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B초등학교 1학년, 3학년, 5학년 중에 서 선정되었다. 피험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먼저 학년별로 3개 학급을 무선 표집 한 뒤, 표집된 학급의 여학생에게만 장 의존- 장 독립 인지양식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학년은 75명, 3학년은 72명, 5학년은 73명이 인지양식검사를 받았다. 각 각의 피험자가 획득한 점수를 토대로 해서, 학년별로, 상위 12명을 장 독립 학생 으로, 하위 12명을 장 의존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연구 대상은 1학년 장 독립 12명 장 의존 12명, 3학년 장 독립 12명 장 의존 12명, 5학년 장 독립 12명 장 의존 12명으로 총 72명이었다.

다차원 변별학습과제 수행에서 문제해결 전략발달을 조사한 이전의 연구들 (Schupher & Gholson, 1980 : Whitebread, 1996)에서, 남 여라는 성 차이에 의한 결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Whitebread(1996)의 연구를 토대로 한 본 연구에서는 그가 사용한 남 여라는 성 차 변인 대신에 인지양식이라는 개 인차 변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자료의 내용이 장신구에 관련된 것이므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관심과 이해력이 훨씬 높을 것으로 생각 되어 여학생만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2. 실험자료

다차원 변별학습과제 수행에서 아동의 전략적 사고를 밝혀보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자료는 다차원 변별학습과제와 인지양식검사이다.

가. 다차원 변별학습과제

다차원 변별학습과제 수행에서 아동의 전략적 사고를 밝혀 보기 위하여 이야 기와 게임 상황으로 구성된 과제를 사용하였다. 다차원 변별학습과제란 여러 가 지 차원의 자극으로 구성된 변별학습과제로서, 주된 특성은 귀납적 추론과제라는 것이다. 다차원 변별학습과제가 귀납적 추론과제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 과제의 해결 다시 말하면 개념획득을 위해서는 추론과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Holland 등(1986)에 의하면, 학습자는 추론과정을 통해 상호 관련된 규칙의 군을 만들어서 개념을 획득하며, 그러한 추론규칙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전략 은 발달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문제해결 과정에서 전략적 사고에 대한 분석을 목 적으로 하는 본 연구에서 이 과제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차원 변별학습과제의 또 하나의 특성은 이야기와 게임 상황으로 구성된 점이다. 특정 영역의 지식적 기초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러한 일상적 이야기 과제는 일반 영역의 전략발달을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nglish (1992)는 훌륭한 문제해결자란 특정 과제의 전략을 발달시키기 위해 특정 영역의 지식에 일반 영역의 전략을 결합할 수 있는 해결자라고 주장하였다. 이러 한 주장으로 인해, 일반 영역의 전략발달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차원 변별학습과제 유형은 표준과제, 부정적 정보과제, 부적절한 정보과제 세 유형이다. 부정적 정보과제와 부적절한 정보 과제는 표준 과제를 변형한 과제들이다. 부정적 정보과제는 피험자가 특정 개념을 확인함에 있어 그 개념의 부정적 단서가 제시될 때 긍정적 단서를 유추해서 특정 개념을 확인해야 하는 과제이다. 부적절한 정보과제는 피험자가 특정 개념을 확인함에 있어 부적절한 즉 불필요한 여분의 단서가 제시될 때 그 단서를 제외시키고 적절

한 단서에 초점을 맞추어 특정 개념을 확인해야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 부

음과 같다.

표준과제란 한 카드에 쌍둥이 소녀 즉 영희와 순희가 각각 네 품목의 장신구들 을 서로 짝지어지게 하고 있는 카드 16장이 한 묶음인 그림카드로 문제를 제시한 과제이다. 여기서 장신구를 짝지어지게 한다는 것은 한 소녀가 왕관을 하고 있으 면 다른 한 소녀는 야구모자를 하고 있는 것이다. 아동은 표준과제유형의 문제 두 문제를 해결해야 하므로 표준과제에서 사용된 실험자료는 16장으로 된 카드묶 음 두 개이다. 먼저 한 묶음은 안경- 색안경, 방울머리띠- 리본머리띠, 곰 뱉지- 나 비 뱉지, 버클벨트- 매듭벨트라는 장신구들로 다양하게 결합된 카드묶음이고, 나머 지 한 묶음은 왕관- 운동모자, 구슬목걸이- 메달목걸이, 구두- 운동화, 긴 풍선- 둥근 풍선이라는 장신구들로 다양하게 결합된 카드묶음이다(부록 1).

여기서 한 묶음의 표준과제가 16장인 것은 장신구 네 품목으로 만들어낼 수 있 는 장신구의 결합형태가 총 16가지이기 때문이다.

부정적 정보과제란 한 카드에 쌍둥이 소녀 중 한 소녀만이 네 품목의 장신구들 을 하고 있는 카드 16장이 한 묶음인 그림카드로 문제를 제시한 과제이다. 그런 데 피험자는 이 과제유형의 문제도 두 문제를 해결해야 하므로 이 과제에서 사용 된 실험자료도 16장으로 된 카드묶음 두 개이다. 먼저 한 묶음은 한 소녀가 버 클벨트- 매듭벨트, 곰 뱉지- 나비 뱉지, 구슬목걸이- 메달목걸이, 왕관- 운동모자라는 장신구들로 다양하게 결합된 카드묶음이고, 나머지 한 묶음은 안경- 색안경, 방울 머리띠- 리본머리띠, 구두- 운동화, 긴 풍선- 둥근 풍선이라는 장신구들로 다양하게 결합된 카드묶음이다(부록 2).

