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알 아보고,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 술적 조사연구이다.

2.연구 대상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고,임종간호를 한 경험이 있으며 근무기간 6개월 이상이 된 간호사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간호사 126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3.연구 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자가 보고형 설문지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9문 항,죽음에 대한 인식 25문항,임종간호 수행 정도에 관한 19문항으로 4점 척도 총 5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죽음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

죽음에 대한 인식의 측정은 Thorson과 Powell(1988)의 죽음에 대한 인식 도 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하여 사용했던 도구를 이용 하였다.이 도구는 총 25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각 문항에 대해 ‘거의 그렇지 않다’1점,‘대체로 그렇 지 않다’2점,‘대체로 그렇다’3점,‘매우 그렇다’4점을 주는 4점 척도로 측정

하며 부정문항(4,10,11,13,16,17,21,23,25)에 대해서는 역산했다

점수 범위는 최소 25점에서 최대 100점까지이며 평균점수가 75점 이상(항목 평균=3.00이상)은 죽음에 대한 성향이 부정적인 것으로 50점-75점 미만(항목평 균=2.00-2.99점)은 중간수준으로,50점 미만(항목평균1.99이하)은 긍정적인 것으 로 해석하였다.

Thorson과 Powell(1988)이 보고한 Cronbach'sAlpha=.83이였으며 박석춘 이 보고한 Cronbach'sAlpha = .82였다.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7이였다.

2)임종간호 수행 측정도구

임종간호 수행 측정은 박순주(1996)가 만든 임종간호 수행 도구를 수정,보 완하여 사용 하였으며 신체적 영역 8문항(1-8번),심리적 영역 8문항(9-16번), 영적 영역 3문항(17-19번)의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각 문항마다 ‘거의 그렇지 않다’1점,‘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대체로 그렇다’3점,‘매우 그렇다’

4점을 주는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점수 범위는 최소 19점에서 최대 76점까지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종간호 수행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박순주가 보고 한 Cronbach's Alpha = .93이었으며,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78이었다.

4.자료 수집 방법

해당 대학병원 IRB의 승인(승인번호 :2010-0853)을 얻은 후,간호부에 연구 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여 연구자가 직접 해당 간호사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하였다.질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회수 하였다.자료수 집기간은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였으며 126부를 배부하여 126부

전수를 회수,분석 하였다.

5.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19.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은 다음과 같다.

1)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평균,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2)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는 최소값,최대값,평균 과 표준편차로 산출 하였다.

3)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4)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 정도의 차이는 t-test와 One-wayANOVA 및 Scheffetest로 분석 하였다.

5)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Alpha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6.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자를 수도권의 일부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Ⅳ.연구결과

1.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20∼29세가 84명(66.7%),30세 이 상이 42명(33.3%),평균 연령은 28.46±5.36세로 나타났다.결혼에서는 미혼이 94 명(74.6%),기혼이 32명(25.4%)로 나타났다.학력에서는 대학 졸업자가 62명 (49.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전문대학 졸업자가 49명(38.9%),대학원 졸 업자는 15명(11.9%)순으로 나타났다.종교에서는 있음이 75명(59.5%),없음이 51명(40.5%)으로 나타났다.총 임상경력에서는 3년 이하가 46명(36.5%)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10년 이상이 33명(26.2%),4∼6년 32명(25.4%),7년∼9년이 15명(11.9%)순으로 나타났다.근무 분야에서는 외과 중환자실이 38명(30.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응급 중환자실이 30명(23.8%),내과 중환자실이 29 명(23.0%), 신경외과 중환자실이 13명(12.7%), 심혈관계 중환자실이 13명 (10.3%)순으로 나타났다.지인 사망 경험에서는 있음이 91명(72.2%),없음이 35명(27.8%)으로 나타났다<표 1>.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26)

특성 구분 실수(명)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연령 20∼29세 84 66.7

28.46±5.36(세) 30세 이상 42 33.3

결혼 미혼 94 74.6

기혼 32 25.4

학력 전문대 49 38.9

대학 62 49.2

대학원 15 11.9

종교 없음 51 40.5

있음 75 59.5

임상경력 3년 이하 46 36.5

6±4.8(년) 4년∼6년 32 25.4

7년∼9년 15 11.9 10년 이상 33 26.2

근무분야 내과 29 23.0

심혈관계 13 10.3

외과 38 30.2

신경외과 16 12.7

응급 30 23.8

지인사망 없음 35 27.8

있음 91 72.2

계 126 100.0

2.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보면 죽음에 대한 인식은 최저 37점,최고 90점으로 나타났으며,총 평점은 60.47±9.60점으로 나타 났으며,항목 평균평점은 2.33±.77점으로 조사되어졌다.임종간호 수행에서는 최 저는 33점,최고가 69점으로 나타났다.총 평균은 52.57±6.04점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평점은 2.76±.63점으로 나타났다<표 2>.

