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우리나라 당뇨적정관리 현황

2. 연구자료

가) 당뇨병 관리에서

NHRQ의 자료원 (

총 5가지 자료 사용)

- 과정측정 :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BRFSS),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MEPS)

- 결과측정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ANES),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HCUP), Na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NHDS)

○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 CDC에 의해 설계된 전화조사 - 41개 주에서 5개 과정측정 지표 중 3가지 지표(HbA1c testing, foot exams,

and eye exams)에 대해 조사함.

- 50개 주에 대해 과거 influenza vaccination의 영수증 자료를 수집함.

- 낮은 응답률 등의 제한점 있음.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47

○ 과거 당뇨병에 관련된 중요검사나 건강서비스를 받은 성인의 비율

48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 가족을 대상으로 함.

- 간병인이나 의료제공자와 관계됨.

- 조사 항목은 BRFSS와 4가지는 같고 Lipid profile이 추가되어 조사됨.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두 가지 outcome 변수 조사(Glucose level과 blood pressure)

○ Health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 29개 주의 입원환자 퇴원기록(미국의 80% 커버)

○ National Hospital Dischage Survey - 병원의 표본을 뽑아 조사

- 한 가지 outcome 변수 조사(Lower extremity amputation)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49

○ 메디케이드 대상자의 당뇨 발생 규모와 의료이용정도

50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3) 연구결과

가) 주단위의 당뇨 적정관리 질 평가를 위한 정보제공

○ 수집된 자료를 통해 주별로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적절한 비교방법을 통해 제시함.

○ 각 주(state)의 조사결과와 비교를 위한 자료도 함께 제공 - 이론적 제한 : 100% 도달 목표치

- 상위 10%의 측정값

- 국가합의 목표치 : Health people 2010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장치 - 국가평균치

- 지역평균치

- 각주의 측정값 (이중 국가평균치와의 비교는 각 주(state)의 성과를 평가하 는데 사용되기도 함)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51

○ 4가지 과정지표들의 측정치 제공(이상치/상위10%평균/국가목표/국가평균)

-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가장 적합한 기준에 도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이론 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지만 어떤 주에서는 그러한 이상적인 기준에 도달해 있기 도 함.

- 족부검사의 경우는 상위10%평균보다 2010년 국가목표가 더 낮음.

52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전체주의 주요 과정지표의 시행률 변이와 국가평균/상위10%평균 정보 제공

○ A 주(state)의 적정관리 현황과 여러 표준치들을 비교함.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53

○ 각 주(state)별로 당뇨적정관리 평가 정보 제공

- 위 그림은 Georgia 주의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검사 시행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Georgia 주 당뇨병 환자들의 HbA1c와 안저검사 시행률은 국가 평균보 다 높았음.

- 성인 당뇨환자에서의 족부검사와 influenza백신 시행률은 국가 평균보다 낮았 음.

- 이 그림을 통해 Georgia주에서 당뇨적정관리를 위해 부족한부분과 잘되고 있는 부분 파악할 수 있음.

54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나. 당뇨적정관리에 미치는 영향

1) 당뇨적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건강관리의 결과와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아래 그림과 같이 다양 하게 존재함.

- 쉽게 변화되기 어려운 요인 : 생물학적인 유전요인, 수입, 교육정도, 사회 적 지위, 일반적인 인구학적 특성

- 단기적이진 않지만 중기나 장기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가진 요인 : 건강관 리 전문가를 공급, 건강관리 센터나 조직 만들기, 질병 예방 활동

○ 당뇨적정관리의 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55

- 인종, 종교, 사회경제적 요인

- 생물학적 행태적 요인 : 당뇨의 가족력, 태아성 당뇨 (임신 시 태내에서의 당뇨), 나이, 과체중/비만, 운동부족, 식이와 영양, 고혈압, 혈중 지방 정도 (콜레스테롤)

- 외부 환경 : 건강관리 체계의 인프라, 보험정책, 의료제공자의 지식수준, 공공 교육, 정부의 지원, 질 향상을 위한 노력과 지도자의 필요, 수요에 대 한 파악, 다양한 요구와 기반들에 대한 활용 데이터 구축 및 이용

○ 주(state)별 당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진입율의 비교

- 미국의 주(state)마다 당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비만, 가난)의 수치를 비 교함.

