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조사대상자 특성

1. 가구와 가구원 특성

가. 가구 특성

1) 가구 규모

본 조사 대상인 영유아 아동이 있는 가구의 가구원 수 규모는 평균 3.8명으로 4명인 가구가 53.5%로 가장 많고, 다음이 3명인 가구가 32.9%, 5명 가구 10.5%, 6명 이상 2.7%의 순이다.

〈표 Ⅲ-1-1〉조사 가구의 가구원 수

단위: %(명), 명

구분 2명 3명 4명 5명 6명 이상 계(수) 평균

전체 0.3 32.9 53.5 10.5 2.7 100.0(2,523) 3.8

지역규모

대도시 0.4 35.4 51.0 10.4 2.9 100.0(1,095) 3.8

중소도시 - 32.1 56.7 9.2 2.1 100.0( 914) 3.8

읍·면지역 0.9 28.7 52.9 13.8 3.7 100.0( 514) 3.9

X2(df)/F 25.0(8)** 3.8*

맞벌이 여부

맞벌이 - 34.7 50.2 10.3 4.9 100.0( 768) 3.9

외벌이 0.3 32.2 55.0 10.7 1.8 100.0(1,735) 3.8

X2(df)/t 23.7(4)*** 1.1

* p< .05, ** p< .01, *** p< .001

가구 규모는 지역규모별로 차이를 보여서 읍‧면은 5명 가구가 13.8%, 6명 이 상 3.7%로 도시에 비하여 높고 마찬가지로 평균도 읍·면은 3.9명으로 도시 3.8 명보다 많다. 맞벌이여부별로는 평균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포 상 맞벌이가구가 3명 가구와 6명 이상 가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표 Ⅲ -1-1 참조).

자녀수는 평균 1.8명이다. 3명 이상 자녀 가구 비율이 읍·면이 12.1%로 도시 보다 많고, 맞벌이보다 외벌이 가구가 비율이 높다. 영아와 유아와 구분하여 자 녀 분포를 보면 영아가 있는 가구가 55.3%이고 유아가 있는 가구가 67.5%이다 (표 Ⅲ-1-2 참조).

〈표 Ⅲ-1-2〉영아와 유아 자녀수

단위: %(명) 구분

자녀수 영아 유아

1명 2명 3명 이상 평균 없음 1명 2명 계(수)

이상 없음 1명 2명

이상

전체 35.5 54.8 9.7 1.8 44.8 47.3 8.0 32.6 60.3 7.2 100.0(2,523) 지역규모

대도시 37.8 52.0 10.2 1.7 45.6 48.2 6.2 32.4 61.2 6.4 100.0(1,095) 중소도시 34.2 57.7 8.1 1.8 39.1 50.1 10.8 36.7 55.4 7.8 100.0( 914) 읍·면지역 32.4 55.5 12.1 1.8 55.3 38.4 6.3 23.5 68.8 7.7 100.0( 514) X2(df)/F 12.0(4)* 2.0 42.5(4)*** 27.0(4)***

맞벌이 여부

맞벌이 39.7 51.3 9.0 1.7 49.9 45.3 4.9 33.9 58.9 7.3 100.0( 768) 외벌이 33.5 56.6 9.9 1.8 42.6 48.1 9.4 32.2 60.7 7.1 100.0(1,735) X2(df) 8.6(2)* -68.4*** 19.4(2)*** 0.8(2)

* p< .05, *** p< .001

2) 가구 유형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형태는 대부분이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고 조부 모 동거 가족은 5.7%에 지나지 않으며 한부모 가족 비율도 0.7% 정도이다. 조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전체적으로는 0.1%이다. 지역규모별로는 읍‧면은 3세대 이상 가구가 8.7%로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고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수는 낮다.

조사대상 가구의 부모와 조부모와의 동거여부를 보면, 부와 모의 동거 비율 은 98.8% 이상이다. 조부모 동거 가구는 5.6%이다. 지역적으로는 읍‧면이 조부

모의 동거 비율이 8.7%로 도시보다 높다. 맞벌이 여부별로 보면 맞벌이가구의

〈표 Ⅲ-1-4〉총 가구소득 분포 및 평균

세 이상 중에서는 5세와 3, 4세 유아 가구가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5)

영아와

고, 자가 이외 가구의 주택소유 비율도 10.3%로 높다.

〈표 Ⅲ-1-6〉주택 소유형태

단위: %(명)

구분 주택 소유형태 자가 이외 중

주택 소유 비율

자가 전세 전‧월세 월세 무상 계(수) 소유 (수)

전체 44.3 42.4 10.2 0.3 2.8 100.0(2,523) 8.5 (1,421) 지역규모

대도시 39.9 51.6 4.7 0.3 3.5 100.0(1,095) 7.2 ( 658) 중소도시 49.5 36.3 12.8 - 1.4 100.0( 914) 9.6 ( 473) 읍·면지역 43.5 33.0 18.4 0.9 4.2 100.0( 514) 9.9 ( 290)

X2(df) 136.4(8)*** 2.7(2)

맞벌이여부

맞벌이 48.6 37.9 10.3 0.1 3.1 100.0( 768) 10.3 ( 399) 외벌이 42.7 44.3 10.1 0.3 2.6 100.0(1,735) 7.9 (1,010)

X2(df) 9.7(4)* 1.9(1)

* p< .05, *** p< .001

6)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

조사대상 영유아 가구 중 0.8%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대상자로 조사되었다. 지역규모별로는 읍·면이 1.2%로 대도시 1.0%, 중소도시 0.4%보다 비율이 높다.