부적절한 정보과제란 한 카드에 쌍둥이소녀 즉 영희와 순희가 각각 여덟 품목 의 장신구들을 하고 있는 카드 16장이 한 묶음인 그림카드로 문제를 제시한 과제 이다. 여기서 쌍둥이가 하고 있는 장신구 여덟 품목 중 네 품목은 영희와 순희가 서로 짝지어지게 하고 있는 장신구들이고, 나머지 네 품목은 서로 동일하게 하고

있는 장신구들이다. 피험자는 이 과제 유형의 문제도 두 문제를 해결해야 하므로 이 과제에서 사용된 실험자료도 16장으로 된 카드묶음 두 개이다. 먼저 한 묶음 은 영희와 순희가 방울머리띠- 리본머리띠, 구슬목걸이- 메달목걸이, 버클벨트- 매 듭벨트, 구두- 운동화는 서로 짝지어지게 하면서 운동모자, 안경, 나비 뱉지, 둥근 풍선은 쌍둥이가 똑같이 하고 있는 카드들로 이루어진 묶음이다. 나머지 한 묶음 은 영희와 순희가 왕관- 운동모자, 안경- 색안경, 곰 뱉지- 나비 뱉지, 긴 풍선- 둥근 풍선은 서로 짝지어지게 하면서 리본머리띠, 구슬목걸이, 매듭벨트, 운동화는 쌍 둥이가 똑같이 하고 있는 카드들로 이루어진 묶음이다(부록 3).

8차원의 이 과제에서 실험자료 한 묶음이 그림카드 16장인 것은 카드 속의 영 희와 순희가 서로 짝지어지게 하고 있는 장신구가 네 품목이므로 만들어낼 수 있 는 장신구들의 결합형태가 총 16가지이기 때문이다.

나. 인지양식검사

다차원 변별학습과제 수행에서 아동의 전략적 사고를 밝혀보고자 한 본 연구에 서 아동의 개인차 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험자들에게 인지양식검사를 실시하 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지양식검사는 장 의존성- 장 독립성검사로 Karp와 Kanstadt (1963)가 개발한 CEFT (Children `s Embedded Figure T est )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Karp와 Konstadt의 CEFT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CEFT 에서 색깔을 없애고 임의로 문항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Karp와 Konstadt의 CEFT 는 개인용 검사이나 본 연구에서는 집단검사로 사용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지양식검사에 대해 신뢰도 검사를 하였다.

신뢰도 검사는 본 연구대상 학교가 아닌 인천 B초등학교에서 실시하였다. 1학년, 3학년, 5학년 전체 학급 중에서 각 한 학급씩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선정된 학급

의 여학생들에게 본 연구에서 사용한 CEFT를 1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 과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933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지양식검사는 세모 모양과 집 모양의 단순모형을 복잡한 그림 속에서 찾아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시간은 6분이고, 검사 문항 수는 세모 모양이 10문항, 집 모양이 10문항으로 총 20문항이며 20점 만점으로 채점하 였다(부록 4).

3. 실험절차

본 연구의 실험절차는 과제연습과 실험상황 두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은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가. 과제연습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차원 변별학습과제는 이야기와 게임상황으로 된 다차원 변별학습과제이다. 이 과제연습은 실험자료와 동반되는 이야기에 익숙해질 수 있 도록 하기 위함이다. 과제연습에 사용된 실험자료는 장신구가 전혀 없이 원피스 만 입고 있는 소녀 두 명이 그려진 카드 두 장과 여덟 품목의 장신구들이다.

과제연습은 실험자가 피험자에게 일란성 쌍둥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면서 시 작된다. 이야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쌍둥이는 영희와 순희라고 하며, 이 둘은 너 무 비슷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항상 혼동한다. 그래서 쌍둥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어머니가 구별되는 장신구를 사주기로 했다. 그런데 쌍둥이는 매일매일 새 날이 되면 서로 절대로 바꾸지 않는 장신구 하나를 정하고, 나머지 장신구는 수시로 바꾸어 봄으로써 학교 친구들이 자신들을 혼동하도록 하는 장난을 치기로 약속한

다. 다시 말하면 그들 친구들이 누가 누구인지를 알아맞히기 시작하면 그때마다 수시로 장신구를 바꾸어서 친구들이 혼동하도록 하는 장난을 치는 것이다. 이때 과제 연습에서의 게임은 영희가 계속 바꾸지 않고 몸에 하고 있는 장신구 즉 쌍

다. 다시 말하면 그들 친구들이 누가 누구인지를 알아맞히기 시작하면 그때마다 수시로 장신구를 바꾸어서 친구들이 혼동하도록 하는 장난을 치는 것이다. 이때 과제 연습에서의 게임은 영희가 계속 바꾸지 않고 몸에 하고 있는 장신구 즉 쌍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