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부진아의 쓰기 역량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SRSD-NT 훈 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가. 양적 분석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양적 결과를 추출하기 위해 SPSS/WIN 2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1) 쓰기의 양 측면에서 SDSR-NT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음절 수, 전 체 문장 수, 전체 어휘 수에 대하여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여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처치의 효과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2) 쓰기의 질 측면에서 SDSR-NT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내용, 조직, 표현의 평가요소에 대하여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여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 효과 의 유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처치의 효과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 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3) 쓰기 효능감에 대한 SDSR-NT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별 쓰기 효능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여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 효과의 유의도를 확인하 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처치의 효과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4) 삶의 질 개선에 대한 SDSR-NT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주 관적 안녕감에 대하여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 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여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 효 과의 유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처치의 효과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나. 질적 분석

연구 양적 결과는 제한된 변인의 증가와 감소만을 측정한 것으로 연구 참여자 들의 경험적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양적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회기 내에서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쓰기 결과물과 활동지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질적 분석 방법은 두 가지로 김영천(2016)의 질적연구방법 분석과정에 따른 분석과 내용분석으로 측정변수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김영천(2016)의 질적연구방법 과정은 전사 작업, 개방적 코딩, 주제의 생성 순 으로 이루어졌다. 전사 작업은 연구 참여자들이 쓰기 결과물을 연구자가 정리하 여 요약하였다. 개방적 코딩은 연구 참여자들의 쓰기 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내용 을 함축하고 범주를 찾아내는 작업이다. 다양한 주제어를 도출하여 새로운 표현 들로 연구자가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주제 생성은 주제 발견을 통해 코딩한 자료 들을 재개념화 하여 훈련의 효과성을 제시하였다.

내용분석은 훈련 처치를 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쓰기 결과물을 전사하여 쓰기부진아의 훈련 과정의 내용을 측정 변수에 따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우선,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 참여자의 쓰기 역량과 삶의 질의 변수를 중점으로 자료를 추출하여 사고와 신념의 변화를 찾아내었다. 이어서 참여자들의 생각들이 어떤 유사점이 있는지 발견하고 변수별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참여자들의 생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쓰 기의 양과 질, 쓰기 효능감,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근거한 자료들을 체 계화 하고 분석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