- 당뇨의 예방율과 진입율을 주마다 비교함.

56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다. 당뇨적정관리를 위한 정책 및 향후계획

1) 현재 당뇨에 있어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시행중인 정책

가) 시행중인 공공/사적인 질 향상 정책

○ National Diabetes Quality Improvement Alliance

- Diabetes Quality Improvement Project (DQIP)는 1998년 조직됨.

- DQIP에서는 당뇨의 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음.

○ The Chronic Care Model

- Dr. Edward Wagner와 Robert Wood Johnson에서 후원하는 그의 건 강협력조직(시애틀 소재)에서 제시한 모델임.

- 다음과 같은 6개의 조직을 제시하면서 건강증진은 건강협력의 조직 과 체계의 접근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음.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57

○ IHI Breakthrough Series Collaboratives

- The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IHI)에서 만든 것으로 고 성장, 저비용을 통해 질향상을 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조직을 도움.

- 참고로 다음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음.

․Breakthrough Collaboratives general information:

http://www.ihi.org/IHI/Programs/CollaborativeLearning/

․Improving care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diabetes:

http://www.ihi.org/IHI/Topics/ChronicConditions/Diabetes/How ToImprove/

․Report from the Health Disparities Collaborative on Diabetes:

http://www.healthdisparities.net/Diabetes_Apr2002.pdf

○ Other Strategies

- 이 외에도 Self-Management Programs이나 Disease Management Programs과 같은 여러 가지 전략들이 있음.

나) 당뇨의 의료 질향상을 위한 시행중인 프로그램이나 자원들

○ CDC's Diabetes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

-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시행하는 프로 그램으로 1970년대 후반에 작은 숫자로 시작하여 현재 모든 주에서 시행하고 있음.

58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주(state)별 당뇨 적정관리 프로그램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59

○ Diabetes Detection Initiative and Steps to a HealthierUS

- 미국의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를 이끌던 Tommy G. Thompson의 "Diabetes Detection Initiative: Finding the Undiagnosed."를 기본으로 만들어짐.

- The Diabetes Detection Initiative (DDI)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2 형 당뇨의 위험성 인식과 발견, 관리에 주력함.

○ HRSA's Health Disparities Collaboratives

- Health Disparities Collaboratives의 후원을 받아 HRSA's Bureau of Primary Heath Care (BPHC)와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의 Diabetes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 이 추진함.

- community health centers (CHCs)는 저소득층을 위한 다양한 당뇨관 리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그들의 당뇨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고자 함.

○ National Diabetes Education Program

- The National Diabetes Education Program (NDEP)은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와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가 함께 진행하고 있음.

- 이 프로그램은 예방 가능한 방법들을 교육하고 그것을 통해 당뇨의 위험성을 줄이고 이로 인한 사망률을 낮춤37).

○ CMS' Quality Improvement Organizations

- 미국 37개의 Quality Improvement Organizations (QIOs)에서 당뇨 적

37) http://ndep.nih.gov

60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정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듬.

다) 당뇨 의료의 질향상을 위한 주별 접근법

○ 파트너쉽과 계획된 수행 (

Partnership/Planning Activities)

"Partnerships are key to everything we do they are key to public health. The strength and commitment of our partners underlies our success."

- Wisconsin Department of Health Official

- Coalitions

- Advisory bodies and councils - Working across State agency lines

○ 프로그램의 개발과 발전 (Program Development) - Developing and complying with diabetes guidelines - Data measurement and reporting

- Use of technology

- Self-management/patient education - Collaboratives

- Provider training

- State disease management programs

○ 확산 및 보급 (Dissemination)

- Raising awareness through public relations - Minority and rural outreach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61

2) 당뇨 적정성관리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의 발전과 향상

가) 질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과정 소개

○ Plan-Do-Study-Act (PDSA) Model (당뇨 적정관리 질 향상의 순환모형)

- Partner : 의료의 질 향상과 프로젝트를 제시, 이끌어갈 전략적인 파트너 가 필수요소임.

