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도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37)

1. 자아존중감 척도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검사(Self Esteem Inventory; SEI)를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번안하고, 오경준(2000)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전체 48문항으로 되 어 있는데, 이중 일반적 자아존중감(24문항)은 자기 자신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평가 이며 아동 자신의 모든 부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 근거한 것이고, 사회적 자아존중 감(8문항)은 타인에 대한 친구로서 자기 자신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다. 가정적 자아존 중감(8문항)은 가정생활에서 자신의 가치가 얼마나 안정되고 있으며 부모와의 관계가 얼마나 원만한가에 대한 평가적 태도이며, 학업적 자아존중감(8문항)은 학업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학교생활에서 자신이 느끼는 유능감을 나타낸다. 각 문항은 3점

영역 하위요인 해당문항번호 문항수 ɑ

또래관계

긍정적 또래관계

1,4,7,8,11,12,15,16,

17,18,21,22 12 0.95 부정적

또래관계

2*,3*,5*,6*,9*,10*,13*,

14*,19*,20*,23*,24*,25 13 0.90

25 0.94

의미한다. 부정적인 문항 5, 6, 29, 31, 35, 37, 40, 44번 문항은 역산으로 처리하였 으며 오경준(2000)의 연구에서 나타난 Cronbach′s ′ɑ값은 <표 5>와 같다.

<표 5> 자아존중감 척도의 하위변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하위척도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Cronbach′s ′ɑ

일반적 자아존중감

1,2,4,5,8,11,14,15,16,17, 18,20,22,25,27,28,29,32,3

4,35,39,41,45,48

24 .87

사회적 자아존중감 6,7,10,12,23,30,37,43 8 .56 가정적 자아존중감 3,13,19,24,31,38,42,44 8 .82 학업적 자아존중감 9,21,26,33,36,40,46,47 8 .74

총합 48 .93

2. 또래관계 척도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Hudson(1987)이 개발한 IPR(Index of Peer Relations)척 도를 김의섭(2001)이 번역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IPR은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로 긍정 적 또래관계 12문항, 부정적 또래관계 13문항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부터‘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 며, 부정적 또래관계의 문항은 반대로 채점하였다. 응답 가능한 점수는 25점에서 125 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관계의 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또래관계 측정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계수 Cronbach′s ′ɑ값은 <표 6>와 같 다.

<표 6> 또래관계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

* 표시는 역채점 문항

3. 동적 가족화 그림검사(Kinetic Family Drawing : KFD)

동적 가족화는 Burn 와 Kaufman(1972)이 발전시킨 투사기법이다.

아동의 자아개념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및 공감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가족이므로 아동의 정서적 문제는 대부분 가족관계에서의 갈등이나 문제에서 비 롯된다고 보았다. 가족의 역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그림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가족화 검사에서 나타나는 특성들 즉, 그림의 양식, 인물상의 특징, 인물의 행 위, 역동성, 상징에 대한 임상적 의미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생활에서 얼마나 원만한 생활을 누리고 있으며 이에 따르는 가족 내에서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의 정도는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a. KFD 실시방법

Burn 와 kaufman(1972)이 제시한 것과 같이 21×27cm(A4용지보다 약간 작은 크기) 의 흰 검사지를 27cm가 가로 면이 되도록 놓아준다. 2호 굵기의 연필(일반연필)을 검 사지 위의 중앙에 놓아주고는 아동에게“너(아동의 이름)를 포함해서 가족들 모두가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주겠니? 만화나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사람을 그리 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장면 즉 어떤 종류의 동작을 하고 있 는 것을 생각해서 그려주면 좋겠구나”라고 검사 지시를 내린다. 검사 상황의 종료는 아동이 말이나 동작으로 끝났음을 표시할 때 마치게 되며 제한시간은 없다.

b. KFD 해석기준

그림의 역동성과 인물상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부모와 자기상의 행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인물의 크기, 거리, 방향, 생략, 등을 기준으로 해석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지각과 가족 상호 간의 상호작용을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아동의 경우 KFD를 통해 전달하기 어려운 가족의 역기능적인 측면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