<표 2>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N=126)

문항 수 범위 최저 최고 총 평균 평균평점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죽음에 대한 인식 25 25∼100 37 90 60.47±9.60 2.33±.77

임종간호 수행 19 19∼76 33 69 52.57±6.04 2.76±.63 신체적 영역 8 8∼32 17 32 24±3.02 3.00±.62 심리적 영역 8 8∼32 11 32 22±2.84 2.76±.56 영적 영역 3 3∼12 3 11 6.40±1.85 2.13±.84

3.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를 보면 전체적 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r=-.118,p=.187).그러나 이를 세부영 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와 신체적 영역에서의 임종 간호 수행정도 사이에 통계적(r=-.175,p=.049)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 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영역에 서의 임종간호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표 3>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N=126) 죽음에 대한 인식

r p

임종간호 수행 -.118 .187

신체적 영역 -.175 .049

심리적 영역 -.064 .475

영적 영역 -.001 .991

4.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를 보면 근무 분 야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신경외과 중환자실이 59.50±10.5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심혈관계 중환자실이 55.15±9.62점, 응급 중환자실이 53.56±9.37점,외과 중환자실이 52.73±7.11점,내과 중환자실이 51.03±9.25점 순으로 나타났다.이런 현재 근무 분야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F=2.54,p=.040).즉,신경외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 호사가 다른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사후 검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연 령,결혼,학력,종교,임상경력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연령에서 30세 이상이 54.23±9.86점,20∼29세가 53.35±8.76점으 로 나타났으며(t=-0.51, p=.851) 결혼에서는 기혼이 55.12±9.50점, 미혼이 53.14±8.98점으로 나타났다(t=-1.05, p=.653). 학력에서는 전문대학 졸업자가 54.28±9.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대학원 졸업자가 53.66±6.36점,대학 졸업자는 53.14±9.37점 순으로 나타났다(F=.21, p=812). 종교에서는 없음이 54.86±7.82점,있음이 2.82±9.87점으로 나타났다(t=2.34,p=.121).임상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이 56.12±8.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년∼6년이 52.65±9.39점, 7년∼9년은 50.86±9.70점 순으로 나타났다(F=1.42,p=.244).지인 사망 경험 여 부를 보았을 때 없음이 56.37±8.96점,있음이 52.60±9.00점으로 나타났다(t=2.10, p=.801)<표 6>.

<표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N=126)

5.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 차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 정도를 보면 연령,결혼여 부,종교,임상경력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연령에서 는 30세 이상이 55.02±6.78점,20∼29세가 51.35±5.26점으로 나타났다(t=-3.33, p=.001). 결혼 여부를 보면 기혼 대상자가 54.75±5.90점, 미혼 대상자가 51.84±5.94점으로 나타났다(t=-2.39, p=.018).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는 경우 53.46±5.77점,없는 경우 51.27±6.25점으로 나타났다(t=-2.02,p=.045).임상경력 에서는 10년 이상이 54.81±6.8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7년∼9년 이하가 53.26±6.64점,4년∼6년 이하가 51.90±4.90점,3년 이하가 51.21±5.62점 순으로 나타났다.이런 총 임상경력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 으며(F=2.57,p=.050)이를 사후 검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학 력,근무분야,지인사망 경험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 데 그 내용을 보면,학력에서는 대학원 졸업생이 55.26±4.9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전문대학 졸업생이 52.36±5.99점,대학 졸업생이 52.09±6.23점으로 나타났다(F=1.73,p=.182).현재 근무 분야에서는 내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 호사의 임종간호 수행 점수가 53.13±3.8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심혈관 계 중환자실이 52.84±7.10점, 응급 중환자실 52.50±5.65점, 외과 중환자실 52.36±6.87점,신경외과 중환자실 52.00±7.53점으로 나타났다(F=.11,p=.977).지 인사망 경험에서는 없음이 53.94±6.38점,있음이 52.05±5.86점으로 나타났다 (F=1.58,p=117)<표 7>.

<표 5>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 차이 (N=126)

6.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 하부영역 차이

이 22.02±3.31점,신경외과 중환자실은 21.00±2.98점 순으로 나타났다(F=.79, p=.539).지인 사망 경험에서는 없음이 22.85±3.02점,있음이 21.80±2.72점으로 나타났다(t=.54,p=.357).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하부영역 중 영적 간호영역에서 학력과 임상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그 내용을 보면,학력에서 는 대학원 졸업생이 7.60±1.2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대학 졸업자는 6.30±1.77점,대학 졸업생이 6.19±1.94점 순으로 나타났다(F=3.75,p=.021).즉, 대학원 졸업자가 다른 학력 군에 비해 영적 영역 임종간호 수행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임상경력에서는 10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가 7.12±2.0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7년∼9년이 6.60±1.24점,4년∼6년과 3년 이하가 각각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하부영역 중 영적 간호영역에서 학력과 임상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그 내용을 보면,학력에서 는 대학원 졸업생이 7.60±1.2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대학 졸업자는 6.30±1.77점,대학 졸업생이 6.19±1.94점 순으로 나타났다(F=3.75,p=.021).즉, 대학원 졸업자가 다른 학력 군에 비해 영적 영역 임종간호 수행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임상경력에서는 10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가 7.12±2.0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7년∼9년이 6.60±1.24점,4년∼6년과 3년 이하가 각각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