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장에서는 연구의 수행 배경 필요성 목적 및 연구의 범위를 서술하고 전반적인 , , 연구수행 방법을 서술한다 또한 기존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서 . ,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내용과 목적을 제시한다.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1)

일상생활에서 공간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수요에 정책적으로 대응하고자 국가공간정보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국가별로 공간정보를 . 활용하는 수준은 차이가 크며 이러한 수준 격차는 국제협력의 성공에도 영향을 , 미친다 국토교통부는 매년 스마트국토엑스포에서 고위급회담을 개최하여 국제협력 . 아젠다를 발굴하고 해외컨설팅을 통해 국제 공간정보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지금까지 . 추진해 온 국제협력 유형을 살펴보면 공공부문은 국제행사, MOU 체결 초청연수의 , 비중이 높고 민간부문은 공적개발원조기금과 대외경제협력기금을 이용하는 공간정, 보사업의 비중이 높다 공간정보사업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고 공간정보사. , 업의 성과물은 공유협업에 대한 낮은 이해로 인하여 타 부서와의 공동활용이 저조함에 ‧ 따라서 지속가능한 국제협력을 위하여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4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 진출전략 연구

해외 공간정보사업을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추진 되는 관산학연의 활동을 상호 연계하여 시너지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정책수준에· · · . 서 국제 공간정보 협력아젠다를 발굴하고 이를 추진하는 다국가 협력채널을 통해 , 교류협력을 지원하여 개발도상국의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도움이 필요한 나라가 , 공간정보사업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협력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림

< 1-1 공간정보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 공공 민간역할> ( , )

어떤 국가에 축적된 공간정보와 관련된 역량을 조사하고 역량수준별에 맞는 차별화 된 국제협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들의 공간정보 수준을 동일한 기준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공간정보역량을 조사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 이용하여 각 국가들의 공간정보역량의 성장 감소를 모니터링하고 강점과 약점을 / 파악함으로써 공간정보역량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제 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5

연구의 목적

2)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정보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역량 을 강화시키는 지속적인 국제협력 정책체계 마련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 .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공간정보를 생산 공유 활용하는 역량을 개념정립하고· · , 공간정보역량을 조사하는 틀을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역량 현황을 조사하였다 특히 공간정보역량별 산출물들과 역량배양에 사용된 . , 국제협력 수단들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 개발도상국. , 이 보유한 현재의 공간정보역량으로부터 미래 공간정보수요를 제시하고자 하였 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공간정보 국제협력이 보다 활발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 수 있도록 국제협력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 및 방법 2.

연구 범위 1)

본 연구의 조사대상국 범위는 2015년 현재 유엔 공간정보포럼(United Nations 아시아지역 회원 on Global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s, UN-GGIM)

국 개국 중 북한 사모아 피지 쿡제도 등의 개국을 제외한 개국을 대상으로 56 , , , 10 45 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기존 문헌과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정보역량 개념을 정립하. , 고 공간정보역량 조사방법론을 제시한 후 이를 토대로 아시아지역 국가들의 , , 공간정보역량을 전문가들과 함께 조사한다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역량 발전 . 단계별로 맞춤형 국제협력을 지속수행함으로서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국제협력체계로의 전화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6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 진출전략 연구

연구의 방법 2)

공간정보역량 개념정립 및 공간정보역량 측정지표 선정을 위한 기존사례 문헌연구 , 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역량(capacity),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관련 개념을 조사하였다 공간정보지수 관련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관점 개념. , , 지표 등을 조사하여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도출하고 공간정보역량 개념정립을 위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공간정보역량 개념정립을 위하여 문헌연구 전문가 협동연구 사례조사하고 역량, , , 역량개발 관련 개념을 조사하였다 공간정보지수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관점. , 개념 지표 등을 조사하여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공간정보역량 개념정립, . 을 위하여 공간정보 인력양성에 종사하는 학계전문가와 협동연구를 수행한 후 그 , 결과를 공간정보 전문가들로부터 의견 수렴하였다.

공간정보역량 조사를 위하여 국내외 전문가와 협동으로 조사서를 설계하고 조사항 목을 도출하였으며 공동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조사결과의 검토를 위하여 , . ,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문헌자료 및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조사된 자료를 보완검토하 였다.

