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문서에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페이지 97-104)

II. 이론적 고찰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재 발생 지점, 피난 시 장애물 유무, 피난자의 신체적 장 애, 예기치 못한 사고, 화재의 최악 상황 등 돌발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의 한계를 지니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재실자의 정신적 특성 및 심리적인 요소, 건축물에 사용되 고 있는 건축재료에 관한 화재시의 유독성, 화재시의 유독가스의 전 파도 등을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피난 안전성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실질적인 피난대피훈련을 통하여 피난 안전성을 높이는 방 안 연구가 필요하고, 여학생들의 생활습관 및 체력을 반영한 피난 안전성 평가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계단이나 출입구 인근에서 화재발생시 피난로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등 화재발생지점에 따른 피난로 지정방법의 연구도 필요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숙사생들에게 PAPS를 기반으로 침실을 배치하여 피난 안전성을 확보한 후. 선후배 간의 멘토링 활동을 통한 학습활 동과 상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각 실마다 3개 학년을 혼합하여 배 치하여 학력신장과 생활지도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도 함께 연구되 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https://www.nfds.go.kr/stat/theme.do.

[2] BreakNews(2021.03.10.). "정윤경 경기도의원, 교육기관 화재대피 용 방연마스크 지원 조례 추진", https://breaknews.com/791022 , 김일웅 기자. (2021.11.29. 인출).

[3] 교육부(2009). “학생건강체력평가 매뉴얼”. p.3.

[4] 교육과학기술부(2008.12).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PAPS) 확대 시 행 계획, p.5.

[5] 법제처. 「교육기본법」, 제27조 제2항, 시행 2021.09.24.

[6] 법제처. 「건축법 시행령」, 제3조의 5,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제 2항의 라, 시행 2021.12.23.

[7] 법제처.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 률 시행령」. 제5조, 특정소방대상물 제1항 가목, 시행 2021.01.01.

[8] 조명제(2012). 고등학교 기숙사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한국교 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7.

[9] 조명제(2012). 앞의 책. p.47.

[10] 이화룡·오형석(2010). 기숙형고등학교의 기숙사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과 논문집, 제26권 제6호 pp.75-84.

[11] 국가교육통계센터 교육통계서비스. https://kess.kedi.re.kr/index.

[12]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https://www.nfds.go.kr/stat/theme.do.

[13] Dormitory Fires : Topical Fire Research Series Vol.1, Issue 14, U.S. Fire Administration, 2001. 3.

[14] SFPE(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Handbook 3rd p.3-347.

[15] 황재호·김영수·전용한·조성철(2009). 화재피난시뮬레이션. 도서 출판 동화기술 p.32.

[16] 법제처,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 [별표1]

제3호 나목 및 비고란, 시행 2017. 7. 26.

[17] 강은혜(2020). 장애학생의 보행속도 차이에 따른 피난안전성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pp. 13-14.

[18] 윤호주·황은경·김종성·김종훈(2010). 국내 건축물 피난프로그램 개발위한 세부모델 정립.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42-47.

[19] 이정수・권흥순(2013). 한국형 재실자 피난부하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221-5229.

[20] 우수진·황은경(2014). 국내 건축물 피난실험 문헌 분석을 통한 피난 실험설계요소 개선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4권 제3 호 pp.19-225.

[21] 박수로·황은경(2014). 국내 피난 안전성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4(2), pp.153-154.

[22] 이정수(2016). 장애인 행태를 고려한 피난 매뉴얼 비교연구. 한 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470-478.

[23] 한운희(2018). 피난실험을 통한 피난시간 지연요인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2권, 제2호, pp.57-66.

[24] 이정수·권흥순(2011). 중고등학교 피난 실험을 통한 재실자의 신 체치수와 연령 및 성별이 피난 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3권. 제3호, 통권47호, pp.97-104.

