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빈번하게 대상자의 죽음을 접하고 간호하게 되는 중환자실 간호 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알아보고,이들 간의 관계를 파 악하여 적극적 임종간호를 수행하고 총체적인 간호를 완성 시키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66.7%가 29세 이하로 이는 2007년 대 한간호 협회에서 조사 한 전국 연령별 간호사 중 29세 이하 46%(대한간호협회 간호정책연구소,2007)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로 전체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 로 낮은 연령대임을 알 수 있으며.교육 정도는 대학졸업 이상이,종교 상태로 는 ‘있음’이 과반 수 이상 이였으며 총 임상 경력은 3년 이하가 가장 많았고, 현재 근무 분야별로는 외과 중환자실,응급 중환자실,내과 중환자실,신경외과 중환자실,심혈관계 중환자실 순이었으며 지인 사망 경험을 묻는 질문에 72.2%

가 ‘없음’이라고 답하였다.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척도에서 항목평균은 2.33±.77점이었는데 이 수치는 Thorson과 Powell(1988)의 해석에 따르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이지 도,부정적이지도 않은 중간 정도의 입장이라 할 수 있다.그러나 본 결과는 간 호사,의사,사회복지사,자원봉사자,성직자,물리치료사,상담사 등 247명을 대 상으로 동일한 도구로 조사 한 윤영주(2009)의 평균 평점 2.19점 보다 높은 수 치로 본 연구 결과가 기존의 연구 결과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 점수가 상대적으 로 낮게 나온 것이다.이러한 상이한 결과는 기존 연구와 본 연구 대상자의 일 반적 특성을 비교 시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66.7%가 29세 이하인 반면 윤영주 (2009)의 연구에서는 79.3%가 40대 이상이었으며 29세 이하는 9.7%에 불과했 다.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 보다 부정적임을 나타내며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낮아 좀 더 부정적 경향을 나타낸 것으 로 보인다.죽음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나온 또 다른 이유는

죽음과 임종간호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빈번하게 임종간호를

본 연구 결과를 볼 때,중환자실 간호사는 임종간호를 빈번하게 수행해야 함

Golfinos,2002;Jennifer,2009)하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생존 하더라도 심한

전문대학 및 대학 학력 군에 비해 임종간호 수행 정도가 높았다.또한 영적 영

적 문제에 그리고 보호자는 심리적,영적인 면에 더 치중한다고 할 수 있다.이 러한 차이는 간호사에게는 업무 상황에서의 스트레스로,가족에게는 가족의 임 종과 관련 된 불행하고,불유쾌한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를 중재할 수 있 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환자실에서 간호사들의 임종간호가 적절히 제공되기 위해서는 간 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개별적 환경 요인을 명확히 규명하여 간호사가 임상에 서 그들의 죽음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확립하고 임종간호 수행 증진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