본 조사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적용 대상자가 실제 분포보다 낮게 조사 된 것을 알 수 있다.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 한 수급대상자 비율이 2.3%이었다.

〈표 Ⅲ-1-7〉국민기초생활수급 여부

단위: %(명)

구분 급여 비급여 계(수) X2(df)

전체 0.8 99.2 100.0(2,523)

대도시 1.0 99.0 100.0(1,095)

3.2(2)

중소도시 0.4 99.6 100.0( 914)

읍·면지역 1.2 98.8 100.0( 514)

나. 가구원 특성

이다. 부와 마찬가지로 모도 읍‧면지역은 대학 이상이 과반수 정도로 도시와 많

3) 부모의 취업

영유아 부모의 취업

6)

은 부는 1.1%, 모는 70.1%가 미취업으로 조사되었다. 부 의 취업은 지역규모나 막내자녀연령과 같은 가구의 특성별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모의 취업은 특성별 차이가 있다.

〈표 Ⅲ-1-12〉영유아 부모의 취업상태

단위: %(명) 구분

취업 육아휴직 미취업 비해당 취업 육아휴직 미취업 비해당 계(수)

전체 97.9 - 1.1 0.9 27.2 2.3 70.1 0.4 100.0(2,523)

지역규모

대도시 97.4 - 1.2 1.4 28.6 1.8 69.2 0.5 100.0(1,095)

중소도시 99.0 - 1.0 - 26.5 3.6 69.7 0.2 100.0( 914)

읍·면지역 97.0 0.2 1.2 1.6 25.3 0.7 73.0 0.9 100.0( 514)

막내자녀연령

0세 98.0 0.2 1.6 0.2 19.0 7.7 73.3 - 100.0( 630)

1세 98.9 - 0.8 0.2 23.4 0.4 76.0 0.2 100.0( 492)

2세 98.5 - 1.2 0.2 30.9 1.0 66.9 1.2 100.0( 401)

3세 97.7 - 0.5 1.8 31.7 0.5 67.6 0.3 100.0( 392)

4세 98.1 - - 1.9 32.6 0.3 66.5 0.6 100.0( 313)

5세 95.2 - 2.6 2.2 34.9 0.4 63.9 0.7 100.0( 276)

모의 취업률의 지역규모별 차이를 보면 중소도시에서 모의 취업률이 육아휴 직 중을 포함하여 30.1%로 읍·면 26.0%에 비하여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육아휴 직 중 비율도 중소도시가 3.6%로 다른 지역보다 높다.

최연소아동 연령을 중심으로 보면 최연소아동이 0세인 모의 취업률은 육아휴 직 중을 포함하여 26.7%, 1세 23.8%이고 2세가 31.9%, 3세 32.2%, 4세 32.9%, 5 세 이상 35.3%로 막내자녀 연령이 높아지면서 어머니의 취업률이 점차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Ⅲ-1-12 참조).

막내자녀가 0세아 모의 취업률이 1세아보다 높은 것은 그간의 타 조사와 비 교하여 다소 의외의 결과이다.

6) 학생은 미취업으로 분류하였음.

4) 부모의 직종

5) 취업 부모의 근로시간

〈표 Ⅲ-1-15〉영유아 모의 근로시간 분포와 평균

〈표 Ⅲ-1-16〉영유아 부의 소득 분포와 평균

다. 아동 특성

1) 인구 및 건강 특성

다음 <표 Ⅲ-1-18>은 보육·교육 대상 아동의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지역과 아동연령별로 성별, 출생순위 및 건강상태 비율을 제시하였다.

성별은 전체적으로 남자 50.0%, 여자 50.0%이다. 읍·면에서 여아의 비율이 53.2%로 도시보다 높다.

아동 출생순위는 첫째 49.2%, 둘째 43.3%, 셋째 6.9%, 넷째 이상 0.7%이다.

지역규모별로 살펴볼 경우, 도시로 갈수록 첫째아의 비율이 높고 읍‧면지역이 셋째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지역규모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상태는 0.4% 정도만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동연령 차이는 거의 없다.

〈표 Ⅲ-1-18〉아동 특성

단위: %(명) 구분

성별 출생순위 장애여부

첫째 둘째 셋째 넷째 계(수)

이상 장애

있음 장애

없음

전체 50.0 50.0 49.2 43.3 6.8 0.7 0.4 99.6 100.0(3,421) 지역규모

대도시 50.9 49.1 50.0 42.2 7.0 0.8 0.1 99.9 100.0(1,443) 중소도시 50.4 49.6 50.2 43.6 5.6 0.6 0.4 99.6 100.0(1,267) 읍·면지역 46.8 53.2 44.9 45.9 8.6 0.5 0.7 99.3 100.0( 711)

X2(df) 2.9(2) 10.5(6)

-아동연령

0세 50.9 49.1 30.3 58.7 10.3 0.6 0.3 99.7 100.0( 642)

1세 48.9 51.1 44.2 45.5 9.6 0.8 0.4 99.6 100.0( 553)

2세 49.9 50.1 56.0 38.2 4.7 1.2 0.3 99.7 100.0( 578)

3세 50.7 49.3 52.0 41.8 6.0 0.2 0.5 99.5 100.0( 602)

4세 49.2 50.8 60.6 35.2 3.6 0.5 0.4 99.6 100.0( 542)

5세 이상 49.7 50.3 54.3 38.5 6.3 0.8 0.2 99.8 100.0( 475)

X2(df) 0.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