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3. 연구방법

가.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

관련된 국내외 문헌 및 자료, 보건복지부 보육 통계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시 사점을 도출하였다.

나. 설문조사

1) 조사 설계 및 표본

영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보육·교육서비스 이용과 이에 따르는 비용 지출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규모는 전국 2,500가구이었다. 표본 지역은 전국을 대표할 수 있도록 125개 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동과 읍·면으로 나누어 층화 추출하였 다. 전국 16개 특·광역시·도의 동부와 읍·면부 리스트를 1차 추출단위로 선정하 고, 표본 동·읍·면 내에 있는 가구를 2차 추출단위로 선정하였다(표Ⅰ-3-1, 부록 참조).

표본 동·읍·면은 일반과 아파트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 기준 안에서의 가구 의 선정 방법은 단순임의 추출 방법으로 20가구씩 선정하여 조사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에 비하여 아파트 거주 비율이

높다. 따라서 총 125개 지역 중 40개 지역이 비아파트 거주자를, 85개 지역은

조사 내용의 구성은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등 선행 연구를 기초로 초안을 구성한 이후에 사전조사와 내부 검토를 통하여 조사 문항을 수정·보완하는 방 법으로 추진하였다. 사전조사는 전문조사원에 의하여 30개의 영유아 가구를 대 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가구 사항과 아동 개별사항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가구와 부모 특성과 부모의 보육료·교육비 관련 의견을 질문하고, 조사 대상 아동을 파악하 였다. 다음은 대상 아동에 대한 개별 아동조사로, 대상 아동 특성을 조사하고 이어서 서비스 이용 및 이에 대한 비용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서비스는 어린 이집·유치원 이용, 선교원·반일제 이상 학원·지역아동센터·주민센터 등 유사보 육·교육기관, 시간제 교육학원 및 사설 문화센터, 개별·그룹 교육지도 및 학습지 활용 교육, 인터넷·전화 교육, 개별 비공식 보육서비스로 구성하였다.

3) 조사원 교육 및 조사 실시

현장조사는 전문조사업체와 전문조사원이 담당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2년 7~8월이었다.

조사는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 및 부모 사항을 조사하고, 영유아를 모두 개별 조사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시 기준 일자는 2012년 7월 1일이고, 기준 기간은 6월 또는 항목에 따라 지난 3개월 평균이었다.

조사원 교육은 전문조사업체와 연구진이 공동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원 교육 및 조사를 위하여 연구진이 조사지침서를 작성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조사 과정에서 연구진이 현지를 방문하여 조사된 조사표를 검토하고 필 요 시 보완 및 재조사를 요청하였다.

4) 조사 결과

조사 결과는 <표 Ⅰ-3-3>과 같이 조사완료 가구는 동 2,043가구, 읍·면 480가 구로 총 2,523가구이다. 표본에서는 동에서 2,080가구, 읍·면에서 420가구를 조사 하도록 하였으나 실제 조사에서는 읍·면이 표본보다 다소 과다 조사되었다. 아 파트와 일반 가구의 비중도 표본에 비하여 실제로는 아파트 가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조사되었다.

〈표 Ⅰ-3-3〉표본 및 조사 완료 가구수

단위: 가구

지역 표본수 완료수

일반 아파트 일반 아파트

2,080 640 1,440 2,043 549 1,480

읍/면 420 160 260 480 168 326

2,500 1,100 1,400 2,523 717 1,806

조사된 가구의 특성은 <표 Ⅰ-3-4>와 같다. 가구원 수는 4명이 50% 이상으로 가장 많고 맞벌이 가구가 30.4%이다. 자녀수는 2명이 52.2%이며 가족 구성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91.8%이다.