- Plan : 프로젝트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에서 세부적인 행동 지침까지 정하게 됨.

- Do : 계획들의 문제들을 테스트하고 관찰, 조정하면서 프로그램과 제공 자, 대상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함.

- Study :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결과들을 예상하고 그로인한 다양한 문제 점들과 배워야할 점을 인식하게 함.

- Act : 결정과 변화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분석과 데이터 수집을 통해 향상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함.

62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질 향상을 위한 PDSA의 체크리스트

Ⅱ. 당뇨적정관리 지표 63

○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 평가는 질 향상 행위가 계획된 목적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파악뿐만 아니 라 목적과 행위가 인구의 건강결과를 향상시켰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함.

- CDC Model for Program Evaluation : 당뇨의료의 질 향상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모델임.

○ CDC의 평가모델

3) 당뇨 적정관리를 위한 향후계획

가) 질 향상을 위해 정책책임자들이 공헌해야 할 점 - 리더쉽과 비젼 제시

- 파트너쉽과 공동연구 계획 - 계획과 목적 보조

64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측정과 보고의 정확성 - health care 구조 향상 - 평가와 책임 보장 - 인센티브 창출

Ⅲ.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역학지표

1. 유병률 및 발생률

- 이번연구는 2006년 당뇨(E10-14)를 주․부 상병으로 일회이상 보험청구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였음.

가. 유병률

- 당뇨병의 (2006년 연앙인구 대비) 유병률은 전인구의 4.85%(2,340,627명) 로 추정되고, 남성이 4.88%(1,185,099명), 여성이 4.81%(1,155,528명)로 남 성이 여성 보다 유병률이 높았음(표3-1).

연앙인구(명) 유병환자수(명) 유병률(%)

전체연령

남성 24,267,609 1,185,099

4.88

여성 24,029,575 1,155,528

4.81

전체 48,297,184 2,340,627

4.85

20-79세

남성 17,076,857 1,144,099

6.70

여성 17,761,060 1,079,285

6.08

전체 34,837,917 2,223,384

6.38

표 3-1. 성별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명 , %)

- 성인(20-79세)에서의 유병률을 추정해보면, 전체 성인인구의 6.38%

(2,223,384명)이 당뇨병을 갖고 있었고, 남성 6.70%(1,144,099명), 여성

66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Ⅲ.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역학지표 67

- 성인(20-79세)에서의 발생률은 1.06%(369,905명)이고, 남성성인의 발생률은 1.11%(188,899명), 여성성인의 발생률은 1.02%(181,006명)로 남성이 다소 높았음(표3-2). 유병률과 마찬가지로 발생률 또한 남녀모두 65-79세에서 가장 높았음(그림3-2).

0.10 0.55 1.57 2.02 3.29 0.49 0.08 0.47 1.30 1.93 2.08 1.73 0.82 0.81 0.82 1.11 1.02 1.06 0.0

1.0 2.0 3.0 4.0

0-19 20-44 45-54 55-64 65-79 ≥80 0-19 20-44 45-54 55-64 65-79 ≥80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연령 20-79세

발생률(%)

그림 3-2. 당뇨병 환자 발생률

Ⅳ. 우리나라 당뇨적정관리 현황

1. 적정관리 평가지표 선정

- 앞에서 살펴보았듯 당뇨의 적정관리를 평가하는 지표에는 여러 가지가 있음. 이중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현재 건강보험청구 자료로도 실행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평가지표 7가지를 선정하였음.

① 당화혈색소(HbA1c) 검사 : 1년간 1회 이상

② 미세알부민뇨(Microalbumminuria) 검사 : 1년간 1회 이상

③ 안저검사(Eye examination) : 1년간 1회 이상

④ 총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검사 : 1년간 1회 이상

⑤ HDL-cholesterol : 1년간 1회 이상

⑥ LDL-cholesterol : 1년간 1회 이상

⑦ Triglycerides : 1년간 1회 이상

2. 연구자료

- 이번연구는 2006년 당뇨(E10-14)를 주․부 상병으로 일회이상 보험청구된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2006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적정관리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함.

70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