[25] 강은혜·최정민(2019). 보행속도 차이에 따른 장애인 학교시설의 화재 안전성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제13권 제 2호 pp.130-141.

[26] 김희교(2021). 학교시설의 피난동선 최적화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1). pp.177-183.

[27] 이정수·오영숙·권용원(2021),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재실자 피난 부하를 고려한 피난 모델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

pp.553-561

[28] 최창준(2021). 피난 경로의 경사도와 층별 배치에 따른 고등학교 의 피난 안전성 평가. 우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이화룡・오형석(2010). 기숙형고등학교의 기숙사 건축계획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pp. 75-84.

[30] 조명제(2012). 앞의 책.

[31] 백정선(2013). 경남지역 기숙형 고등학교 기숙사 침실 및 지원공 간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황미영(2015). 도시 고등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신영수(2016). 고등학교 기숙사 안전환경 실태 분석에 관한 연 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현(2018). 학교 기숙사 안전에 대한 학생 성별 인식 비교.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윤성환・이정재・이민정(2009). buildingEXODUS를 활용한 행위 기반 피난시뮬레이터의 신체 및 심리적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 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9), pp.347-355.

[36] 서동구·황은경·황금숙·조정훈·권영진(2008). EXODUS, SIMULE X를 활용한 피난모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0 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008 Apr. 24 , pp.33-36.

[37] 법제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 2022.1.31. 시행.

[38] 법제처,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5조의2. 2022.1.31. 시행.

[39] 법제처,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 설계 방법 및 기준」, [별표1]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작성기준, 시행 2017,7.26.

국문 요약

PAPS에 기반한 여자고등학교 기숙사생의 피난 안전성 평가

전승덕 소방방재학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 공 하 성

이 연구는 고등학교 여학생 기숙사에서 피난 시 층별 및 실별 인원 배치에 따른 피난소요시간(RSET)을 분석하여 피난안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 개개인의 체력이 피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PAPS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피난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Pathfinder(Revision 2021×64)를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여 정상적인 학생들의 보행속도, 신장, 어깨너비 등 신체적 특징을 입력 변수로 적용하였다.

PAPS 결과를 바탕으로 4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되 피난로 미지정

시와 지정 시로 구분하여 피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 1은 학교 기숙사에서 일반적으로 학생체력은 배제한 체 학력신장에 중점을 두는 실별 A, B, C그룹을 혼합 배치하였고, 시 나리오 2는 역시 학생체력은 배제한 체 생활지도에 중점을 두는 실별 그룹은 통일하되 층별 A, B, C그룹 혼합 배치하였으며, 시나리오 3은 학생안전에 중점을 두어 밀집지역인 2층에 상위등급을 우선 배치하여 2층에 A그룹, 1층에 C그룹, 3층에 B그룹을 배치하였고, 시나리오 4는 역시 학생안전을 우선으로 각 층별로 건물 밖까지 소요되는 피난소요 시간(RSET)에 중점을 두고 따라 3층에 A그룹, 2층에 B그룹, 1층에 C그룹을 배치하여 피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였다.

피난 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피난소요시간 (RSET)이 피난가능시간(ASET)인 240초보다 빠르게 나타났으며, 피난로 지정 시가 피난로 미지정 시보다 시나리오별로 0.7초에서 4.5초까지 피난소요시간이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시나리오 중에서 피난로 지정 시 시나리오 4가 피난소요시간(RSET) 168.5초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학생체력을 배제한 체 학력신장과 생활지도에 중 점을 두고 기숙사생 배치를 하는 것은 피난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PAPS를 기반으로 평가등급이 낮은 학생들을 저층, 평가등급이 높은 학생들을 고층에 배치하고 실별 피난로를 지정 하는 것이 피난안전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PAPS 등급별 배치 후, 각 실마다 3개 학년을 혼합하여 배치하면 피난안전성을 물론 학력신장과 생활지도에도 효과를 거두게

문서에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페이지 97-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