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차이를 분석 한 결과는 다음<표 4>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결혼, 직업, 최종학력, 체질량지수 변수에 따라서는 생활습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연령, 폐경, 종교 유무에 따라 생활습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60세 이상군이 49세 이하군보다(F=4.833, p=.009), 폐경전 여성이 폐경여성보다(t=-2.676, p=.009), 종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생활습관을 건강하게 실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t=.375, p=.021).

자기효능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결혼, 폐경, 종교, 체질량지수 변 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성별, 직업, 최종학력에 따라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t=3.130, p=.002),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t=3.351, p=.001), 대학교 졸업 이상군이 중학 교 졸업 이하군과 고등학교 졸업군보다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F=6.557, p=.003).

삶의 질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결혼, 폐경, 종교, 체질량지수 변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성별, 직업유무,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t=2.05, p=.041), 직 업이 있는 대상자가 직업이 없는 대상자보다 (t=2.085, p=.038), 그리고 대졸이상군이 중학교 졸업 이하군과 고등학교 졸업군보다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6.623, p=.002).

<표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차이

91.05±15.65 67.15±16.27 77.32±11.80

연령

50~59세 91.55±14.59b 73.04±13.77 78.77±10.77

60세 93.21±16.71c 69.77±18.18 79.28±13.25

결혼 90.46±15.09

.410 .682 77.67±15.56

1.286 .200 78.94±11.54

.527 .599

88.88±15.21 65.57±15.98 77.41±10.11

폐경 85.15±11.64

-2.676 .009 68.00±17.21

.829 .409 77.08±12.93

-.356 .723

93.68±16.54 65.20±13.94 77.84±8.87

종교 92.43±15.67

.375 .021 71.21±15.59

1.053 .294 80.06±11.88

1.812 .072

87.34±13.71 68.79±15.66 77.04±140.55

직업 88.89±14.91

-1.503 .134 73.60±12.17

3.351 .001 80.30±11.23

2.085 .038

92.20±15.15 65.74±18.39 76.84±11.42

최종

고졸 91.99±15.40 69.09±15.27b 78.38±11.60b

대졸 89.45±15.66 75.55±12.47c 82.47±10.03c

BMI 25미만 92.93±14.79

.673 .068 73.36±14.79

2.148 .033 80.33±9.77

1.409 .161

25이상 88.79±15.08 68.37±15.56 77.92±12.22

2.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차이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차이를 분 석한 결과는 다음<표 5>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축기혈 압,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의 변수에 따른 생활습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허리둘레에 따라 생활습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허리둘레가 80cm미만인 여성 대상자가 80cm이상인 여성 대상자보다(t=2.367, p=.020) 생활습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건강하게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축기혈 압, 이완기 혈압의 변수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허리둘레, 공복혈당에서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허리둘레가 80cm미만인 여성 대상자가 80cm이상인 여성 대상자보다(t=2.102, p=.038)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공복혈당 100mg/dl이상 대상자가 100mg/dl미만 대상자보다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823, p=.005).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축기혈 압, 이완기 혈압, 허리둘레의 변수에 따른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 면에 공복혈당에서만 삶의 질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복혈당이 100mg/dl이상인 대상자가 공복혈당이 100mg/dl미만 대상자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005, p=.046).

<표 5>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생활습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차이

(N=190)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M±SD t/F(p) M±SD t/F(p) M±SD t/F(p)

허리둘레

<90 88.25±10.91

-.292(.771) 74.29±14.90

.041(.968) 80.00±10.40

-.252(.801)

≧90 89.56±14.86 74.12±10.39 80.85±10.78

<80 98.14±16.84

2.367(.020*) 73.74±10.96

2.10(.038*) 78.14±09.77

.356(.722)

≧80 89.31±14.94 65.55±16.99 77.12±12.28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40 89.68±13.56

-.181(.857) 75.55±14.68

-.846(.400) 80.64±11.16

-.279(.781)

≧40 89.11±15.06 72.95±13.21 80.82±10.20

<50 90.34±14.50

.282(.779) 91.31±16.14

-.282(.779) 78.76±11.06

-.769(.444)

≧50 91.31±16.14 90.34±14.50 76.78±12.08

중성지방

≧150 90.42±15.15 70.07±15.17 78.69±10.99

수축기혈압

≧130 89.60±15.83 71.23±14.11 79.38±11.80

이완기혈압

≧85 90.16±16.60 69.99±15.38 79.66±11.23

공복혈당

≧100 91.44±15.28 71.98±15.26 79.74±11.61

생활습관 자기효능감 삶의 질

생활습관 1

자기효능감 .285*** 1

삶의 질 .458*** .483*** 1

관련 문서