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 론

3.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연구설계 및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구분, 연구결과 타당성 제고 등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둘째, 영유아 건강지원 사업, 임산부 건강지원 사업 관련 법령을 검토하였다. 모 자보건법의 법 개정 내용을 통해 관련 사업의 추진 변화 흐름을 고찰하였다.

셋째,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내용을 중앙정부 추진사업과 지방자치단 체 추진 사업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넷째, 국내・외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우수 사례를 온라인 조사의 방법으 로 파악하였다.

다섯째, 사업평가를 위해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추진 실적자료를 모아 분 석하였다.

나. 조사연구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평가를 위해 정책수요자 대상 설 문조사, 사업 담당자(보건소) 대상 설문조사, 지자체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 특화

사업 조사, 심층면담 및 FGI(Focus Group Interview) 등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정책수요자 대상 설문조사

가) 개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804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 사업이용 현황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사업이용 경험에 준한 개선요구를 수렴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령구분은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들의 지원 대상 구분이 신 생아와 1세 미만 아동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3세(36개월)를 기 준으로 나뉘는 것들이 많아 1세 미만을 영영아, 1세~3세를 영아, 3~5세를 유아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문가조사 시 그 결과를 전문가 조사 등에 활용하기 위해 6월까지 완료하였다. 조사 표본은 연령별 임의할당 후, 지역규모를 고려하여 비례 할당하였다. 주민등록인구현황에 기초한 모집단은 <표Ⅰ-3-1>과 같다.

<표 Ⅰ-3-1> 모집단 2022.2월 주민등록인구현황(5세 이하)

단위: 명 모집단 1세 미만 1세 이상 3세 미만 3세 이상 취학 전 전체

대도시 97,761 217,674 414,966 730,401

중소도시 112,211 256,004 493,115 861,330

읍면지역 40,494 97,330 182,838 320,662

전체 250,466 571,008 1,090,919 1,912,393

자료: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표 Ⅰ-3-2> 설문조사 표본 배분안

단위: 명

구분 설문조사 표본

대상 1세 미만 자녀 모 1세~3세 미만 자녀 모 3세~5세 자녀 모

대도시 78 114 114

중소도시 90 135 136

읍면지역 32 51 50

전체 200 300 300

임신 및 출산 경험, 자녀 건강관련 경험, 임신부 대상 보편지원 사업 경험, 산모 대상 보편지원 사업 경험, 영유아 대상 보편지원정책 경험, 추가지원 사업 경험, 전문지원 사업 경험, 영유아・임산부 지원 제도에의 평가 및 개선요구 등에 대해

질의하였다. 정책수요자, 영유아 부모 대상 설문지를 <부록 2>로 제시하였다.

<표 Ⅰ-3-3> 영유아 부모 대상 설문조사 개요

구분 내용

조사 대상 전국 영유아 자녀를 둔 모 804명(막내 자녀 기준) 조사 시기 2022년 5월~6월

표본 선정 기준 - 거주지역(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 자녀(1세 미만 자녀 있음, 1세 이상 3세 미만 자녀 있음, 유아 자녀 있음)

조사 내용

임신 및 출산 경험

- 임신・출산경험(자녀 수, 난임시술 임신 경험, 신생아집중치료실 경험) - 임신 확인 시기, 산전진찰 경험 및 만족도, 병원 선택이유

- 산모 건강문제 경험, 태아 건강문제 경험, 건강한 출산 위한 노력 - 출산시기, 자녀의 출생체중, 출산방법, 산전진찰병원과 분만병원 동일여부 - 분만병원, 분만병원 변경 이유, 산후검진 만족도

- 산후우울감 경험 및 지원

- 산후조리 장소, 산후조리 조력자, 산후도우미 지자체 지원여부 - 산후조리원 유형, 산후조리기간, 산후조리비용

- 모유수유 여부, 모유수유 기간 자녀 및 산모 건강관련 경험 - 자녀 및 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 자녀 건강검진, 구강검진, 예방접종 경험

