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정변수 변량원 SS df MS F p

전체 음절

측정시기 120275.815 1.433 83949.883 147.220 .000 측정시기*집단 57040.185 2.865 19906.400 34.909 .000

오차(시기) 12254.667 30.000 408.489 전체

문장

측정시기 277.148 2 138.574 39.426 .000 측정시기*집단 137.407 4 34.352 9.773 .000

오차(시기) 105.444 30 3.515

전체 단어

측정시기 11041.778 1.350 8176.456 175.369 .000 측정시기*집단 5459.778 2.701 2021.488 43.357 .000

오차(시기) 944.444 20.257 46.624

다. 구형성 검증의 유의확률에 따라 쓰기의 양 전체 문장 수는 구형성 가정을, 전체 음절 수와 전체 단어 수는 Greenhouse-Geisser 검증을 선택하여 집단 내 집단 쓰기의 양적 변화를 검증하였다. 쓰기의 양적 측정변수의 집단 내 시기의 주 효과 및 측정시기*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표 Ⅴ-2와 같다.

Ⅴ-2. 쓰기의 양적 측정변수의 집단 내 분석 결과

: Greenhouse-Geisser 검정

먼저, 오류가 없는 전체 음절 수에서 측정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F=147.220, p<.001),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는 모두 유의한 통계치를 보여 주고 있다(F=34.909, p<.001). 전체 문장 수는 측정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F=39.426, p<.001)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는 모두 통계치의 값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9.773, p<.001). 전체 단어 수는 측정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 으며(F=175.369, p<.001)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는 모두 유의한 통계치를 보여주고 있다(F=43.357, p<.001). 쓰기 능력의 측정변수인 전체 음절 수, 전체 문장 수, 전체 단어 수의 집단 간 주효과 분석 결과는 표 Ⅴ-3과 같다.

측정변수 집단 측정시기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F p Scheffe

M(SD) M(SD) M(SD)

전체 음절 수

사전 83.5

(13.41) 68.83

(27.32) 82.5 (13.10)

27.393 .000 a>c, b>c 사후 229.5

(17.60)

221 (53.88)

86.17 (11.55) 지연 229.67

(28.22)

219.83 (51.14)

84.17 (10.55)

전체 문장 수

사전 3.83

(1.72) 4.00

(3.16) 2.83 (0.75)

25.553 .000 a>c, b>c 사후 12.17

(2.48) 9.67

(3.67) 3.17 (0.98)

지연 12.50

(2.17) 9.50

(2.35) 3.17 (0.41)

전체 단어 수

사전 28.17 (6.34)

21.83 (9.30)

23.83 (5.53)

26.168 .000 a>c, b>c 사후 68.83

(6.24) 72.00

(16.84) 24.33 (5.96)

지연 69.50 (9.54)

70.50 (14.35)

24.50 (5.86)

Ⅴ-3. 쓰기의 양적 측정변수의 집단 간 주효과 분석 결과

: Greenhouse-Geisser 검정; a=실험집단, b=비교집단, c=통제집단

SRSD-NT 훈련이 쓰기의 양적 측정변수의 집단 간 주효과 분석을 통해 측정 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먼저, 먼저 오류가 없는 전체 음절 수에 서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차이를 보였으며(F=27.393, p<.001), Scheffe 검정을 실 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체 음절 수가 높게 나타나 집 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체 문장 수는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차이를 보였으며(F=25.553, p<.001),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체 문장 수가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체 단어 수는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차이를 보였으며(F=26.168, p<.001),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체

변량원 측정시기 SS df MS F p 전체 음절 수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182206.722 1 182206.722 164.583 .000   사후 vs. 지연 18.000 1 18.000 .059 .811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84698.111 2 42349.056 38.253 .000   사후 vs. 지연 14.333 2 7.167 .024 .977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16606.167 15 1107.078       사후 vs. 지연 4565.667 15 304.378     전체 문장 수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410.889 1 410.889 45.319 .000   사후 vs. 지연 .056 1 .056 .013 .909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199.111 2 99.556 10.980 .001   사후 vs. 지연 .778 2 .389 .094 .911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136.000 15 9.067       사후 vs. 지연 62.167 15 4.144     전체 단어 수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16683.556 1 16683.556 189.922 .000   사후 vs. 지연 .889 1 .889 .046 .834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8340.778 2 4170.389 47.475 .000   사후 vs. 지연 15.444 2 7.722 .397 .679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1317.667 15 87.844       사후 vs. 지연 291.667 15 19.444     단어 수가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SRSD-NT 훈련의 양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내 대비검증(반복)을 실시 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 Ⅴ-4와 그림 Ⅴ-1과 같다.

