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장에서는 공간정보역량 개념을 정립하였다 먼저 공간정보역량에 관련된 기초개. 념으로 공간정보 역량 및 역량개발을 살펴보았다 이 개념들을 바탕으로 공간정보역, . 량을 정의하고 주체 산출물 효과 측면에서 공간정보를 생산 공유 활용하는데 필요, , , · · 한 역량을 정의함으로써 공간정보역량을 개발하는 틀을 제시하였다 또 공간정보역. , 량을 조사하기 위한 구체적인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한 사회가 공간정보역량을 얼마나 , 보유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초개념 1.

공간정보 1)

공간정보란 지표상의 장소에 관한 정보 어떤 것의 위치에 대한 지식 주어진 , , 위치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지식(M.F. Goodchild 1997)으로 정의한다.23)

국토교통부(2013)24)는 공간정보를 지상 지하 수상 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 · · ·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23) Michael F. Goodchild. 1997. The NCGIA Core Curriculum in GIScience.(Unit002.

What is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1. Opening definitions) http://www.ncgia.u csb.edu/giscc/units/u002/

24) 국토교통부. 2015. ‘국가공간정보포털 공간정보란 과 공간정보법제도 해외석학의 정의를 : ?’ , 재정리함 ’http://www.nsdi.kr/kor/01_nsdiis/sub02_01.do

18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진출전략 연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로 정의한다” .25) 공간정보는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도형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로 구성되는데 그림 , < 2-1>처럼 도형데이터는 지표 지하, , 지상의 토지 및 구조물의 지리적 위치 높이 형상 범위와 같은 시각적인 데이터를 , , , 나타낸다 속성 데이터는 이름 주소 용도 가격 등과 같이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 , , , , , 특성을 나타낸다.

그림

< 2-1 다양한 공간정보들>

출처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 : (http://korealand.tistory.com/559)

공간정보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정보로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공간 에 대한 정보는 인간이 생활을 하는데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 ’

정보로 일상생활이나 특정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행동이나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 기초정보와 기준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주거공간 등의 공간정보는 인간의 생존에 . , 꼭 필요한 요소였으며 특히 인류가 경작을 시작하면서 농작물의 현황 같은 토지기반, 의 재산관계에 대한 정보 물이나 식생 분포와 같은 자원에 대한 공간정보들이 생존을 , 위하여 중요하다.

정보화 사회에 이르면서 공간정보의 형태가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도록 변화되

25)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과( ). 2013.「국가공간정보에관한법률 제 조 정의 제 항」 2 ( ) 1

제 장 공간정보역량 개념정립 2

19

었다 컴퓨터가 발전하기 이전의 지도는 종이에 간단한 지형의 형태 및 지물에 . 대한 정보만을 기록할 수 있었던 반면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자지도로 , 제작되면서 지형의 형태 및 지물과 같은 도형정보 이외에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 ,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 종이지도와 비교하여 . 전자지도는 많은 장점을 지니는데 특히 인터넷이나 다양한 저장 매체를 통해 , 복사 및 배포가 쉽고 파일형태로 제작되어 신축 왜곡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아 , , ,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자지도를 중첩분석하여 복잡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 자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26)

역량 및 역량개발 2)

역량(力量, capacity)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힘 능력“ , (ability 으로 정의하였다 경영학에서는 역량 을 특정한 to do something)” . ‘ (competency)’ “ 상황이나 직무에서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인 특성”27)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직무에서의 경쟁적 우위를 평가하는 것을 , 목적으로 하였다 한편 국제원조기구는 역량 을 보는 관점이 경영학과는 조금 . ‘ ’ 다른데, OECD(2006)는 역량‘ (capacity)’란 사람 조직 사회가 주어진 임무를 “ / /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이라고 정의하여 경쟁 보다는 성공 성취 여부에 ” ‘ ’ ‘ / ’ 초점을 둔다.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데, Lusthaus (1999) 는 다양한 문헌에서 제시하는 역량개발의 유사개념을 검토하여 공통적으로 언급 하는 요소들과 조직 제도와 같은 역량발전에 접근하는 시각을 정리하였다/ . UN

은 년에 의 연구를 바탕으로 역량개발을 개인 그룹이

(UNDP) 1999 Lusthaus “ ,

개별적 및 집단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능을 수행하며

26) 국토교통부. 2015. 국가공간정보포털 알기쉬운 공간정보 재정리‘ ’ . http://www.nsdi.kr/kor/01_nsdiis/sub02_01.do

27) Lyle M. Spencer & Signe M. Spencer, Competency at Work, John Wiley & Sons, Inc., 9p.

20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진출전략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수단과 조건을 개발하는 조직 기관 사회는 , , , 자신의 능력 이라고 정의한다 유엔” . (United Nations, UN)의 식량농업기구(Food 는 역량 개발의 프레임워크를 대상 기능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 , 기술28)이라는 가지 관점에서 제시하였다3 .