- 산모 건강검진, 구강검진 경험, 임산부 교육 필요내용 - 찾아가는 재가 방문 건강지원사업 희망여부, 비희망 사유 보건소・소아과 이용

- 보건소 이용경험, 보건소 접한 계기, 선호이유, 향후 원하는 서비스 - 소아과 선택기준, 소아과 편도거리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이용 경험

- 표준모자보건수첩,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의료기관 외 출산 시 출산비 지원,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 영유아 건강검진, 영양플러스, 의 료급여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청소년 산모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기저귀분유 지 원사업, 긴급복지 해산비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지원,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취학전 아동실명 예방 사업 - 인지여부, 필요도, 이용경험, 만족도, 개선필요부분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평가 및 개선요구

- 전반적 평가, 부정적 평가이유, 긍정적 평가이유, 가장 필요한 지원내용 - 연령별(만 1세 미만, 만 1세~3세 미만, 만 3세~5세) 강화되어야할 건강지원 - 향후 추진방향, 향후 추진 방법

- 첫만남 이용권 인지여부, 첫만남 이용권 희망사용처

-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별 필요정도/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개선사항 응답자 특성

- 모 연령대, 자녀 수, 막내자녀 연령, 지역규모, 모 취업상태, 배우자 취업상태, 가구소득, 건강 관련 이용 SNS 및 검색채널

조사 방법 온라인을 통한 설문조사(웹조사, 모바일 조사)

나) 응답자 특성

본 연구에서 영유아・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건강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개선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0세부터 취학 전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804명에 대해 조사가 완료되었다. 응답자의 특성은 <표 Ⅰ-3-4>와 같다.

<표 Ⅰ-3-4>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사업평가 및 발전방안 조사 응답자 특성

단위: %(명)

자료: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사업평가 및 발전방안 조사

영유아 자녀가 있는 어머니 804명 중 71.4%는 연령이 30대 이하였으나 40대 이상인 경우도 28.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영유아 자녀가 있는 가구의 총 자녀수 는 1명인 경우가 46.5%, 2명 41.9%로 대부분 1~2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 3명 이상인 경우는 11.6%에 해당하였다. 영유아 자녀의 연령5)은 0세~만1세 미만인 ‘영영아’인 경우 가 25.2%, 만1세~만3세 미만인 영아가 36.9%, 만3세 이상 취학 전인 유아의 비중은 37.8%였다. 영유아 가구의 거주 지역 규모는 대도시 38.6%, 중소도시 44.8%, 농어촌 지역 16.7%로 중소도시의 거주 비율이 가장 높았다. 영유아 어머니 중 취업(전일제/시간 제/육아휴직 포함)중인 경우는 59.0%로 미취업 비율인 41.0%보다 많았다. 영유아 가구

5) 본 연구에서의 연령구분은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들의 지원대상 구분이 신생아와 1세 미만 아동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3세(36개월)를 기준으로 나뉘는 것들이 많아 1세 미만을 영영아, 1세~3세를 영아, 3~5세를 유아로 구분함.

구분 (수) 구분 (수)

전체 100.0 (804)

연령 지역규모

30대 이하 71.4 (574) 대도시 38.6 (310)

40대 이상 28.6 (230) 중소도시 44.8 (360)

자녀 수 농어촌 지역 16.7 (134)

1명 46.5 (374) 취업상태

2명 41.9 (337) 취업 59.0 (474)

3명 이상 11.6 ( 93) 미취업 41.0 (330)

자녀 연령 가구소득

영영아 25.2 (203) 300만원 미만 18.7 (151)

영아 36.9 (297) 300~400만원 미만 28.5 (229)

유아 37.8 (304) 400~500만원 미만 20.9 (168)

500만원 이상 31.9 (256)

의 가구소득은 300만원 미만인 경우가 18.7%, 300~400만원 미만 28.5%, 400~500만 원 미만 20.9%, 500만원 이상은 31.9%로 나타났다.