또 국내외 공간정보정책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정책협의체를 운영하여 연구성과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연구결과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정책활용 방안 및 발전과제 도출을 위한 자문회의 및 세미나 워크숍을 개최하여 / 정책실무자 관련분야 학계 전문가로부터 자문의견을 수렴하고 연구성과를 공유, 하고 향후 지속발전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틀 3)

이 연구는 그림 < 1-2>와 같이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째 선행연구를 , 고찰하여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기술하고 국가발전지수 전자정부지수 공간정보, , 관련 지수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와 전문가 협동연구를 통해 공간정보역. ,

제 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7

량 개념을 정립하였다 공간정보에 대한 개념과 공간정보를 생산하여 소비하는 . 일련의 과정을 정의한 공간정보 생애주기 역량 및 역량개발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 , 후 이를 바탕으로 한 사회가 보유한 공간정보역량을 측정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 을 차원화시켜 공간정보역량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그림

< 1-2 연구수행흐름도>

8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 진출전략 연구

셋째 공간정보역량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역량 조사모형을 설계하고, , 이 모형에 필요한 항목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여 자료를 · 수집 분석함으로써 공간정보역량 분석이 해외진출 지원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회수된 , 19개국 중에서 중국 일본 한국을 제외한 개국 조사서를 타 문헌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보완하, , 16 였다.

넷째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공간정보, . 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해외진출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과 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연구성과를 기술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선행연구 현황 1)

이 연구와 관련 있는 선행연구들은 첫째 역량개발에 관한 연구와 둘째 지수개발, ‘ ’ , ‘ ’ 에 대한 연구 공간정보인프라 준비수준 등 공간정보지수 연구 해외진출관련 연구로 , ‘ ’ , 구분해 볼 수 있다 먼저 역량개발 에 관한 연구는 . ‘ ’ OECD(2006)와 UNDP(2009) 가장 많이 참조되는데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역량개발에 대한 개념과 틀, 2)은 국제원조 기구에서 저개발국의 국가의 발전을 지원하는 기반으로 활용되었다.

의 연구에 따르면 역량 이란 사람 조직 사회가 주어진 임무를 성공

OECD(2006) ‘ ’ “ / /

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이라고 정의하고 역량을 기본역량” , ‘ (generic capacities)’

과 전문역량‘ (specific capacities)’으로 구분한다.3) 경영학이나 행정학에서는 역량‘

2) OECD. 2006. The Challenge of Capacity Development . p11. 「 」

3) 원문 ( ) “capability: the ability of people, organizations and society as a whole to manage their affairs successfully”, “generic capacities : the ability to plan & manage 조직적 변화 및 서비스 개선을 기획 및 관 organizational changes & service improvements(

리할 수 있는 능력)” (OECD. 2006. Capacity Development: Working Towards Good 「 Practice . p4)」

제 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9

을 직무경쟁력 측면에서 정의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역량 개념은

(competence)’ , ‘ ’

나 에서 사용하는 역량 개념에 더 가깝다 에 따르면

OECD UNDP ‘ ’ . UNDP(2009)

역량개발 을 개인 조직 및 사회가 발전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성취해나가

‘ ’ ,

는 능력을 관리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4)

지수개발 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데 국가의 발전정도를 측정하는 국가경

‘ ’ , ‘

쟁력지수 분야 연구 삼성경제연구소 ’ ( 1999, WEF 2004, IMD 2010), 전자정부지 수처럼 국가의 정보화 정도를 측정하는 정보화 지수 분야 연구‘ ’ (ITU 2003, 한국정 보사회진흥원 2003,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4, UN 2005), 국토인프라지수 처럼 국토공간의 개발수준을 측정하는 국토공간 개발수준분야 연구 이용우 ( 김영표 정의홍 가 있다 국가경쟁력 특히 과학기술경쟁력과 2003, 2010, 2012) . (

기술경쟁력을 포함한 발전인프라 경쟁력 과 정보화 수준은 공간정보를 구축활용) ‧ 하는 기반이므로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지표는 공간정보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

기술경쟁력을 포함한 발전인프라 경쟁력 과 정보화 수준은 공간정보를 구축활용) ‧ 하는 기반이므로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지표는 공간정보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