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 론

2. 연구목적

○ 이번연구에서는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하여, 2006년 한 해 동안 우리 나라 당뇨환자의 적정관리 현황을 파악해보고, 환자특성별 그리고 의료 기관특성별로 비교․평가해 보고자 함.

2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3. 연구방법

가. 연구자료

○ 2006년 당뇨(E10-14)를 주․부 상병으로 일회이상 보험청구된 건강보험 청구자료 이용

나. 연구대상

1) 연구대상자 선정

○ 2006년 당뇨(E10-14)로 진단받은 전체 당뇨환자 2,340,627명 중 관찰기 간이 1년이 되지 않는 2006년 새롭게 발생한 환자 393,784명과 2006년 사망환자 33,440명을 제외함. 이들을 제외한 1,913,403명을 환자특성별 적정관리 현황을 파악할 연구대상자로 선정함.

2) 연구대상 의료기관 선정

○ 의료기관별로 당뇨환자의 적정관리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들을 주이용기관에 할당해야함. 주이용기관을 선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나라 의료전달 시스템의 특성상 당뇨치료를 위해 여러 곳의 의료기관을 이용한 환자를 어느 특정 기관에 할당하 는 것은 문제가 있음. 따라서 전체 당뇨환자 중 당뇨치료를 위해 한곳 의 의료기관을 2회 이상 이용한 경험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 이 이용한 의료기관을 적정관리 평가기관으로 선정함. 총 14,915곳의 의료기관이 적정관리 평가 대상 기관으로 선정되었고, 종합전문병원 42곳, 종합병원 262곳, 병원 1,123곳, 의원 13,488곳이 포함되었음.

요 약 3

4. 연구결과

○ 2006년 연구대상 당뇨환자(1,913,403명) 중 연간 1회 이상 당뇨적정관 리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분율은 당화혈색소(HbA1c)검사 41.47% (793,572명), 미세알부민뇨 검사 7.18%(137,340명), 안저검사 1.46%(27,995명), 총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43.64%(835,041명), HDL-cholesterol 26.51%(507,315명), LDL-cholesterol 11.18%(213,921 명), Triglycerides 36.22%(692,940명) 이었음.

○ 남성이 여성에 비해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적정관리검사 시행률이 증가하였고, 건강보험 가입자가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비해 적정관리검 사 시행률이 높았음. 외래방문 의료기관수와 외래방문횟수가 증가할수 록 적정관리검사 시행률이 높았고, 주이용기관이 종합전문병원일 때와 동반상병이 있을 때 적정관리검사 시행률이 높았음.

○ 의료기관별 당뇨적정관리 현황을 살펴보면, 평가대상기관 14,915개 의 료기관의 평균 당화혈색소(HbA1c)검사 시행률은 20.64%이었고, 미세 알부민 0.90%, 안저검사 0.07%, 총콜레스테롤 24.69%, HDL 12.15%, LDL 4.73%, Triglycerides 19.69%이었음. 그러나 의료기관에 따라 당 뇨환자에 대한 적정관리검사 시행률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음.

○ 종별로 구분하여 당뇨적정관리검사 시행률을 살펴보면, 7개 검사 모두 종합전문병원급에서의 평균 시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종합병원, 병원, 의원급 순이었음.

4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5. 결론

환자별 그리고 기관별로 당뇨적정관리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를 산출해본 결과, 당뇨환자에 대해 적어도 연간 1회이상 시행하도록 권하고 있는 7가지 기 본검사의 시행률은 낮은 편이었음. 전반적으로 당뇨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들의 적정관리가 부족한 편이었고, 의료기관간에 적정관리 수준에도 매우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그러나 이번연구에서 적용한 당뇨적정관리 평가지표는 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표들로서 우리나라 당뇨환자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이번연구는 환자개인의 적정관리 수준 뿐만 아니라 각 요양기관들의 적정 관리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당뇨적정관리에 대한 요양기관별 평가정보 제공과 향후 심평원의 평가대상 확대 시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가. 만성질환 적정관리의 필요성

1)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급격한 증가

- 인구노령화에 따른 유병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그에 따른 직접적 의료비 용 및 합병증, 장애, 사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부담이 커짐.