의 역량개발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첫째 역량이 축적되는 대상 범위 을

FAO , ( )

그림 처럼 개인 조직 사회환경

< 2-2> , , , 29)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기능측면에서. , 는 역량은 정책수립 및 개혁능력 지식 및 기술의 생성관리교환접근능력 파트너, ‧ ‧ ‧ , 링 네트워크 제휴 및 협력 능력 구현능력 역량개발과정을 관리하고 계획모니( , ) , ( , ‧ 터링평가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능력 으로 구분한다‧ ) .

셋째 기술 측면에서는 역량을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전문기술, 의 보유능력을 나타낸다 공간정보의 경우 측지학 측량학 원격탐사. , , , GIS 등과 같은 주제별 지식에 대한 보유정도와 문제 분석과 솔루션 탐색에 필요한 전문지식 과 기술 등이 기술측면에서의 역량이라 할 수 있다.

그림

< 2-2 역량개발 대상범위의 계층 사회환경 조직 개인> 3 ( , , )

28) FAO. 2015. “The Three Dimensions of the FAO Capacity Development Framdwork”

재정리 (http://www.fao.org/capacitydevelopment/the-three-dimension s-of-the-fao- capacity-development-framework/en/)

29) 개인 역량 은 교육 지식공유 및 네트워킹 역량을 강화하여 개인의 행동과 태도변화로 이 ‘ ’ , 어짐 조직역량 은 조직의 전반적인 기능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구성되는데, ‘ ’ , 조직 내에서 개인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침,

제 장 공간정보역량 개념정립 2

21

공간정보 구축관리활용공유에 필요한 역량

3) ‧ ‧ ‧

공간정보정책을 추진하는 해외의 많은 기관들이 공간정보의 구축공유활용을 ․ ․ 높이기 위하여 공간정보 생애주기‘ 30)’ 접근을 사용31)하는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 언급하는 과정 단계는 공간정보정의 획득 생산 접근 유지관리 평가이다 미국/ , / , , , . 은 연방정부 공간정보관리규정(Circular A-16)에서 공간정보관리역량을 생애 주기(Geospatial Data Lifecycle)를 단계 데이타 정의 목록화 역할명시 획7 ( → ( )→ 득 접근 유지관리 활용 폐기 로 나눈다→ → → → ) .

어떤 사회 내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공간정보를 생산했다면 이것이 목적을 다하여 소멸될 때까지 일련의 과정이 원활하게 순환되어야 하므로 공간정보역량, 을 측정할 때 공간정보 생애주기를 고려한다 공간정보 생애주기에 따라서 공간정. 보역량을 세분화화하면 다음과 같다 기반 제도 구조 인력 역량은 공간정보의 . ( / / ) 생산 공유 활용 등에 필요한 사회문화 제도 조직 전문인력 양성과 같은 기반을 - - · · · 마련하는 능력이다 공간정보 생산 역량은 개인 조직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공간정. / 보를 생산하는 능력이며 공간정보 공유 접근 역량은 공간정보를 공유 접근하는데 / · 필요한 기반을 제공하는 능력으로 일반적으로 개인차원에서 공유 접근 수단을 , / 제공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조직의 역량으로 볼 수 있다 공간정보 기술개발 . 역량은 공간정보 시스템 및 서비스 등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R&D를 수행하고 성과를 확산시키는 역량이고 공간정보 활용 역량은 공간정보를 업무 등의 목적에 , 맞게 활용하는 역량이다.

30) 생애주기(life cycle)란 기획생성부터 소멸하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일정한 ․ 단계별 과정을 말함

31) CEOS WGISS USGS. 2011. “Data Life Cycle models and Concepts”. CEOS. ‧ ‧ WGISS.DSIG.TN01 Issue 1.0.

※ CEOS: Committee 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WGISS: Working Group on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USGS: U.S. Geological Survey

22

글로벌 공간정보역량 비교분석 및 해외진출전략 연구

공간정보역량 개념모델 2.

공간정보역량 정의 1)

는 역량을 개인 조직 사회가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OECD(2006) , ,

수 있는 능력 이라고 정의하고 역량평가는 임무를 수행하면서 목적을 달성시키는’ , 데 필요한 산출물 을 생산하고 산출물을 통해 기대하는 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 ’ , 모니터링 측정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 ) . OECD의 역량개념을 기초로 공간 정보역량을 정의하면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개인 조직‘ , , 사회의 능력 이라고 할 수 있다’ .

공간정보를 이용하는 목적은 개인이나 조직 정부 혹은 민간에 따라서 달라질 , 수 있지만 공간정보 정책관점에서는 궁극적으로 정부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성장, 에 기여하여 삶의 질을 향상32)시키는데 있다 즉 국가발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 , 기 위하여 개인 조직 사회환경은 각각 제 역할에 맞는 공간정보와 관련된 산출물, , 을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공간정보화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능력이라는 관점에서 공간정보역량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행정효율화와 국가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산출물을 생산하

고 목적 달성여부를 평가하는 능력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정책관점에서 공간정’ . , 보역량이란 정부가 정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이슈나 사회 구성원들이 ‘

고 목적 달성여부를 평가하는 능력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정책관점에서 공간정’ . , 보역량이란 정부가 정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이슈나 사회 구성원들이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