Ⅴ-4. 쓰기의 양적 측정변수의 집단 내 대비 분석 결과(반복)

0 50 100 150 200 250

사전 사후 지연

오류없는 음절 수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0 2 4 6 8 10 12 14

사전 사후 지연

전체 문장 수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0 10 20 30 40 50 60 70 80

사전 사후 지연

전체 단어 수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그림 Ⅴ-1. 쓰기의 양적 변화에 따른 평균 변화 

위의 표 Ⅴ-4와 그림 Ⅴ-1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측정시기에서 다음 측정 시기에서의 측정변수인 오류 없는 전체 음절 수, 전체 문장 수, 전체 단어 수의 변화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 음절 수는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F=164.583,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측정시기

*집단 상호작용에서는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38.253,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전체 문장 수는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F=45.319,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측정시기*

집단 상호작용에서는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10.980,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단어 수는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F=189.922,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문 장 수는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47.475, p<.001) 사후-지연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쓰기의 질

다음으로 SRSD-NT 훈련이 쓰기 능력의 질적 변화를 사전-사후-지연검사에 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M-ANOVA)를 실 시하였다. 합동대칭성 가정을 충족시키는 전제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Mauchly의 구형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Ⅴ-5와 같다.

Ⅴ-5. 쓰기의 질적 측정변수의 구형성 검증 결과

측정변수 Mauchly‘W df p Greenhouse-Geisser‘s ε

내용 .259 18.918 2 .000 .574

조직 .972 .404 2 .817 .558

표현 .354 14.550 2 .001 .607

전체 .234 20.361 2 .000 .566

Mauchly의 구형성 검증에서 쓰기 능력의 조직을 제외한 내용, 표현, 전체는 p 가 .05보다 작게 나왔으므로 쓰기 능력의 반복측정치의 합동대칭성 가정이 충족 되지 않았다. 구형성 검증의 유의확률에 따라 쓰기 능력의 조직은 구형성 가정을 선택하고 내용, 표현, 전체는 Greenhouse-Geisser 검증을 선택하여 집단 내 집단 쓰기 능력의 질적 변화를 검증하였다. 쓰기의 질적 측정변수의 집단 내 시기의 주 효과 및 측정시기*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표 Ⅴ-6과 같다.

측정변수 변량원 SS df MS F p

내용

측정시기 184.333 1.149 160.470 195.945 .000 측정시기*집단 82.222 2.297 35.789 43.701 .000

오차(시기) 14.111 17.231 0.819

조직

측정시기 122.704 2 61.352 43.939 .000 측정시기*집단 52.741 4 13.185 9.443 .000

오차(시기) 41.889 30 1.396

표현

측정시기 186.704 1.215 153.685 331.645 .000 측정시기*집단 92.185 2.430 37.941 81.875 .000

오차(시기) 8.444 18.223 .463

전체

측정시기 1760.593 1.132 1554.995 398.124 .000 측정시기*집단 798.407 2.264 352.586 90.272 .000

오차(시기) 66.333 16.983 3.906 Ⅴ-6. 쓰기의 질적 측정변수의 집단 내 분석 결과

: Greenhouse-Geisser 검정

SRSD-NT 훈련이 집단 간 주효과 분석을 통해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음 을 보여주었다. 쓰기 능력의 질적 측정변수인 내용, 조직, 표현의 집단 간 주 효 과 분석 결과와 집단 간 차이는 표 Ⅴ-7과 같다.

첫째, 쓰기의 내용은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4.701, p<.001),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쓰기의 내용이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쓰기의 조직은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19.369, p<.001),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쓰기 의 조직이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쓰기 표현은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29.880, p<.001),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쓰기 의 표현이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쓰기 전체는 집단 간 주 효과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3.987, p<.001),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쓰기 의 전체가 높게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Ⅴ-7. 쓰기의 질적 측정변수의 집단 간 주효과 분석결과

측정 변수

집단 측 정 시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F p Scheffe

M(SD) M(SD) M(SD)

내용

사전 5.17

(0.75) 3.50

(0.84) 5.17 (0.75)

34.701 .000 a>c, b>c 사후 10.50

(1.22)

9.50 (1.05)

5.33 (0.52) 지연 10.50

(1.22) 9.83

(0.98) 5.50 (0.55)

조직

사전 5.33

(1.75) 4.33

(1.37) 5.17 (1.17)

19.369 .000 a>c, b>c 사후 11.17

(1.60)

11.17 (1.17)

5.17 (1.17)

지연 11.17

(1.60) 11.17

(1.17) 5.33 (1.37)

표현

사전 3.00

(0.89)

2.83 (1.17)

3.67 (0.82)

29.880 .000 a>b a>c 사후 10.00

(0.89) 7.50

(1.05) 4.00 (1.10)

지연 9.83

(0.75)

7.50 (1.05)

4.00 (1.10)

