempster, 1990)하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문항 8, 13, 17, 26, 28은 역코딩하여 측정한 점수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율성이 높음 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95, 김은정의 연구에서 .92, 본 연구에서 .897였다.

자율성의 하위영역은 자율성의 특성을 나타내고 다수의 선행연구(김은정, 2015 Petersen et. al., 2017, Ulrich et. al., 2003)가 별도의 영역 구분 없이 자율성을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도 총점으로 자율성을 측정하여 분석하 였다.

5) 조직몰입

Mowday 등(1979)이 개발한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ationaire를 김계정(1986)이 번역하고 수정한 5점 척도의 도구를 이혜경(2001)이 13문항 으로 수정 사용한 도구로 문항 3, 7, 9, 11, 12 은 역코딩하여 측정한 점수로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에 조직 몰입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신뢰도는 .89였으며 이혜경(2001)의 연구에서 .795, 본 연구에서 .891였다.

각 영역의 문항과 신뢰도는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문항 신뢰도

갈등 관리 유형

지배형 22~26(5) .778

회피형 7~11, 17~21(10) .834 문제해결 1~6, 12~16(11) .873

소계 26 .793

역 할갈 등

역할모호 1~15(15) .897

환경장애 16~21(6) .899

협조부족 22~26(5) .818

능력부족 27~37(11) .918

소계 37 .95

자 율성 30 .95

조 직몰 입 13 .891

표 1. 갈등관리유형, 역할갈등, 자율성, 조직몰입의 문항수와 신뢰도 (N=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