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범위와 방법

3.1. 연구범위

연구대상 품목은 농업과의 연계 수준(가공이용 비율), 품질차별화 정도,

1 일본에서는 푸드시스템론적인 측면에서 식품산업의 구조와 식품유통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농업과 식품산업 간의 연계 강화에 대한 연구는 그 렇게 많지 않다.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조건」 (斎藤修, 2001)이 대표적 연구 이며, 농림수산성에서 조직한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추진에 관한 연구회”의 보고서와 농림수산성에서 발표한 연계정책과 관련된 자료가 있다. 斎藤修(2001) 의 연구서는 기 발표된 본인의 논문을 한 곳에 모은 것으로 “푸드시스템에서의 주체간 관계론”과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강화를 위한 이론적 과제”, “양판점 의 경영전략과 산지의 연계조건” 등 주체 간 관계와 연계를 위한 조건 등에 대 해서 이론적, 실증적으로 논하고 있다. 이들 연구는 농림수산성의 농업과 식품 산업의 연계 강화정책 수립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서 론 5

표 1-2. 분석품목 선정 특성 비교

구 분 국산원료

이용수준 차별화 정도 원료공급

능력 가공적성

식품 가공

두부산업 낮음 높음 충분 높음

돈육가공산업 높음 중간 충분 높음

과즙음료산업 낮음 낮음 낮음 낮음

한식 프랜차이즈 산업 보통 낮음 충분

-공급능력, 가공적성 등을 고려하여 두부, 돈육가공(햄, 소시지 등), 과즙음 료 및 한식 프랜차이즈 산업으로 선정하였다.

두부산업은 최근 외국산 GMO 콩 사용 등으로 인한 식품 안전성 관련 이슈가 대두되면서 국산 콩 사용 두부의 시장이 차별화되어 향후 농업과의 연계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돈육가공산업은 도축・가공업체와 돼지 사 육농가 간의 수직적 결합이 상당부분 진행되고 있는 산업으로 타 산업에서 의 농업과의 연계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과즙음료산업은 국산 농산물 사용률이 저조하지만 농협이나 일부 지자 체 산하 가공공장이 산지 농가의 가공사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식 프랜차이즈 산업은 외식산업 중 국산 원료 사용의 당위성이 상대적으 로 높고 어느 정도 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는 산업으로 농업과의 연계성 제 고의 여지가 크다.

3.2. 연구방법

식품산업의 현황과 정책은 통계청, 식품의약품안전청, 농림부, 농수산물유 통공사, 한국음식업중앙회 등 발간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한국은 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식품산업과 농업 간의 연계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대상 품목의 가공업체 및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조사는 방문조사 와 우편조사를 병행하였다. 업체조사 현황은 <표 1-3>과 같다.

6 서 론

표 1-3. 식품가공 및 외식업체 조사 개요

구 분 유효표본수 조사방법 비 고

돈육가공업체 22 방문 및 우편 조사 대기업 포함

과즙음료업체 11 방문 및 우편 조사 농협, 지자체 공사, 대기업 포함

두부업체 33 방문 및 우편 조사 대기업 포함

한식 프랜차이즈

업체 34 위탁조사(방문)

계 100

식품산업의 전후방분석을 통해 대상 품목을 산지에서 소비지(Farm to table)에 이르는 전 단계에 걸친 연구를 시도하였다. 먼저 생산단계에서의 연계방안은 농가조사를 통해서 제시되었다. 농가조사는 양돈농가, 사과 및 감귤농가, 콩 생산농가 10~40호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연계 추진상의 제약요인과 성공요인 등이 조사되었다.