전체

사전 13.50

(2.66) 10.67

(3.08) 14.00 (2.19)

33.987 .000 a>c, b>c 사후 31.67

(3.14) 28.17

(2.86) 14.33 (1.97)

지연 31.50 (3.08)

28.50 (2.74)

14.83 (2.40)

: Greenhouse-Geisser 검; a=실험집단, b=비교집단, c=통제집단

SRSD-NT 훈련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내 대비검증(반복)을 실시

변량원 측정시기 SS df MS F p 내용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264.500 1 264.500 218.394 .000   사후 vs. 지연 .500 1 .500 3.462 .083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122.333 2 61.167 50.505 .000   사후 vs. 지연 .333 2 .167 1.154 .342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18.167 15 1.211

  사후 vs. 지연 2.167 15 .144 조직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193.389 1 193.389 83.278 .000   사후 vs. 지연 .500 1 .500 .166 .689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78.778 2 39.389 16.962 .000   사후 vs. 지연 1.333 2 .667 .221 .804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34.833 15 2.322

  사후 vs. 지연 45.167 15 3.011 표현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29.389 1 29.389 26.717 .000   사후 vs. 지연 2.722 1 2.722 6.282 .024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23.111 2 11.556 10.505 .001   사후 vs. 지연 1.778 2 .889 2.051 .163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16.500 15 1.100

  사후 vs. 지연 6.500 15 .433 전체

측정시기 사전 vs. 사후 2592.000 1 2592.000 464.701 .000   사후 vs. 지연 .889 1 .889 1.379 .259 측정시기*집단 사전 vs. 사후 1226.333 2 613.167 109.930 .000   사후 vs. 지연 1.444 2 .722 1.121 .352 오차(시기) 사전 vs. 사후 83.667 15 5.578

  사후 vs. 지연 9.667 15 .644 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 Ⅴ-8 및 그림 Ⅴ-2와 같다.

Ⅴ-8. 쓰기의 질적 측정변수의 집단 내 대비 분석 결과(반복)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사전 사후 지연

쓰기-내용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사전 사후 지연

쓰기-조직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사전 사후 지연

쓰기-표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00 10.00 20.00 30.00 40.00

사전 사후 지연

쓰기- 전체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그림 Ⅴ-2 쓰기의 질적 변화에 따른 평균 변화

표 Ⅴ-8과 그림 Ⅴ-2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측정시기에서 다음 측정시기로 의 변화추이를 내용, 조직, 표현, 전체의 측정변수별로 분석하였다. 먼저, 내용은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218.394,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 에서는 사전-사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50.505, p<.001) 사후-지연에서 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은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83.278,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는 사전-사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16.962,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은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26.717, p<.001) 사후-지연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282, p<.05).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는 사전-사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10.505,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적 변화 전체는 측정시기에 따른 사전-사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F=464.701,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 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는 사전-사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109.930, p<.001) 사후-지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에 따라 SRSD-NT 처치 실험집단과 SRSD 처치 비교집단의 매회기 독립 수행한 쓰기 결과물에 따른 쓰기전체 점수 그래프는 그림 Ⅴ-3과 그림 Ⅴ -4와 같다.

그림 Ⅴ-3. 실험집단의 회기별 쓰기의 질 변화

그림 Ⅴ-4. 비교집단의 회기별 쓰기의 질 변화

측정변수 변량원 SS df MS F p

쓰기 효능감

측정시기 8.784 1.194 7.354 25.734 .000 측정시기*집단 4.096 2.389 1.715 6.000 .008

오차(시기) 5.120 17.916 .286 3) 쓰기 효능감

SRSD-NT 훈련이 쓰기 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지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M-ANOVA)를 실시하였다. 합동 대칭성 가정을 충족시키는 전제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Mauchly의 구형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Ⅴ-9와 같다.

Ⅴ-9. 쓰기 효능감의 구형성 검증 결과

측정변수 Mauchly‘W df p Greenhouse-Gei sser‘s ε

쓰기 효능감 .326 15.711 2 .000 .597

Mauchly의 구형성 검증에서 쓰기 효능감은 p가 .05보다 작게 나왔으므로 측정 변수의 반복측정치의 합동대칭성 가정이 충족되지 않았다. 구형성 검증의 유의확 률에 Greenhouse-Geisser 검증을 선택하여 쓰기 효능감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쓰기 효능감의 집단 내 측정시기 의 주 효과 및 측정시기*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표 Ⅴ-10과 같다.

Ⅴ-10. 쓰기 효능감의 집단 내 분석 결과

: Greenhouse-Geisser 검정.

쓰기 효능감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F=25.734, p<.001), 측정시기*집단 상호작용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F=6.000, p<.01).

쓰기 효능감에 대한 집단 간 주효과 분석 결과는 표 Ⅴ-11과 같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