- 만성질환이란 ‘수년에서 수십 년에 걸친 지속적 관리를 필요로 하는 건 강문제’임1).

-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전 세계 사망자 수 의 60%, 질병부담의 47%를 차지함2).

- 전형적인 비전염성 질환(예: 심혈관계 질병, 암, 당뇨병) 이외에도 전염성 질환(예: HIV/AIDS, 결핵), 일부 정신질환(예: 우울증, 정신분열증), 신 체구조의 지속적 결함(예: 절단, 실명, 관절질환) 등이 이에 속하며 우리 나라에서의 5대 사인 중 만성질환이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고 있음.

1) WHO fact sheet. 2002.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38/en/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Report 2004; 2004

6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고혈압(주부상병)으로 청구된 건강보험총진료비는 1995년 3,935억원에 서 2005년 3조 2,430억원으로 10년간 9배 증가

- 당뇨병(주부상병)으로 청구된 건강보험총진료비는 1995년 2,142억원에 서 2005년 1조 7,120억원으로 10년간 8배 증가

- 20-79세 당뇨병의료이용환자 145만 명의 건강보험총진료비는 2003년에 3조 3천억 원으로 추정됨(일인당 228만원) 이는 같은 해 20-79세 총 진 료비(약 18조원)의 18.28%를 차지

* 출처 : 만성질환 적정관리 평가-보상 시범사업 기획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7

2) 만성질환 관리 수준의 미흡성

- 만성질환은 복합적인 병인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되어 결과로 나타 나므로 조기발견과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접근은 진료실 모 형을 넘어 지역사회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

- 만성질환들은 체계적인 적정관리를 통하여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관리수준은 미흡한 실정임.

- 2000년 미국의 당뇨병환자 연간 1회 이상 당화혈색소 측정률은 89.9%

였으나 반면 2003년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측정률은 30.4%로 미국 의 3분의 1에 불과

- 전국표본의무기록 조사결과, 체중관리는 18.0%, 혈압관리는 56.0%에 불과

- 우리나라에서는 단편적인 투약위주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 출처 : 김재용. Diabetes in Korea 200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7

Ⅰ. 서 론 7

나. 당뇨의 중요성

당뇨인구는 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고 유병인구가 매우 많으며(미국의 경우 1800만 명, 2004), 국가의 주요 사망원인중 하나이나 적정치료가 부족하고 당뇨로 인 한 합병증이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음.

1) 당뇨환자현황 및 의료비

가) 국외

- 전 세계적으로 당뇨 환자는 1500만 명으로 추정되며, 2025년까지 두 배 이 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까지 선진국의 대다수 당뇨환자는 65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개발도상국은 대부분 생산가능 연령인 45~64세의 인구가 차지하게 될 것 임.3)

○ 미국4)

- 2002년 미국 인구의 6.3%(약 1,820만 명)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 1980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의 당뇨 환자는 2배 이상 증가함. 65세 이 상 인구 중 약 40%가 당뇨를 앓고 있으며, 이는 45세 이하 인구에 비 해 10배 이상에 해당됨.5)

3) WHO fact sheet. 2002.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38/en/

4) Michael ME. et. al. Evolving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Annal of Internal Medicine.

2004: 140(11): 945-951.

5)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Diabetes Fact Sheet: General

8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호주6)

- 당뇨는 사망원인 중 7번째로 많고 이환율, 장애, 삶의 질 저하 등 잠재 적인 여명의 손실에 기여함.

- 25세 이상 인구의 7.5%(약94만 명)의 인구가 당뇨 인구로 추정(진단 받 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포함)되며 이 중 1/4가 내당능 장애 상태 에 있음.

- 1998년 호주 전체 사망 중 2.2%가 당뇨로 기인한 것이며 영구적 당뇨 인 환자는 1형 10~15%, 2형 85~90%, 기타 1% 미만임.

나) 국내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성질병의 유병률 조사 결과에 따르면 40 세 이상 연령군에서 당뇨병은 상위 5순위에 속하는 다빈도 질환임.