한편 소비자 조사는 국산농산물을 이용한 분석대상 가공품의 차별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는데, 산지 농업과 연계된 식품산업의 발 전을 통한 연계 강화를 유도하는 방안 도출을 위해 필요하다. 조사대상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소비자 패널 475명이며,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 식으로 수행하였다.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2

이 장에서는 식품산업의 환경과 구조를 살펴본 다음, 농업과의 연계 현 황과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식품 소비의 변화로 야기되는 식품산업의 환경 변화를 거시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식품산업의 정의와 범 위 등을 규정하고 산업구조를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산 업연관분석을 통해 농업과의 연계 현황을 살펴보고, 연계를 통해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1. 식품산업의 여건 변화

1.1. 식품 소비 행태의 변화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성장을 통해 국민 소득수준이 향상되었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했으며 핵가족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우리 나라 국민의 식품 소비 패턴의 고급화・간편화・다양화를 촉진하였고, 그 결과 신선편이식품 등의 가공식품과 외식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 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림 2-1>에 나타난 가구당 식품 소비지출 추이를 살펴보면, 전체 식품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신선식품 소비의 비중이 1982년에 77%였던 것이 2006년에는 40%로 크게 줄어든 반면, 가공식품과 외식에 지출된 식품비의

8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0%

20%

40%

60%

80%

100%

1982 1985 1990 1995 2000 2005 2006 년도

신선 가공 외식

그림 2-1. 가구당 식품 소비지출 추이

1) 전 가구를 대상으로 한 가계수지 항목별 자료임.

자료: 통계청 www.kosis.kr 가계조사 (도시, 2인 이상)

비중은 1982년 23%에서 2006년 60%로 2.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의 소비 지출 비중은 1982년 17%에서 2006년 14%로 다소 감 소한 반면, 외식의 소비지출 비중은 1982년 6%에서 2006년 46%로 7.6배 나 증가하였다. 이는 웰빙(well-being) 등으로 인한 건강식품에의 관심 증 대가 정크 푸드(Junk Food)로 불리는 가공식품의 소비를 다소 약화시킨 반 면, 다양성과 편의성, 그리고 건강지향성 등을 충족시키는 외식 상품이 대 거 등장함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1.2. 신선편이 농산물 및 식재료 시장의 성장

식품 소비 행태의 변화를 통해 성장한 외식 시장은 신선편이 농산물 및 식재료 시장 등의 관련 시장의 성장을 유도하였다. 농산물을 1차 가공한 신선편이 농산물 시장 2006년 기준으로 약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9

27,000 28,000 29,000 29,900

89,500 91,500 93,800 95,80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2002 2003 2004 2005

억원

급식업체 일반음식점

그림 2-2. 식재료 시장 규모

1) 일반음식점에는 대형 외식체인점도 포함됨.

자료: CJ푸드시스템 추정치

식재료 시장은 <그림 2-2>와 같이 2005년 시장 규모가 12조원을 넘는 것 으로 추정된다.

특히 일반음식점에 납품되는 식재료시장의 규모가 2002년 8조 9,500억 원에서 2005년에는 9조 5,800억원으로 7% 정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외식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것이다. 급식업체의 경우는 2002년에 2조 7,000억원에서 2005년 2조 9,900억원으로 10% 정도 증가하였다. 이는 학 교급식제가 보급되고 기업들의 단체급식이 확산되는 식소비 패턴의 변화 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1.3. 대형 소매 유통업체의 부상

식품산업의 또 다른 형태인 유통관련산업에서는 도매시장의 기능이 점진 적으로 저하되는 현상(thin market)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대형 소매업체의 성장과 산지와 소매 내지는 산지와 소비자 간의 직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10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년도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11 물량 10,350,534 10,514,267 10,487,775 11,118,937 11,442,996 11,261,341 금액 4,036,497 4,282,715 4,621,414 5,801,381 6,070,848 7,586,337

12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구조

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총 식품 수입액의 경우 2000년 40억 달러 에서 2005년 76억 달러로 약 87.9%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농・임산 물과 가공식품의 수입현황을 비교해 보면 수입건수와 금액에 있어 가공식 품의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농림산업보다 식품가공산업이 향후 더 큰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2000년과 2005년의 농・임산물 수입물량과 금액을 비교해 보면 수입물량은 다소 감소한 반면에 금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농 림산물의 수입품목이 점차적으로 부가가치가 큰 쪽으로 전환되는 추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환경 변화는 첫째, 식품 소비패턴이 고급화・간편화・다양화되어 가공식품과 외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둘째, 대형소매할인점의 성장으로 인해 도매시장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으며, 셋째, 해외식품의 국내 유입 증가로 인해 국내 식품시장 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