〈표 Ⅰ-3-4〉조사 가구 특성

단위: 명, %

구분 백분율 구분 백분율

가구원수 자녀수

2명 9 ( 0.4) 1명 950 (37.7)

3명 867 (34.4) 2명 1,318 (52.2)

4명 1,285 (50.9) 3명 이상 255 (10.1)

5명 291 (11.5) 가족구성

6명 이상 71 ( 2.8) (한)조부모+부모+자녀 161 ( 6.4)

맞벌이 여부 한조부모+한부모+자녀 12 ( 0.5)

맞벌이 768 (30.4) 부부+자녀 2,316 (91.8)

외벌이 1,735 (68.8) 한부모+자녀 18 ( 0.7)

둘다 무직 18 ( 0.7) (한)조부모+자녀 2 ( 0.1)

부재 2 ( 0.1) 부모+친인척 14 ( 0.6)

전체 2,523 (100.0) 전체 2,523 (100.0)

이와 같은 2,523가구에서 조사된 아동은 모두 3,392명이다. <표 Ⅰ-3-5>는 아 동 3,392명의 특성을 나타낸다.

성별은 남자보다 여자가 다소 많고, 연령은 0세아가 375명이고 5세아가 770명 이며 그 이외 연령은 530~590명으로 대체로 고르게 분포한다. 장애아동은 0.4%

이며, 출생순위는 첫째가 50.0%이고 둘째가 42.2%이며 7.9%가 셋째 이상이다.

다니는 기관은 어린이집이 57.6%, 유치원 20.1%, 기타 기관 6.3%이고 16.0%는 아무 곳도 안 다닌다.

〈표 Ⅰ-3-5〉조사 가구의 자녀 특성

단위: 명(%)

구분 (백분율) 구분 (백분율)

성별 출생순위

남자 1,693 (49.5) 첫째 1,712 (50.0)

여자 1,728 (50.5) 둘째 1,443 (42.2)

연령 셋째 245 ( 7.2)

0세 375 (11.1) 넷째 19 ( 0.6)

1세 530 (15.6) 다섯째 2 ( 0.1)

2세 557 (16.4) 기관유형

3세 598 (17.6) 어린이집 1,971 (57.6)

4세 562 (16.6) 유치원 688 (20.1)

5세 770 (22.7) 기타 반일제 78 ( 2.3)

장애여부 시간제학원 137 ( 4.0)

없음 3,406 (99.6) 미이용 547 (16.0)

있음 15 ( 0.4)

전체 3,392 (100.0) 전체 3,392 (100.0)

주: 연령 7월 1일 기준

조사 대상 아동의 지역규모별 연령 분포를 보면, 읍·면에서 5세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대신에 2~4세 아동 비율은 다소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7월 1일 기준의 연령이다(표 Ⅰ-3-6 참조).

〈표 Ⅰ-3-6〉지역규모별 조사 가구 막내자녀 연령 분포

단위: 명(%)

구분 전체 0세 1세 2세 3세 4세 5세

수 (비율) 수 (비율) 수 (비율) 수 (비율) 수 (비율) 수 (비율) 수 (비율) 전체 3,392 (100.0) 375 (11.1) 530 (15.6 ) 557 (16.4) 598 (17.6) 562 (16.6 ) 770 (22.7) 대도시 1,438 (100.0) 162 (11.3) 225 (15.6) 221 (15.4 ) 250 (17.4 ) 252 (17.5 ) 328 (22.8) 중소도시 1,245 (100.0) 134 (10.8) 204 (16.4) 225 (18.1) 224 (18.0) 194 (15.6) 264 (21.2) 읍·면지역 709 (100.0) 79 (11.1) 101 (14.2) 111 (15.7) 124 (17.5) 116 (16.4) 178 (25.1)

다음 <표 Ⅰ-3-7>은 조사된 가구 아동의 부모 특성이다. 아버지는 35~40세 사 이에 54.2%가 분포하고 4년대 대졸이 52.4%이며 0.9%가 질병 또는 장애 상태이 고 대부분이 취업 상태이다. 어머니는 30~34세, 35~39세 사이에 각각 40% 정도 가 분포하고 4년대 대졸이 38.8%이며 29.5%가 취업 중이고 2.1%가 육아 휴직 중이다.

