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종속변인은 조직변화 수용성이며, 독립변인은 개인 및 조직 변인이다. 개 인 변인은 인구통계적 변인, 통제위치, 개방성, 자기효능감, 주인의식, 직무안정성, 변화에 대한 기 대 등으로 구성된다. 조직 변인은 대학규모, 대학소재지,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 관계지향문화, 조 직신뢰, 변화관련정보 접근성, 참여적 의사결정, 조직변화수준 등으로 구성된다.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을 종합적으로 구명함에 있어 개인 변 인은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며, 조직 변인은 조직을 분석단위로 한다는 점에서 개인 수준(Level 1)과 조직 수준(Level 2)이라는 위계적 수준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개인 변인은 소속된 집단에 관계없이 개인별로 독립적인 특성(점수)을 갖는 변인을 의미하며, 조직 변인은 동일한 집단에 소속된 구성원들은 상호 종속적인 반면 다른 집단의 구성원들과는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 변인 을 의미한다(Raudenbush & Bryk, 2002). 즉, 개인 변인은 전문대학 교수의 내재적 특성으로 개 인별로 서로 독립적인 특성을 갖고, 개인별로 서로 다른 점수를 갖게 되는 반면, 조직 변인인 대학규모, 대학소재지,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 관계지향문화, 조직신뢰, 변화관련정보 접근성, 참여 적 의사결정, 조직변화수준 등은 동일한 전문대학에 소속된 교수들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며, 다른 전문대학에 소속된 교수와는 다른 점수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개인 변인은 개별 교수에 따 라 상이한 값을 갖는 자료이며, 조직 변인은 전문대학별로 하나의 값을 갖는 자료로 구성된다.

Raudenbush & Bryk(2002)는 이러한 2수준 구조의 위계를 가진 데이터를 분석하는 일반적인 회귀모형의 종류를 제시하였는데, 우선 위계적 회귀모형 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무 선효과 일원변량분석 모형(One-way ANOVA with Random Effects)이 유용하다고 하였다. 이 모형은 집단 내 모형과 집단 간 모형에 독립변인을 투입하지 않고, 종속변인과 집단 구분만 있는 최소 모형으로 위계모형 분석에 있어 종속 변인이 2수준의 위계구조로 이루어진 각 변인들에 의 해 설명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Raudenbush & Bryk은 2수준 변인과 무작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모델로 평균결과 회귀모형(Means-as-outcomes Regression)을, 1수

준 변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모델로 무선효과 회귀계수 모형(Random-coefficients Regression Model)을 제시하였으며 1수준 변인과 2수준 변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모델로 절 편기울기-결과 모형(Intercept-and Slopes-as-outcomes)을 제시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영향력을 구명하기 위해 모형을 순차적으로 설계하였다. 우선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 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조직 변인을 고려하는 것이 유의미할 것이 확인하기 위한 모형으로 무 선효과 일원변량 분석 모형(1모형)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변인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무선효과 회귀계수 모형(2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조직 변인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절편기울기-결과 모형(3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Ⅲ-1]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및 조직변인의 위계적 관계 구명을 위한 순차적 HLM 모형 설정

구체적으로 1모형인 무선효과 일원변량 분석 모형은 집단 내 모형과 집단 간 모형에 독립변인 을 투입하지 않고, 종속변인인 조직변화수용성과 집단 구분만 있는 최소 모형이다. 이 모형은 조 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변량 분할과 집단 내 상관계수(ICC)를 도출하여 조직 변화 수용성이 조직(전문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그림 Ⅲ-2]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변량 분할을 위한 무선효과 일원변량분석 모형(1모형)

2모형인 무선효과 회귀계수모형은 집단 내 모형에 개인 변인인 변화수용자 특성(인구통계적 변인, 통제위치, 개방성, 자기효능감, 주인의식, 직무안정성, 변화에 대한 기대) 변인을 투입하고, 집단 간 모형에는 독립변인을 투입하지 않는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 모형은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변인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설정하였다([그림 Ⅲ-3] 참조).

[그림 Ⅲ-3]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개인 변인의 효과 분석을 위한 무선효과 회귀계수 모형(2모형)

3모형인 절편기울기-결과 모형은 집단 내 모형에 개인 변인 중 기질적 변인과 대학관련 인식 변인을 투입하고, 집단 간 모형에 조직 변인(대학규모, 대학소재지,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 관계지 향문화, 조직신뢰, 변화관련정보 접근성, 참여적 의사결정, 조직변화수준)을 투입한 모형을 설정하 였다. 연구모형은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관한 조직 변인의 효과, 개인 변인과 조직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설정하였다([그림 Ⅲ-4] 참조).

[그림 Ⅲ-4]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에 대한 조직 변인의 효과 및 개인과 조직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위한 절편기울기-결과 모형(3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