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결론

본 연구는 빈번하게 대상자의 죽음을 접하고 간호하게 되는 중환자실 간호 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알아보고,이들 간의 관계를 파 악하여 적극적 임종간호를 수행하고 총체적인 간호 중재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근무 경력 6개월 이상,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연구 도구는 Thorson과 Powell(1988)의 죽음에 대한 인식 측정 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 총 25문 항과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 수행 측정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총 19 문항을 사용 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 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은 실수,평균과 표준편차,백분율, t-test와 One-wayANOVA 및 Scheffetest,Pearson'sCorrelation Coefficient 로 분석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20∼29세가 84명(66.7%)으로 가 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28.46세로 나타났다.결혼에서는 미혼이 94명(74.6%), 학력에서는 대학 졸이 62명(49.2%),종교에서는 있음이 75명(59.5%),총 임상경 력에서는 3년 이하가 46명(36.5%),근무 분야에서는 외과 중환자실이 38명 (30.2%),지인 사망 경험에서는 있음이 91명(72.2%)으로 나타났다.

2.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최대 4점에서 평균평점 2.33±.77점으로 보통의 죽음인식을 나타냈으며,임종간호 수행에서는 평균평점은 최대 4점에서 2.76±.63점으로 나타났다.

3.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의 관계를 보면 신체적 영 역과 죽음에 대한 인식(r=-.175,p=.04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 였다.

4.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 중 현재 근무 분 야에 따른 통계적(F=2.54,p=.04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즉,신경외과 중 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다른 근무 분야 간호사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 정도에서 연령,결혼,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즉,연령이 높을수록(t=-3.33,p=.001),미 혼자보다 기혼자가(t=-2.39,p=.018),임상경력이 오래 될수록(F=2.57,p=.050)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았다.

6.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하부영역 수행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즉,대학원 졸업자가 전문대 및 대학 졸업자보다(F=3.75,p=.021),임상경력이 오래 될수록(F=2.68,p=.044) 영적 영역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중간 수준이었지만 부정 적인 편이였으며 임종간호 수행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신체적 영역에 치중되 어 있었다.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 항목 중 신체적 영역에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여 주었다.일반적 특성 중 근무 분야에 따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연령,결혼 여부,임상경력에 따라 임종간호 수 행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제언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임종간호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의 개발을 제언한다.

3)중환자실에서 임종간호 수행 시 높은 임상경력을 가진 간호사가 직접간호 할 수 있도록 인력배치 하는 방안을 병원차원에서 제도화할 것을 제언한 다.

Ref erences

강성례 (2000).임상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 체험.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대구.

강은실,송희완과 서영애 (1998).병원직원들의 임종 및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정신간호학회지,7(1),60-80.

김강미자,전시자와 김희경 (2009).성인간호학.서울:현문사.

김나미 (2007).성인대상자의 중환자실 재입실 및 관련 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김명진 (2007).중환자실 근무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 구.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김수지 (2002).전인간호과학연구소의 구체적 발전전략.전인간호과학연구 학술 모음집,1(1),261-269.

김윤영 (2008).순환기계 중환자실 관상동맥질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불안과 의 관계 연구.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공주.

김정희 (2009).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김혜란 (1995).임종환자간호 경험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경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김희경 (2002).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동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서울.

노선숙 (2010),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및 임종간 호 수행에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노유자,한성숙,안성희와 김춘길 (1995).호스피스와 죽음.서울:현문사.

대한간호협회 간호정책연구소 (2007).간호통계연보.대한간호협회.

문성혁,박상학,김학렬과 김상훈 (2003).한 대학병원 전공의들의 죽음에 대한

시각이 환자진료에 미치는 영향.대한신경정신의학회,42(5),621-627.

윤영주 (2009).호스피스 요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소진과의 관계.한양대학

차영례 (2006).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도 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

Thorson,J,A.& Powell,F.C.(1988)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ofdeath.JournalofClinicalPsychology,44(5),691-701.

Thorson,J,A.(2000).Aging in aChanging Society.New York;Taylor&

Francis.

Williams,J.R.(1991).When suffering is unbearable:physicians,assisted suicide,andeuthanasia.JournalofPalliativeCare,7(2),47-49.

<부록 :설문 동의서>

설문 안내문

연구 제목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연구의 내용과 목적 : 간호사는 죽음의 고통에 당면하여 투쟁하고 있는 환자 를 접할 때 의료인으로서의 한계와 환자의 고통을 피부로 느끼게 됩니다.결국 간호사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죽음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의 요구를 파악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 합니다.

간호사 자신이 죽음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나 자세를 정립하였을 때 간호사는 죽는 이로 하여금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존엄성을 지닌 인간으 로서 생을 조용히 끝마칠 수 있도록 간호해야 하는 책임과 의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임종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중환자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게 되 는 환자들에게 전인적 임종간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간호수행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비밀 보장 :본 연구와 관련된 응답자의 답변은 학문적인 목적으로만 이용 될 것입니다.개인적인 내용은 절대 공개 되지 않을 것이며.개인 신상에 대한 정 보는 일체의 비밀이 보장될 것입니다.

문의사항 :본 연구와 관련하여 응답자는 문의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으며, 언제라도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 관련 하여 질문사항이 있으면 문의 바랍니다.

또한,연구에 참여하는 응답자의 권리에 관한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임상시험 심사 위원회’로 연락 하실 수 있습니다(032-890-3691).

연구 책임자 :인하대병원 내과계집중치료실-A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석사과정 김성은

032)890-2150/011-742-1378

본인은 위의 사실을 충분히 읽고 이해하였으며,본 연구의 설문에 참여 할 것 을 동의 합니다.

응답자 성명 : 서명 : 년 월 일

<부록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인하대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며 동시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에 서 중환자 전문 간호사 과정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저는 중환자실 의 특성상 일반 병동에 비해 빈번하게 접할 수밖에 없는 죽음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죽음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 정도를 파 악하여 임종환자를 간호하고 있는 간호사 여러분들과,임종을 맞이하게 되는 환자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귀하께서 주신 응답은 무기명으로 실시되며 연구 자료로만 사용 될 것 입니다.

각 문항마다 여러분들께서 임상에서 느끼고 경험했던 부분을 성의 있고 솔직하게 답변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9월 지도교수 :유문숙 연구자 :김성은 올림

¤ 다음의 일반적 사항에 빠짐없이 답변 해 주시기 바랍니다.

1.연령 :만 세

2.결혼상태 :미혼 기혼

3.학력 :전문대 졸업 4년제 대학 졸업 대학원 졸업 이상

4.종교 :기독교 천주교 불교 없음 기타

5.임상경력 :총 년 개월

6.현재 근무하고 있는 병원 :

7.현재 근무하고 있는 부서명 :

8.현재 근무하고 있는 부서의 총 근무 기간 : 년 개월

9.귀하는 가까운 가족(배우자,부모,자식,형제)의 죽음을 경험한 경우가 있습

니까?

:예 아니오

문항

13.내세의 존재 여부에 대하여 전혀 관심이 없다.

14.죽은 후에 아무 것도 다시 느낄 수 없다는 생각은 당황스럽다.

15.죽을 때 겪게 되는 심리적 괴로움들이 겁난다.

16.죽은 후에 새로운 삶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다.

17.죽은 후에 아무 일도 할 수 없게 되는 것에 대하

17.죽은 후에 아무 일도 할 수 없게 되는 것에 대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