- 40~44세 연령군 이후 유병률은 급격히 증가하며, 성별로는 남자의 유병 률(37.9명/1000)이 여자(25.6)보다 높게 나타남.7)

Information and National Estimate on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2003.

6)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http://www.health.gov.au/pq/diabetes/data.htm 7)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만성질환편. 2002

Ⅰ. 서 론 9

연령구분 남 여 전체

00-14 - -

-15-19 6.0 - 3.0

20-24 - 1.8 1.2

25-29 4.9 1.4 2.9

30-34 8.4 3.2 5.6

35-39 18.0 7.9 12.8

40-44 35.7 10.4 21.6

45-49 47.7 17.4 30.1

50-54 70.2 34.3 48.0

55-59 68.2 44.2 53.7

60-64 71.8 45.0 54.4

65-69 60.4 42.7 49.2

70-74 58.6 41.0 46.2

75세 이상 41.4 39.3 39.9

계 37.9 25.6 30.6

*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표 재조합

표 1-1. 연간 당뇨 유병률 (단위: 명/1000)

10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2) 당뇨정의,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가) 정의

- 인슐린 분비 기능 결함이나 인슐린 저항성 증가 등으로 인해 고혈당을 보이는 모든 대사성 질환들의 집합체로서 원인별 분류는 표 1-2와 같 음.8)

- 당뇨병의 ICD-10 분류체계는 표 1-2와 같은 당뇨병의 원인에 대한 새로 운 분류체계가 제출되기 이전에 정해진 것임.

- 호주 등 일부국가를 제외하면 원인분류에 따른 역학 정보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며 아직까지 대부분의 역학정보가 표 1-3과 같은 ICD-10 분 류체계를 따르고 있음.

8) E. Braunwald et. al. 대한내과학회 역.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15 edition.

Vol. 1.MIP publications.2003.

Ⅰ. 서 론 11 pentamidine, nicotinic acid, glucocorticoid, 갑상선호 르몬 diazoxide, ß-adreneric agonist, thiazide, phenytoin, ainterferon, protease inhibitor, clozapine, b-blocker

F. 감염-선천성 풍진, 거대 세포 바이러스, coxsackie.

G. 면역에 의해 개제된 당뇨의 특이한 형태-“stiff man 증후군, 터너증후군, Wolfram증후군, Friederich's ataxia, Laurence-Moon-biedl syndrome, Huntington's chorea, 근긴장이영양증, porphyria, Prader-willi syndrome

Ⅳ. 임신성 당뇨병

표 1-2. 당뇨병의 원인분류

12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Ⅰ. 서 론 13

14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Ⅰ. 서 론 15

16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Microalbumin 0.20 mg/mg creatinine

이상 C2301(2) 미세알부민 정성(정량)

12) WHO fact sheet. 2002.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38/en/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http://www.health.gov.au/pq/diabetes/data.htm

Ⅰ. 서 론 17

(α-glucosidase inhibitors) 글루코베이, 베이슨.

인슐린 초속효성, 속효성, 중간형, 지속형, 혼합형 표 1-11. 당뇨병의 약물치료

18 만성질환 적정관리현황 평가방안 연구

○ 당뇨환자가 고혈압일 경우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약제

- ACE inhibitors,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Beta blockers, Thiazide diuretics, Calcium channel blockers

마) 예후 및 합병증13)

- 당뇨병 환자가 사망원인은 결국 심혈관계 합병증인 경우가 많고 심부전, 심근 경색, 협심증, 고혈압 등으로 대개 입원을 하게 됨.

- 당뇨병 환자들에게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사망은 당뇨가 없는 사람들에 비하여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합병증 선별검사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130/80mmHg 이상부터 조절 관리 시작함 이상지혈증 지단백 농도 측정

당뇨병성 망막변증 안저검사

당뇨병성 신증 알부민, 미세알부민 측정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경학적 검사(운동, 반사, 자율신경, 신경전도) 당뇨병성 발

감각(10g mono filament somato sensory threshold test) 소실 여부, 말초 순환 검사, 피부상태, 골격구조

감각(10g mono filament somato sensory threshold test) 소실 여부, 말초 순환 검사, 피부상태, 골격구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