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연구 방법을 적용한다. 첫째, 생애주기 와 정보화에 관한 연구보고서, 학술논문, 정책문건, 웹사이트 검색 등을 통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기술발전이 생애주기상 노년 기 정보 습득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인지 노년학의 이론을 검토하고, 정보화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정보격차, 디지털 리터러시 등)을 살펴본 다. 그리고 연령집단 간의 정보격차, 노년층의 정보 활용 실태와 인식, 정 보화와 노년기 삶에 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한다.

둘째, 국내외 정책 사례를 분석한다. 국내 고령자 대상 정보 접근성 향 상 및 정보화 지원 정책 등을 파악한다. 그리고 일본, 독일의 정책 동향 파악 및 분석을 통해 국내 정책의 시사점을 모색한다. 여기서 국외 사례 는 인구 고령화가 상당히 진전되었으며 고령층의 정보화 지원에 대한 관 심이 높은 국가를 선정한다.

셋째, 이차자료를 이용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부・한국정보화진흥원(2019b)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 를 이용하여 연령집단간(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전자기기 보유실태, 활용능력 등 세대 간의 정보격차 현황과 추이를 파악한다. 그리고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60세 이상 노년층의 정보화 수준을 유형화하고, 유 형별 노년층의 정보 활용과 인식 특성을 분석한다. 이차자료 분석대상은 활용자료의 공개범위에 맞춰 60세 이상 노년층으로 한다.

넷째, 65세 이상 80세 미만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한 다. 연구진이 마련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거주 노 인 20명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한 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로 파악하기 어려운 노년기 정보 취약성과 그

제1장 서론 13

로 인한 생활 속의 어려움, 관련 정책욕구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 행한다.

다섯째, 학계 및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자문을 실시한다. 아직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노년기에 필요한 일상생활 속 정 보 활용의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총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를 실시한다. 연구진은 문헌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일상생활 속 정 보 활용의 범위(안)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계 및 현장 전문가로부 터 항목별로 국민과 노인의 정보 활용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해당 정보 활용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파악한다.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속 정 보 활용의 범위를 재조정한 후 실시한다.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일상생활 속 정보 활용의 범위를 확정한다. 전문가 자문은 연구방향과 연구설계, 결과해석, 정책제언 등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수시로 진행하며, 특히 노년기 디지털 소외로 인 한 일상생활 속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 후반에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정책 제언의 구체성을 파악하기 위 해 업무관계자와의 간담회를 개최한다.

한편 이 연구에서 다루는 분석대상과 정책 범위는 다음과 같다. 이 연 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연구 초반에 연구진은 노년기 의 연령 범위에 대해 1) 현재 노인세대로 한정할 것인지, 2) 현재 노인세 대와 더불어 예비 노인세대를 포함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있었다.

그러나 연구진 논의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예비 노인세대는 현재 노인 세대와 이질성이 크다(예비 노인세대는 베이비부머가 다수를 차지하며, 상대적으로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다)는 점에서 현재 정보 취약성이 가장 낮은 65세 이상 노인에 집중한다면 보다 맞춤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14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수 있다는 점에 도달하였다. 다시 말해 65세 이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교 육수준과 낮은 정보화 인식 등으로 인해, 55~64세 예비 노인과는 다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보 취약성이 가장 낮은 집단 으로서 보다 타겟팅된 연구대상이다.

노인 대상 정보화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은 연령에 따른 특수성 이 존재하며, 발전된 정보화 수준과 기술을 통해 수요자친화성 혹은 고령 자친화성을 제고하는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정책 연구 범위에 포함할 필 요가 있다. 다만 이 연구는 일상생활 속 노인 개인의 PC 및 모바일 등 디 지털 기기의 보유와 이를 이용한 정보 역량과 활용에 집중한다는 것을 밝 힌다. 4차 산업혁명과 ICT의 급속한 확대 등으로 노인복지의 전 분야, 특 히 건강수준이 낮은 노인 대상 돌봄 분야에서의 기술 접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건강수준이 양호하여 지역 사회에 자 립적으로 거주하는 노인의 일상생활 속 정보 활용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돌봄 분야의 정보기술에 대해서는 심도있게 다루지 않는다.

이상의 연구흐름은 〔그림 1-2〕와 같다.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검토정책사례 국내외

분석양적연구질적연구시사점 도출정책

⇑ ⇑

• 전문가 자문 • 전문가 델파이 조사

〔그림 1-2〕 연구흐름도

자료: 연구진 작성

사람을 생각하 는

사람들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