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능력의 개념과 요소

Ⅱ. 이론적 배경

4. 사회적 능력의 개념과 요소

사회적 능력에 대한 개념은 아동의 사회적 특성의 포괄적인 영역을 의미하 는 것으로 아동의 긍정적 발달을 개념화하고 특수화하는 유용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신영희, 1996). 그러나 그 범위가 광범위하며 어느 시대나 장 소에서나 사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기보다는 문화권에 따라 또는 이론적 접근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개념이며(O'Mally, 1977), 아동의 사회적 특성

및 영역에 따라 여러 맥락에서 각기 다른 목적에 적용되고 있어 여러 학자

보고하였다(민영순, 1995, 재인용).

원으로 사회적 능력이 있는 아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계는 발전해 가고 문제가 해결되어 간다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관점을 지닌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적 능력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데,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환경에 대한 적응을 중 요시한 O'Malley(1977)의 정의, 즉 사회적 능력을 유능한 사회구성원으로 살 아가는데 필요한 적응능력으로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인관계의 목적 을 효과적으로 획득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O'Malley(1977)가 제시 한 하위 개념 즉, 유능성, 지도성, 방해성, 교사에 대한 애정, 불안정성 등 다 섯 가지 변인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민영순, 1995, 재인용).

첫째, 유능성은 새로운 개념을 개발하는데 흥미가 있으며 힘에 벅찬 일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매사에 적극적이고 자신감있게 대응한다.

또한 새로운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이전의 경험이나 지식을 활용한다.

둘째, 지도성은 다른 사람들이 따라할 수 있는 활동을 먼저 시작하고 또래 나 어른들이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제안을 하며, 상황에 적절한 정보를 알아내어 효과적인 결정을 하는 능력이다. 또한 적합한 방법으로 자신의 생 각과 경험들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셋째, 방해성은 다른 사람의 권리나 의견을 존중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이 하는 일에 참견하거나 방해하기를 좋아한다. 또래관계에서 협조적이지 않으 며 다른 사람들의 비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정적인 특성이다.

넷째, 교사에 대한 애정은 선생님께 애정을 표현하며 선생님과 함께 있는 것을 즐거워 하고, 선생님과의 관계에 있어 원활하게 상호작용을 하려는 것 이다.

다섯째, 불안정성은 자주 깜짝 놀라거나 어려운 경우에 쉽게 당황하고, 주 위의 상황에 대해 불안해하거나 걱정스러워하는 부정적인 특성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