2) 사업 담당자(보건소) 대상 설문조사

가) 개요

정책 전달체계에서 체감하는 정책 효과 개선요구 등을 수렴하기 위해 영유아・임 산부 건강지원사업 담당자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임 산부 건강지원사업 중 보건소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사업이 많아6) 전국에 256개 보건소 모자보건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업 담당자(보건소) 대상 설문 지는 <부록 3>으로 제시하였으며, 보건소 사업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개요는 <표

Ⅰ-3-5>와 같다.

<표 Ⅰ-3-5> 보건소 사업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개요

6) <부록 1> 국내 영유아・임산부 건강관리 지원사업 내용 중 서비스 전달체계 참조

구분 내용

조사 목적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업무 담당자의 사업 진단 및 개선방안 도출 조사 대상 전국 지자체 보건소 256개 모자보건 담당자 258인

조사 시기 2022년 7~8월

표본선정기준 - 현재 모자보건 업무 담당자

조사 내용

응답자 특성

- 성별, 연령대, 보건분야 자격증, 직급 - 보건소 총 근무기간, 모자보건 업무 담당기간 - 담당 모자보건 업무 내용

- 보건소 소재 지역규모 보건소 일반현황

- 관내 분만가능 산부인과 존재여부, 관내 24시간 이용가능 응급실 존재여부 - 민간의료자원 협력여부 및 협력기관, 협력내용

- 보건소 내 모자보건사업 담당 직원 수

- 보건소 내 모자보건 지소/센터 설치여부, 향후 설치계획, 설치계획 없는 이유 보건소 내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운영 현황

- 현행 중앙정부 모자보건사업 중 지자체 보조 추가지원・연계 사업 존재 여부 - 현행 지원사업 중 보완이 가장 필요한 사업, 보완방향

- 지자체 특화 관련사업 수행여부, 이용자 만족도, 보완필요사업, 보완방향 -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운영의 어려운 점

- 관내 사업 홍보방법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평가 및 개선요구

- 현행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정책목적 달성 기여정도 평가

나) 응답자 특성

본 연구에서는 사업제공자 입장에서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개선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보건소 모자보건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한 결과, 최종 258명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응답자의 특성은 <표 Ⅰ-3-6>과 같다.

<표 Ⅰ-3-6> 보건소 모자보건 담당자 응답자 특성

단위: %(명)

구분 계(수) 구분 계(수)

전체 100.0(258) 전체 100.0(258)

연령 지역규모

20대 26.0( 67) 대도시 30.2( 78)

30대 45.0(116) 중소도시 39.1(101)

40대 이상 29.1( 75) 농어촌 지역 30.6( 79)

보건소 근무 기간 모자보건 담당 업무

1~2년 46.9(12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서비스 35.7( 92)

3~4년 18.6( 48) 임산부 건강관리 26.4( 68)

5~9년 12.8( 33) 임신출산 전문지원 사업 27.5( 71) 10년 이상 21.7( 56) 지자체 특화 사업 등 기타 10.5( 27) 보건 자격증

간호사 65.9(17)

기타 또는 없음 34.1( 88) 자료: 보건소 사업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담당자 258명의 연령을 살펴보면, 20대는 26%, 30대는 45%, 40대 이상은 29.1%로, 20~30대가 71%를 차지하였다. 보건소 근무

구분 내용

- 현행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의 출산 독려 효과 - 현행 중앙사업별 사업 필요도

- 현행 중앙사업별 사업 적절성 및 적절하지 않은 이유

-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부정평가 이유, 긍정평가 이유 - 영유아 임산부 대상 건강지원사업에 가장 필요한 부분

- 임산부 대상 건강지원사업에 가장 필요한 부분

- 영유아 연령별(만 1세 미만, 만1세~만3세 미만, 만3세~만5세) 강화해야할 건강지원 - 영유아・임산부 대상 건강지원사업 향후 추진방향, 향후 추진 방법

- 관련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별 필요 정도 -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 개선 중점사항 - 기타 영유아・임산부 건강지원사업에 대한 자유의견 조사 방법 온라인을 통한 설문조사(웹조사, 모바일 조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