〈표 Ⅰ-3-7〉조사 가구 아동 부모 특성

단위: 명(%)

구분

구분

수 (백분율) 수 (백분율) 수 (백분율) 수 (백분율)

연령 건강상태

30세 미만 68 ( 2.7) 241 ( 9.6) 건강 2,477 (98.2) 2,491 (98.7) 30~35세 미만 587 (23.5) 993 (39.6) 질병 7 ( 0.3) 5 ( 0.2) 35~40세 미만 1,355 (54.2) 1,004 (40.0) 장애(법정) 13 ( 0.5) 12 ( 0.5) 40~45세 미만 368 (14.7) 272 (10.8) 질병과 장애 3 ( 0.1) 2 ( 0.1) 45세 이상 122 ( 4.9) - - 비해당(부재) 23 ( 0.9) 13 ( 0.5)

학력 출신국

고졸 미만 58 ( 2.3) 86 ( 3.4) 내국인 2,497 (99.0) 2,459 (97.5) 고등학교 졸업 567 (22.5) 777 (30.8) 외국인/이민자 3 ( 0.1) 51 ( 2.0) 전문대학 졸업 459 (18.2) 601 (23.8) 비해당(부재) 23 ( 0.9) 13 ( 0.5) 4년제 대학 졸업 1,322 (52.4) 979 (38.8) 소득

대학원수료 이상 94 ( 3.7) 67 ( 2.7) 199만원 이하 294 (11.7) 139 ( 5.5) 비해당(부재) 23 ( 0.9) 13 ( 0.5) 200~249만원 518 (20.5) 215 ( 8.5)

취업상태 250~299만원 527 (20.9) 165 ( 6.5)

취업 2,472 (98.0) 745 (29.5) 300~349만원 566 (22.4) 129 ( 5.1) 육아휴직 중 1 ( 0.0) 53 ( 2.1) 350~399만원 214 ( 8.5) 53 ( 2.1) 미취업 27 ( 1.1) 1,712 (67.9) 400~449만원 178 ( 7.1) 52 ( 2.1) 비해당(부재) 23 ( 0.9 13 ( 0.5) 450만원 이상 176 ( 7.0) 753 (29.8)

미취업, 부재 50 ( 2.0)

전체 2,523 (100.0) 2,523 (100.0) 전체 2,523 (100.0) 2,523 (100.0)

5) 분석 및 추정

조사 자료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석하였다. 가중치 조정 및 추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가) 가중치 조정

1차 추출단위인 지역의 읍·면동을 확률비례 계통 추출할 경우 불균등 확률 추출에 따른 편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편향을 줄이기 위해 추정과정에서 가중값 조정을 통해 비편향 추정량이 되도록 하였다.

표본 동읍·면을 1차 추출단위로 고려하였기 때문에 각 지역규모별로 표본 동 읍·면을 추출할 때 크기 척도를 0~6세 이하의 영유아 인구수(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조사자료)를 크기척도(MOS)로 활용하였다.

(1) 가중치 계산

여기서 

의 분산 추정치 및 표준오차

  

 

×  (12)

나) 자료 분석

본 조사 자료 분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1인과 가구 단위로 구분하였다. 먼저 아동의 서비스 유형별로 이 용과 비용 실태를 알아보고, 공사 보육·교육 비용을 추정하고 사교육비를 추정 하였는데, 비용 추정은 아동 1인당과 가구단위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둘째, 아동과 가구 단위 총 보육·교육 비용과 사교육비 평균값은 전체 아동, 가구과 비용을 지불한다는 아동이나 가구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비용을 지불 하지 않는 아동을 포함한 전체 영유아나 가구의 평균 비용보다는 비용을 지불 하는 사례만을 대상으로 산출한 비용 수준이 부모가 인식하는 부담 정도에 더 가까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각 추정한 아동 1인당 및 가구 단위 보육·교육 비용과 사교육비의 가구 소득 및 지출 대비 비율을 산출하여 절대 수준과 더불어 가구 경제에서의 비중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넷째,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집단간 차이 검정, 회귀분석 등의 방법 을 사용하였다. 특히 집단간의 차이를 보기 위한 독립변수로는 정책적 개입과 관련성이 있는 아동 연령, 지역규모, 모의 취업여부, 가구소득 등을 사용하였다.

아동연령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입학 기준일인 1월 1일을 기준으로 연령을 환 산하여 사용하였다.

다. 관계자 간담회 및 자문회의

연구 추진 과정에서 관계자 간담회 및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 다. 조사 대상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서비스 항목 선정 시 정부, 학계, 현장 등 관계자 간담회 및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조사 및 분석 결과, 정책 건의 등에 대하여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여 의견 을 수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