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본 연구의 대상은 북제주군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24명이다. 이들을 선정 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24명을 지원받아 무선 표집 방법 으로 각 12명을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에 배당하였다. 그 구성내용은 <표Ⅲ -1>과 같다.

<표Ⅲ-1>연구 대상의 남녀 구성

구 분 상담집단 비교집단

남 6 6

여 6 6

계 12 12

2. 연구 설계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상담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을 비교하여 실험처치 결과를 평가하는 ‘사전-사후 상담 ․ 비 교 집단 설계’이다. 이 설계를 도식으로 나타내면 <표Ⅲ-2>와 같다.

상담집단 비교집단

O1 X O2 O3 O4

<표Ⅲ-2>연구 설계의 구성

O1 , O3 : 사전검사 O2 , O4 : 사후검사 X : 공감훈련프로그램 실시

3. 연구 절차

1) 연구의 진행 절차

이 연구의 과정은 사전검사, 상담․비교집단의 구성, 공감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처리 및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S초등학교 5학년 아동 중 희망아동 24명을 공감 검사, 사회적 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배 치하였다.

상담집단에게는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실시․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상 담기간 중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상담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직접 실시 하였고, 매주 2회, 60-80분씩 5주간(2003년10월15일 부터 2003년11월12일 까 지)에 걸쳐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끝낸 후, 사전검사에 사용했던 동일한 검사도구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2) 공감훈련프로그램

본 프로그램은 채현탁(1998)의 ‘중학생의 이타행동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명수(2000)의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공감훈련프로그 램의 효과’, 권정안(2000)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감훈련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박재룡(2001)의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 치는 영향’등을 토대로 본 연구 대상에 알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활용하

였다. 각 회기별 구성내용은 <표Ⅲ-3>과 같다.

4. 측정도구

1) 공감 검사

본 연구에는 Davis(1980)의 척도를 수정하여 상담자의 공감변화를 측정한 신경일(1994)의 공감 척도 검사를 박재룡(2001)이 아동의 이해수준을 고려하 여 재수정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긍정 질문 문항 24문항과 부정적인 질문 문항 3문항, 모두 27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재룡이 측정한 검사도의 내적 일치도인 Cronbach's α계수는 .88이다. 각 문항은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로 되어있 고, 긍정질문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는 5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씩을 주 며, 부정적인 질문 문항은 역산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27점-13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다.

공감 검사는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공감 수준 정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에서만 사용하였다.

2) 사회적 능력 검사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능력 측정을 위해 O'Mally(1977)가 개발하고 민영순 (1995)이 아동용으로 수정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로 되어있고, 긍정질문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는 5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씩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방해성 요 인과 불안정성 요인은 부정적인 문항에 해당하여 영역별에서는 각 점수를 그 대로 계산하여 나타냈으나 총점에서는 각 점수를 역산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28점-140점이며 총점이 높을수록 사회적 능력이 높다.

민영순이 측정한 검사도의 내적 일치도인 Cronbach's α계수는 .75이다. 이 검사지는 총2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음 <표Ⅲ-4>와 같이 5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Ⅲ-4>사회적 능력 검사지 구성

영 역 하 위 영 역 문 항 번 호 문 항 수

사회적 능력

유능성 1, 2, 11, 15, 18, 20, 23 7 지도성 3, 7, 8, 12, 24, 28 6 방해성 6, 10, 14, 22, 25, 27 6 교사에 대한

애정 5, 9, 16, 26 4

불안정성 4, 13, 17, 19, 21 5

28

5. 자료처리

자료의 분석은 SPSS/PC+ 전산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산 처리 하였다.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시 후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점수 차이를 비교 하였다. 이를 위해 p<.01, p<.05 수준에서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이 장에서는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t검증에 의해 프로그램 투입 전후의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 의 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검증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1. 연구 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공감능력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 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한 결과는 <표Ⅳ-1>과 같다.

<표Ⅳ-1>공감 사전검사 비교

구분 N M SD t

상담집단 12 78.83 14.44

-.112

비교집단 12 79.58 15.74

위의 <표Ⅳ-1>의 공감 사전검사 비교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집단의 비 교결과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담집단의 공감능력 평균점수는 78.83, 비교집단 은 79.58점으로 비교집단이 다소 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은 서로 공감 능력이 동질인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능력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Ⅳ-2>와 같다.

<표Ⅳ-2>사회적 능력 사전검사 비교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으로 볼 때 상담집단의 사회적 능력은 사전검사(M=82.42) 보다 사후검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